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 (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Exploring the Value of the Maker Mind Set at Maker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250 - 267  

강인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 ,  김홍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로 비형식교육활동으로서 이루어졌던 '메이커 활동'은 그것이 지닌 여러 교육적 가치와 효과로 인해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의 형태로 확장되어 새로운 교육방법의 하나로 실천되고 있다. 하지만 학교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의 중의 하나는 메이커스페이스라는 메이커 활동을 위한 공간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를 학교 공간 안에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메이커교육의 사례를 제시하고 그것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과 후 학교수업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2명을 대상으로 8주에 걸쳐 '메이커스페이스 만들기'라는 메이커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후 성찰저널, 교사 관찰일지, 인터뷰 자료의 질적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여, 메이커스 페이스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메이커 활동에서 강조하는 메이커 정신을 경험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교 내 메이커스페이스 만들기'라는 메이커 활동은 학교 내에 그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될 수 있으며, 동시에 메이커 활동을 하나의 새로운 교육방식, 곧 '메이커 교육'으로서 확장될 수 있는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지니면서, 21세기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시 만나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ker activity, mainly practiced in informal or non-formal education environments activities, was expanded to the form of maker education' due to its various educational values and effects. Yet, one of the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mak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the lack of makerspace a...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문화란 무엇인가?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은 '메이커 문화(Maker Culture)'의 한 범주에 속한다. 이에 메이커 문화는 발명 및 창작자의 자율성이 존중된 환경에서 창조성, 창의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만들고,개조하고 그런 활동 과정에서 발생된 경험과 결과를 공유하여 개인과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문화를 야기한다[5]. 그리고 이러한 메이커 문화에는 21세기가 요구하는 교육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메이커 교육을 학교 교육에서 실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메이커 교육을 학교 교육에서 실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라는 학습 공간의 부재이다. 그러나 메이커 활동을 위해서 전제되는 공간이 메이커스페이스이다[8][9].
메이커 교육 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과정은 자율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자로서의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메이커 활동이 실생활과 연결된 맥락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범교과적이며 간학문적 교육활동이 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함진호, 이승윤, 김형준, "ICT DIY 정책과 메이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표준화," 정보와 통신, 제33권, 제1호, pp.5-10, 2015. 

  2. 교육부, 초.중등 개정교육과정 총론, 2015. 

  3. M. Sharples, A. Adams, N. Alozie, R. Ferguson, E. FitzGerald, M. Gaved, P. McAndrew, B. Means, J. Remold, B. Rienties, J. Roschelle, K. Vogt, D. Whitelock, and L. Yarnall, Innovating Pedagogy 2015: Open University Innovation Report 4, The Open University, 2015. 

  4. M. Sharples, R. de Roock, R. Ferguson, M. Gaved, C. Herodotou, E. Koh, A. Kukulska Hulme, C. K. Looi, P. McAndrew, B. Rienties, M. Weller, and L. H. Wong, Innovating Pedagogy 2016: Open University Innovation Report 5, The Open University, 2016. 

  5. D. Dougherty,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Vol.7, No.3, pp.11-14, 2012. 

  6. 강인애, 김양수, 윤혜진,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대학교 사례 연구," 한국융합학회, 제8권, 제7호, pp.23-35, 2017. 

  7. T. Mingjie, Y. Yongqu, and Y. Ping, "The influence of the maker movement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Vol.14, No.1, pp.89-94, 2016. 

  8. Sylvia Libow Martinez, Gary S. Stager & Ph.D,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송기봉, 김상균 옮김), 홍릉과학(원서출판 2013), 2015. 

  9. E. R. Halverson and K. Sheridan,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4, No.4, pp.495-504, 2014. 

  10. M. Hatch,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Rules for Innovation in the New World of Crafters, Hackers, and Tinkerers, McGraw-Hill Education on Brilliance Audio, 2013. 

  11. 강인애, 황중원, 김홍순,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미디어학회2016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66-176, 2016. 

  12. K. Peppler, E. Halverson, and Y. B. Kafai,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2016. 

  13. C. Dixon and L. Martin, "Make to relate: Narratives of, and as, community practic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pp.1591-1592, 2014. 

  14. 박영숙, 메이커의 시대: 유엔미래보고서 미래 일자리, 한국경제신문, 2015. 

  15.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PBL의 실천적 이해, 문음사, 2007. 

  16. P. Blikstein, S. L. Martinez, and H. A. Pang, "Meaningful Making: Projects and Inspirations for Fab Labs and Makerspaces," Heather Allen Pang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016. 

  17. C. Anderson, Makers: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Random House Company, 2012. 

  18. D. Lang, Zero to Makers: Learn to make anything, Maker Media, 2013. 

  19. D. V. Loertscher, P. Leslie, and D. Bill, "Makerspaces in the school library learning commons and the uTEC maker model," Teacher Librarian, Vol.41, No.2, pp.48-51, 2013. 

  20. M. Andrea and P. Aliverti, The Maker's Manual: A Practical Guide to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Maker Media, 2015. 

  21. Y. B. Kafai, D. H. Fields, and K. A. Searle,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Supporting and chal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84, No.4, pp.532-556, 2014. 

  22. H. M. Moorefield-Lang, "Makers in the library: Case studies of 3D printers and maker spaces in library settings," Library Hi Tech, Vol.32, No.4, pp.583-593, 2014. 

  23. 이지선, "컴퓨터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 적용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55-467, 2015. 

  24. S. L. Eddy and K. A. Hogan, "Getting under the hood: How and for whom does increasing course structure work?," Sciences Education, Vol.13, No.3, pp.453-468, 2014. 

  25. J. Walter-Herrmann and C. Buching, FabLab: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Transcript-Verlag. 2014. 

  26. L. Johnson, S. Adams Becker, V. Estrada, and A. Freeman, NMC Horizon Report: 2015 K-12 Higher Education Edition, The New Media Consortium, 2015. 

  27. L. Johnson, S. Adams Becker, M. Cummins, V. Estrada, A. Freeman, and C. Hall, NMC Horizon Report: 2016 Higher Education Edition, The New Media Consortium, 2016. 

  28. 박성희,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 원미사,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