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언 일대의 물참새피군락 분포 현황
Distribution Status of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at the Nakdong-River Estuar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2, 2017년, pp.195 - 206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정현기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이철호 (동의대학교) ,  최병기 (동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구 일대의 생태공원에 분포하는 물참새피군락의 분포양상과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생태공원에서 물참새피 단순우점군락이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공원 내 물참새피군락의 분포는 본류와 접한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변부에서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연구지역 내 정수환경이 형성된 인공습지, 배후습지 및 배수로 일대에서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대부분의 군락이 피도 4 또는 5의 단순우점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수변부 식생경관과 환경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물참새피군락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긍정적 요인(종 출현, 식생교란, 부영양화, 식토, 낚시행위)과 부정적 요인(물 흐름, 범람, 키 큰 식생, 수심, 사질토, 초식동물, 인위적 관리) 그리고 독립적 요인(염도, 토심, 경작, 생태관광)들이 파악되었다. 물참새피군락 내 출현식물의 다양성은 총 73 분류군이었으며, 다수의 자생식물이 물참새피와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식물 중 귀화식물의 종다양성이 높아 물참새피군락의 서식처가 인위적 교란에 노출된 환경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낙동강 하구 일대의 물참새피군락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물참새피 제거사업의 실행과정에서 드러난 각종 문제점(제거방법, 대상지 선정, 모니터링 방법 등) 해결에 본 연구결과가 낙동강 하구 일대의 생태계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scribed a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floral diversity on the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occurring at the ecological parks of Hwamyeong, Daejeo, Samnak, and Maek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total distribution area of P. distichum community was $303,462.6m^2$. Its larg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지역에서 물참새피의 주요 분포지로 파악된 4개 수변생태공원에서의 물참새피군락 현존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입지 특성을 반영한 군락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내 물참새피군락에 대한 생태적 관리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지역에서 물참새피의 주요 분포지로 파악된 4개 수변생태공원에서의 물참새피군락 현존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입지 특성을 반영한 군락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내 물참새피군락에 대한 생태적 관리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참새피가 어느 지역까지 그 분포가 확장되었는가? 또한 다양한 초식동물의 중요 먹이원이며, 소나 말을 포함한 가축 들의 사료용 작물로도 유용하게 활용되어 왔다(Middleton, 1998; DiTomaso and Healy, 2003). 그러나 인위적 도입에 의해 자생지를 벗어나 그 분포가 크게 확장되었으며, 도입 목적과 관계없이 주변 환경으로 탈출, 야생화되면서 유럽 전역과 동부 지중해, 북부 및 열대의 아프리카, 온대 및 열대의 아시아,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의 섬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eber, 2003). 특히 남부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자연지역 내에까지 침투하여 생태계 교란을 유발하는 일차식생귀화종(agrionphytes)으로 알려져 있다(Campbell, 1999; Aguiar et al.
물참새피군락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긍정적, 부정적, 독립젹)은 어떤것들이 파악되었는가? 대부분의 군락이 피도 4 또는 5의 단순우점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수변부 식생경관과 환경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물참새피군락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긍정적 요인(종 출현, 식생교란, 부영양화, 식토, 낚시행위)과 부정적 요인(물 흐름, 범람, 키 큰 식생, 수심, 사질토, 초식동물, 인위적 관리) 그리고 독립적 요인(염도, 토심, 경작, 생태관광)들이 파악되었다. 물참새피군락 내 출현식물의 다양성은 총 73 분류군이었으며, 다수의 자생식물이 물참새피와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참새피는 어디에 서식하는가? 벼과 식물인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L.)는 정수 습지의 수변부 및 수면에 서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자생지는 열대 아메리카지역으로 원산지에서는 하천의 제방 부, 수로, 해변, 습지대 등에 서식하며, 지반의 침식을 방지 하고 고유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식생 요소로 고려된다(DiTomaso and Heal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guiar, F.C., M.T. Ferreira, A. Albuquerque and I. Bernez. 2005. Invasibility patterns of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in Portuguese riparian habitats 1. Weed Technology 19: 509-516. 

  2. Ahn, K.H., J.C. Lim, Y.K. Lee, T.B. Choi, K.S. Lee, M.S. Im, Y.H. Go, J.H. Suh, Y.K. Shin and M.J. Kim. 2016.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ine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5: 89-102. 

  3. Allred, K.W. 1982. Paspalum distichum L. var. indutum Shinners (Poaceae). Great Basin Naturalist 42: 101-104. 

  4. Bernez, I., M.T. Ferreira, A. Albuquerque and F. Aguiar. 2005. Relations between river plant richness in the Portuguese floodplains and the widespread water knotgrass (Paspalum paspalodes). Hydrobiologia 551: 121-130. 

  5. Bouwmeester, H.J. and C.M. Karssen. 1993. Annual changes in dormancy and germination in seeds of Sisymbrium officinale (L.) Scop. New Phytologist 124: 179-191. 

  6. Campbell, L.R.V. 1999. Paspalum dilatatum and 19 Axonopus affinis in Australia. Forage Seed Production Tropical and subtropical species 2: 325. 

  7. Cho, K.H. and S.H. Lee. 2015.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206-215. 

  8.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9. DiTomaso, J.M. and E.A. Healy. 2003. Aquatic and Riparian Weeds of the West. UC/ANR Publications, California. 

  10. Goren-Inbar, N., Y. Melamed, I. Zohar, K. Akhilesh and S. Pappu. 2014. Beneath still waters-multistage aquatic exploitation of Euryale ferox (Salisb.) during the Acheulian, Internet Archaeol. 

  11. Greenway, M., P. Dale and H. Chapman. 2003. An assessment of mosquito breeding and control in four surface flow wetlands in tropical-subtropical Australia.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48: 249-256. 

  12. Han, C.S., S.K. Park, S.W. Jung and T.Y. Roh. 2011. The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1): 101-108. 

  13. Holm, L.G., J. Doll, E. Holm, J. Pancho and J. Herberger. 1997. World Weeds. John Wiley & Sons. New York. 

  14. Hsiao, A.I. and W.Z. Huang. 1989. Effects of flooding on rooting and sprouting of isolated stem segments and on plant growth of Paspalum distichum L.. Weed Research 29: 335-344. 

  15. Huang, W.Z., A.I. Hsiao and L. Jordan. 1987.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certain growth regulating substances on sprouting, rooting and growth of single-node rhizome and shoot segments of Paspalum distichum L.. Weed Research 27: 57-67. 

  16. Jung, H.G. 2010. Changes of foodplant biomass for the water fowl and bird population dynamics in western Nakdong river. Ph. M.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17. Jung, S.W. 2011.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down stream of Nakdong estuary barrage according to site investigation. Ph. M.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8.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g. 

  19. Kadono, Y. 1983. Natural history of Euryale ferox Salisb. Natural Study 29: 63-66. 

  20. Kil, J.H., Y.H. Kim, H.M. Kim, D.H. Lee and C.W. Lee. 2010.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Incheon.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22. Kumar, C.R.A. and D.D. Mittal. 1993. Habitat preference of fishes in wetlands in relation to aquatic vegetation and water chemistry. Journal of th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90: 181-192. 

  23. Kumaki, Y. and Y. Minami. 1973. Seed germination of Onibasu Euryale ferox Salisb. (II). Bulletin of the Faculty of Education, Kanazawa University. Natural Science 22: 71-78. 

  24. Lastrucci, L., M. Landi and C. Angiolini. 2010. Vegetation analysis on wetlands in a Tuscan agricultural landscape (central Italy). Biologia 65: 54-68. 

  25. Lee, C.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Hyangmoonsa, Seoul. 

  26. Lee, C.W., D.K. Kim, H.S. Cho and H.H.M. Lee. 2015a. The Riparian Vegetation Disturbed by Two Invasive Alien Plants, Sicyos angulatus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South Kore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255-263. 

  27. Lee, C.W., H.J. Cho, M.J. Kang, M.K. Huh, I.C. Hwang and B.K. Choi. 2015b. Study of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Busan City, South Korea. Journal of Life Science 25: 1244-1254. 

  28. Lee, C.W., I.C. Hwang, H.H.M. Lee, H.R. Song and J.M. Kim. 2015c. Classification review and ecological character of Paspalum distichum L., invasive speci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Conferences, February 17-19, Hanyang University, Seoul. 

  29. Lee, I.Y., B.C. Moon, J.E. Park, T.S. Park, O.D. Kwon, C.S. Kim and S.M. Oh. 2003. Regeneration and Sprouting by Buried Soil Depth of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and Chemical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3: 334-342. 

  30. Lee, S.E. 2009.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plant communities at the potential floodplain in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Ph. M.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1. Lee, S.H., K.H. Cho and W.J. Lee. 2016.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 189-200. 

  32. Lee, W.C. 1996. Colo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Academy, Seoul. 

  33. 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34. Leithead, H.L., L.L. Yarlett and T.N. Shiflett. 1976. 100 native forage grasses in 11 southern states. USDA SCS, USA. 

  35. Lim, Y.S.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36. Liu, S.H., A.I. Hsiao and W.A. Quick. 1991. The influence of leaf blade, nutrients, water and light on the promotion of axillary bud growth of isolated single-node stem segments of Paspalum distichum L.. Weed Research 31: 385-394. 

  37. Manuel, J.S. and B.L. Mercado. 1977. Biology of Paspalum distichum. I. Pattern of growth and asexual reproduction. Philippine Agriculturist 61: 192-198. 

  38. Middleton, B.A. 1998. The water buffalo controversy in Keoladeo national park, India. Ecological Modelling 106: 93-98. 

  3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 II). Huimun printing, Sejong. 

  40. 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05. The environmental statistics handbook of Nakdong river. 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Changwon. 

  41. NIER. 2012. Invasiv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42. Noda, K. and H. Obayashi. 1971. Ecology and control of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Weed Research in Japan 11: 35-39. 

  43. Otaki, S. 1987. Euryale ferox Salisb. in Japan. Nihon no seibutsu 1: 48-55. 

  44. Park, S.H. 1995. Unrecorde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V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5: 51-59. 

  45.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46. Primack, R.B. 2012.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5th ed). Sinauer Associates, Inc. Publishers. Sunderland. 

  47.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Oxford Univ. press, London. 

  48. Ryu, T.B. 2012.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Ph. M.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49. Shibayama, H. 1988. Ecology of aquatic weeds in creeks of the paddy growing area in the lower reaches of the Chikugo river. Bulletin of the Kyushu National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5: 1-75. 

  50. Shinners, L.H. 1954. Notes on North Texas Grasses. Rhodora 56: 25-38. 

  51. Shukla, J.B. and B. Dubey. 1996. Effect of changing habitat on species: application to Keoladeo National Park, India. Ecological Modelling 86: 91-99. 

  52. Song, K.O. and Y.M. Jea. 2005. Value evaluation and management program in Nakdong estuary. Busan development institute, Busan. 

  53. Stroh, H.G. 2006. Contribution to the ephemeral wetland vegetation along riverbanks and lakeshores of Western Thrace (NE Greece). Tuexenia 26: 353-388. 

  54. Van der Valk, A.G., B.A. Middleton, R.L. Williams, D.H. Mason and C.B. Davis. 1993. The biomass of an Indian monsoonal wetland before and after being overgrown with Paspalum distichum L.. Vegetatio 109: 81-90. 

  55. Weber, E. 2003.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CABI Publishing, London. 

  56. Yang, Y.H., C.K. Song, S.H. Park and M.H. Kim. 200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genus Paspalum L.. Journal of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18: 37-41. 

  57. You, Y.H. and H.R. Kim. 2010. Key factor causing the Euryale ferox endangered hydrophyte in Korea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onservat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 49-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