$\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품종별 발아 전후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성분(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항암활성 및 면역활성을 비교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전후 상관없이 홍진주벼에서 각각 $5,600.44\;{\mu}g$ GAE/g sample과 $4,599.52\;{\mu}g$ GAE/g sample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색미인 홍진주벼에서 $1,841.17\;{\mu}g$ GAE/g sample(현미), $1,296.77\;{\mu}g$ CA/g sample(발아현미)에서 높게 나타났다. ${\gamma}$-Oryzanol 함량은 홍진주벼에서 $643.14\;{\mu}g/g$ sample로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품종별 발아 전후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벼와 흑광벼의 현미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in vitro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장암 세포보다는 유방암 세포에서 더 강한 암세포 억제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발아현미보다 일반현미에서 다소 나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500\;{\mu}g$/mL의 농도에서 면역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벼에서 발아 전후 상관없이 조사되어진 다른 품종들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ies,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We examined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of 70% ethanol extracts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큰눈벼(Keunnunbyeo), 홍진주벼(Hongjinjubyeo), 흑광벼(Heugkwangbyeo), 일품벼(Ilpumbyeo), 하이아미(Haiami), 고아미 4호(Goami 4) 및 화성벼(Hwaseongbyeo)와 같이 새롭게 육성되어진 품종들의 발아 전후 현미를 이용하여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에 대한 기능성을 평가함으로써 이들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여 식생활 개선, 품종 농가보급 및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개발 등 효율적인 이용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벼 품종별 발아 전후의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성분(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ABTS 라디칼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항암활성 및 면역활성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전후 상관없이 홍진주벼에서 각각 5,6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미란 무엇입니까? 현미는 배(embryo), 배젖(albumen) 및 쌀겨층(과피(pericarp), 종피(testa), 호분층(aleuron layer))으로 이루어진 벼열매로서 정조의 겉껍질인 왕겨층만 한번 벗겨낸 쌀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2). 또한 이러한 성분들로 인하여 인체의 성장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각종 언론매체나 자료들을 통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현미보다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이유는 어떠한 현미의 단점 때문입니까? 또한 이러한 성분들로 인하여 인체의 성장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각종 언론매체나 자료들을 통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현미가 갖는 뛰어난 영양성과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현미에 비하여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이유는 현미의 단단한 껍질과 피틴산 등으로 인하여 소화 흡수성이 떨어지고 조리가 어려우며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꺼칠하여 식미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현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발아시킨 현미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미가 백미보다 우수한 점은 무엇입니까? 현미는 배(embryo), 배젖(albumen) 및 쌀겨층(과피(pericarp), 종피(testa), 호분층(aleuron layer))으로 이루어진 벼열매로서 정조의 겉껍질인 왕겨층만 한번 벗겨낸 쌀로서 백미에 비하여 영양분의 손실이 적으며 지방, 단백질, 비타민,식이섬유 및 각종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나다(2). 또한 이러한 성분들로 인하여 인체의 성장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각종 언론매체나 자료들을 통하여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현미가 갖는 뛰어난 영양성과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현미에 비하여 백미를 주식으로 하는 이유는 현미의 단단한 껍질과 피틴산 등으로 인하여 소화 흡수성이 떨어지고 조리가 어려우며 부드럽게 씹히지 않고 꺼칠하여 식미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DJ, Oh SK, Yoon MR, Chun AR, Hong HC, Lee JS, Kim YK. 2010.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67-473. 

  2. Mo KH, Choi, YM, Choi SG, Lee JS. 2006. The change of some compounds in brown rice germinated by filtrate of loess suspension. J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0: 41-48. 

  3. Kim SL,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221-228. 

  4. Kim SS, Kim YK, Lee WJ. 1998.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07-1113. 

  5. Jang SS. 1998. Method of germinating with brown rice. Korean Patent 1998-0247686. 

  6. Oh YS. 2002. Study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sprouting brown ric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7. Kang BR, Park MJ, Lee HS. 2006.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89-394. 

  8.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9. Choi HD, Park YK, Kim YS, Chung CH, Park YD. 2004. Effect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61-764. 

  10. Jung HY, Lee DH, Baek HY, Lee YS. 2008. Pre- and post 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3: 37-43. 

  11. Kang MY, Lee YR, Nam SH.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germinated rices to examine an application potentials as functional ric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6-701. 

  12.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13.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4.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5.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 Chokmoh S, Krisnangkura K. 2008.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Mau JL, Lin II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18.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9.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65: 55-63. 

  20. Kim H, Park CK, Jeong JH, Jeong HS, Lee HY, Yu KW. 2009. Immune stimulation and anti-metastasis of crude polysaccharide from submerged culture of Hericicum erinaceum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Korean ginseng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35-1542. 

  21.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22.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Toxicology 177: 67-80. 

  23. Kong SH, Choi YM, Lee S,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24. Shen Y, Jin L, Xiao P, Lu Y, Bao J. 2009. Total phenolics,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49:106-111. 

  25. Kong S, Lee J. 2009. Antioxidants in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cultivars. Food Chem 120: 278-281. 

  26. Xu Z, Hua N, Godber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tocotrienols and $\gamma$ -oryzanol components from rice bran against cholesterol oxidation accelerated by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J Agric Food Chem 49: 2077-2081. 

  27.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3: 130-138. 

  28. Woo KS, Chun A, Oh SK, Kim KJ, Kim DJ, Yang CI, Kim YG, Kim JH, Jeong HS. 2010.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unhulled and hulled rice Hiami (Oryza sativa L. cv. Hia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9-185. 

  29. Sung MK, Park MY. 2002.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oybean and brown rice extracts on hormone dependent/ independent breast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2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