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Job Burnout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349 - 356  

김승희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배상윤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MBI-GS: Maslach Bunout Inventory-General Survey)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9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0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조직헌신(OCQ: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점수가 낮을수록, A형행동유형(TABP: Type A Behavior Pattern)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수준(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2.1%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헌신을 높이고, A형행동유형과 우울수준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는 프로그램 및 인적자원관리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executed to investigate convergent factors to job burnout(MBI-GS: Maslach Bunout Inventory-General Survey)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1 staff from 9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J area from Jul. 3rd, 2017 to Jul. 29th, 2017. The structured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병원종사자의 직무소진과 관련된 빅데이터 관리[22] 및 증강현실[23] 등의 환경변화를 고려하고 심리적인 안녕[24] 및 직무스트레스[25] 등의 요인에 대한 추가 조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에 대한 부족한 연구를 보완하여 보았고, 타 직종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었던 관련 독립변수들을 융복합하여 조직헌신, A형행동 유형 및 우울과 직무소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조직헌신, A형행동유형 및 우울과 직무소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약 한달 동안 임의로 선정 된 J지역 소재 9개 종합병원에서 무작위 추출된 병원행정직 201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분석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행정직의 조직헌신, A형행동유형 및 우울과 직무소진간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여 병원경영혁신에 대한 내외부의 요구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위한 병원행정직의 직무소진을 낮추는 인적자원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소진이란? 직무소진(job burnout)은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는 여러 요인에 노출되어 생리, 정서 및 정신적으로 탈진된 상태로 언급된다[1]. 직무소진은 세 가지의 하위차원으로 감정소진, 냉소 및 직업 효능감 감소로 구성된다[1, 2].
직무소진 중 감정소진, 냉소 및 직업 효능감 감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직무소진은 세 가지의 하위차원으로 감정소진, 냉소 및 직업 효능감 감소로 구성된다[1, 2]. 감정소진은 핵심적인 소진 경험으로 직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심리 및 육체적 소진 상태이고, 냉소는 직무에 대해 무관심하고 부정적인 태도로 소진에 대한 방어 수단 및 소진 증상에 대처하는 행동이며, 직업 효능감 감소는 직무의 능률감이 저하되어 직무수행의 생산성 및 성과에 대한 낮은 자기평가 상태이다[1, 2]. 
직무소진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직무소진(job burnout)은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는 여러 요인에 노출되어 생리, 정서 및 정신적으로 탈진된 상태로 언급된다[1]. 직무소진은 세 가지의 하위차원으로 감정소진, 냉소 및 직업 효능감 감소로 구성된다[1, 2]. 감정소진은 핵심적인 소진 경험으로 직무수행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심리 및 육체적 소진 상태이고, 냉소는 직무에 대해 무관심하고 부정적인 태도로 소진에 대한 방어 수단 및 소진 증상에 대처하는 행동이며, 직업 효능감 감소는 직무의 능률감이 저하되어 직무수행의 생산성 및 성과에 대한 낮은 자기평가 상태이다[1,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 Maslach, W. B. Schaufeli, M. P. Leiter,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2, No. 1, pp. 397-422, 2001. 

  2. K. H. Shin,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MBI-GS): An application in South Korea", The Korean J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6, No. 3, pp. 1-17, 2003. 

  3. S. H. Kim, S. Y. Bae,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4, pp. 365-375, 2017. 

  4. S. H. Kim, S. Y. Bae,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mong some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367-375, 2015. 

  5. S. Y. Bae, S. H. Kim,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uman nature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fatigue o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3, pp. 221-229, 2015. 

  6. S. H. Kim, S. Y. Bae,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433-443, 2014. 

  7. J. W. Lee, "A study using structural equations on how the role stress of administrative workers in general hospitals affects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si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622-628, 2016. 

  8. E. H. Shin, H. G. Jung, H. B. Eun, K. H. Jung, S. W. Lim, "Application of sociodrama for reducing burnout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Korean J Psychosomatic Medicine, Vol. 17, No. 2, pp. 62-67, 2009. 

  9. J. S. Choi, S. M. Park, "Comparison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of nurses betwee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3, pp. 251-259, 2012. 

  10. H. R. Chang, J. A. Kim, "A study on the job burnout of medical librarians in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51, No. 1, pp. 245-269, 2017. 

  11. S. E. Kim, J. Y. Han, "Clinical nurses' job stress, emotional labor, nursing performance, and burnout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J Korean Acad Nurs Adm, Vol. 23, No. 3, pp. 336-345, 2017. 

  12. E. Lee, S. S. Chang,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Korean J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5, No. 4, pp. 340-351, 2016. 

  13. L. W. Porter, R. M. Steers, R. T. Mowday, P. V. Boulia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 of Applied Psychology, Vol. 59, No. 5, pp. 603-609, 1974. 

  14. S. H. Kim,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social work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97. 

  15. S. Y. Bae, S. H. Kim,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job 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269-278, 2016. 

  16. F. Faul, E. Erdfelder, A.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17. S. G. Haynes, S. Levine, N. Scotch, M. Feinleib, W. Kannel,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 J Epidemiol, Vol. 107, No. 5, pp. 362-383, 1978. 

  18. S. J. Chang,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the development work site stress reduc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2001. 

  19. M. M. Weissman, B. Z. Locke,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Vol. 102, pp. 430-431, 1975. 

  20.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 III-Rmajor depression. J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2, No. 3, pp. 381-399, 1993. 

  21. S. Y. Bae, S. H. Kim,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self efficacy, job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 239-246, 2017. 

  22. Y. S. Jeong, "U-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scheme for big data of patient information", J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5, No. 1, pp. 1-6, 2015. 

  23. Y. S. Jeong, Y. T. Kim, G. C. Park, "A design of service improvement model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J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No. 1, pp. 17-24, 2017. 

  24. J. M. Kang, J. O. Kwon, "A Convergenc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work engagement of medium and small hospitals nurse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4, pp. 89-99, 2017. 

  25. M. J. Kim, G. Y. Kang,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nurse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9-4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