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스트레스가 감자 식물체 무기성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Inorganic Compound and Growth of Potato Plan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3, 2017년, pp.241 - 248  

백계령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이계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조지홍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조건에서 봄감자의 무기성분함량 및 생육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중 식물체 내 무기성분함량 중 유효인산은 생육 초반 청주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개화기 이후 차이가 없어졌으며, 칼슘은 청주지역보다 강릉에서 더 빠르고 흡수되고 많은 체내 축적을 보였다. 마그네슘은 청주보다 강릉에서 높은 함량은 보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칼슘 흡수와 매우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육기간 중 토양 양분 흡수량은 모든 무기양분을 청주가 강릉보다 더 많이 흡수하였으며, 이는 청주의 감자 생육량이 건조스트레스로 제대로 생육하지 못한 강릉의 감자보다 크고, 생육기간도 더 길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감자주요 생육기의 생육은 강릉과 청주 모두 비슷하였지만 강릉에서의 생육량 감소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각 생육지표들의 상관관계는 건조에 취약한 잎을 제외한 다른 요소들은 강릉과 청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잎의 영향을 받는 요소들은 강릉에서 그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 감자 괴경의 수량은 상품비율은 건조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조스트레스 하에서 지상부의 생육이 저하되고 생육기간이 짧아 수량은 크게 감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ield of potato is largely influenced by drought s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Gangneung and Cheongju during the spring cropping of potato. Potatoes in the Gangneung area were affected by drought but there was no damage due to drought in Cheongju. During the early-growth stage, the cont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식물체내의 몇몇 요소들의 농도는 잎・줄기 생장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Kolbe & StephanBeckmann, 1997). 본 연구에서는 감자 식물체가 가뭄으로 인해 건조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식물체 내의 무기성분 변화, 양분흡수 특징, 그리고 생육조사를 통해 형태학적 특징을 연구하여 가뭄피해에 대응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조건에서 봄감자의 무기성분함량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생육기간 중 식물체 내 무기성분함량 중 유효인산은 생육 초반 청주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개화기 이후 차이가 없어졌으며, 칼슘은 청주지역보다 강릉에서 더 빠르고 흡수되고 많은 체내 축적을 보였다. 마그네슘은 청주보다 강릉에서 높은 함량은 보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칼슘 흡수와 매우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육기간 중 토양 양분 흡수량은 모든 무기양분을 청주가 강릉보다 더 많이 흡수하였으며, 이는 청주의 감자 생육량이 건조스트레스로 제대로 생육하지 못한 강릉의 감자보다 크고, 생육기간도 더 길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식물체가 건조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괴경이 비대하면서 지상부로부터 지하부로 양분의 전류가 일어나기 때문에 높은 감자 수확량을 얻기 위해서는 지상부의 왕성한 생육도 필요하다. 식물체는 건조스트레스를 받으면 형태학적으로는 엽면적이 감소되고 잎의 탈리가 촉진되는 등 증산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화가 일어나고, 앱시스산 등의 식물호르몬이 관여하게 되면서 식물체 내에서 건조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Taiz & Zeiger, 2009).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감자 식물체의 반응에는 식물체의 유전, 생육단계, 그리고 환경이 복잡하게 영향을 준다(Obidiegwu et al.
감자는 무엇인가? 감자(Solanum tuberosum L.)는 벼, 밀, 옥수수와 함께 4대 식량작물 중 하나로 남미와 독일, 영국등에서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불리한 기상조건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구황작물로 생각되던 감자는 선진국에서는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shofteh, P. -S., O. B. Haddad, M. A. Marino, and D. M. Asce. 2015. Risk Analysis of Water Demand for Agricultural Crops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20(4) : 04014060-1-04014060-10. 

  2. Calzadilla, A., K. Rehdanz, R. Betts, P. Fallon, A. Wiltshire, and R. S. J. Tol. 2013. Climate change impacts on global agriculture. Climate Change 120(1-2) : 357-371. 

  3. Chartzoulakis, K. and M. Bertaki. 2015.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in Agriculture under Climate Change.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Science Procedia. 4: 88-98. 

  4. Cook, E. R., R. Seager, and M. A. Cane, 2007. North American drought: reconstructions, causes, and consequences. Earth Science Reviews. 81(1-2): 93-134. 

  5. Elliott, J., D. Deryng, C. Muller, K. Frieler, M. Konzmann, and D. Gerten. 2014. Constraints and potentials of future irrigation water availability on agricultural production under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 3239-3244. 

  6. Farooq, M., A. Wahid, N. Kobayashi, D. Fujita, and S. M. A. Basra. 2009. Plant drought stress: effects, mechanisms and management.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9(1) : 185-212. 

  7. Faver, K. L., T. J. Gerik, P. M. Thaxton, and K. M. Elzik. 1996. Late season water stress in cotton.2. leaf gas exchange and assimilation capacity. Crop Science 36(4) : 922-928. 

  8. Gimenez, C., V. J. Mitchell, and D. W. Lawlor. 1992. Regulation of photosynthetic rate of two sunflower hybrids under waterstress. Plant Physiology 98 : 516-524. 

  9. Heuer, B. and A. Nadler. 1995. Growth, development and yield of potatoes under salinity and water deficit.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46 : 1477-1486. 

  10. Hijmans, R. J. 2003.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global potato production. American Journal of Potato Research 80 : 271-280. 

  11. Jaleel, C. A., P. Manivannan, A. Wahid, and R. Panneerselvam. 2009. Drought stress in Plants: A Review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igments 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 Biology 11(1) : 100-105. 

  12. Cho, J. H., H. B. Shon, D. C. Chang, J. S. Im, H. J. Kim. 2011, Rediscovery of potatoes, RDA Interrobang. 29 : 1-20. 

  13. Kolbe, H. and S. Stephan-Beckmann. 1997. Development,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tato crop (Solanum tuberosum L.). II. Tuber and whole plant. Potato Research (40) : 135-153. 

  14. Lawlor, D. W. 2002. Limitation to photosynthesis in waterstressed leaves: stomata vs. metabolism and the role of ATP. Annals of Botany, 89(7) : 871-885. 

  15. Luck, J., M. Spackman, A. Freeman, P. T. Bicki, W. Griffiths, K. Finlay, and S. Chakraborty. 2011. Climate change and diseases of food crops. plant pathology 60(1) : 113-121. 

  16. Obidiegwu, J. E., G. J. Bryan, H. G. Jones, and A. Prashar. 2015. Coping with drought: stress and adaptive responses in potato and perspectives for improvement. Frontiers in Plant Science 22(6) : 1-23. 

  17. Pinheiro, C. and M. M. Chaves. 2010. Photosynthesis and drought: can we make metabolic connections from available data?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2(3) : 869-882. 

  18. Taiz, L. and E. Zeiger. 2009. Plant Physiology fourth edition, Life science. 

  19. Xu, Z., G. Zhou, and H. Shimizu. 2010. Plant responses to drought and rewatering. Plant.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