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유발,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ground music of TV documentary on audience's recall memory, flow, arousal of interest, evalu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411 - 417  

박덕춘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효과 연구 분야에서 채널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배경음악의 사용이 TV다큐멘터리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미디어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송신자 요인과 메시지 요인 등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 지식 습득, 태도, 행위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미디어의 채널요인으로 볼 수 있는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다양한 종속변인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제한적이며, 특히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사용된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생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배경음악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에게 TV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시청하게 한 후, 이들의 회상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을 물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10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TV 다큐멘터리의 배경 음악이 수용자들의 몰입도와 흥미 유발 정도를 증가시켰으며, 작품 평가도 더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들의 회상 기억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of TV documentary which can be classified as channel factor in the field of media effect, on audience's recall memory, flow, arousal of interest, evaluation of documentary. Most previous researches of media effect focused on the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TV 다큐멘터리의 장르 중에서 배경음악의 영향을 가장 잘 표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심리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하여 수용자의 회상기억, 몰입도, 흥미유발, 평가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선행 연구들이 송신자 요인과 메시지 요인 등에 치중하여 다루지 못한 채널 요인인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배경 음악의 수용자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다큐멘터리의 장르 중에서 배경음악의 영향을 가장 잘 표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심리다큐멘터리를 영상 자극물로 설정하고, 2 집단으로 분류한 대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배경 음악이 있는 영상물과 배경 음악이 없는 동일한 내용의 영상물을 시청하게 하여 이들이 느낀 회상 기억 정도, 프로그램 몰입도, 흥미유발 정도, 작품 평가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 직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영화와 드라마,텔레비전 뉴스와 광고 미디어에 집중하여 배경 음악의 효과를 살펴보면서, 배경음악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장르에서의 효과 연구를 하지 못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여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에 미치는 의미 있는 영향력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양한 내용상의 다큐멘터리 장르 중에서 심리다큐멘터리 분야에 국한하여 수행된 실험 연구로, 배경 음악의 다큐멘터리에 대한 효과로 일반화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어지는 배경 음악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의문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보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심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배경 음악의 유무가 수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 이 프로그램은 흥미로웠다.
  • 1) 프로그램을 보는 동안 눈을 뗄 수가 없었다.
  • 2) 이 프로그램은 호기심이 생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텔레비전 뉴스에서 음향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텔레비전 뉴스에서 음향은 언어 음성, 현장음, 효과음,배경 음악 등 4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러한 뉴스의 음향은 뉴스 프로그램이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특정한 이슈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심리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8].
광고에서 배경 음악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러닝타임이 짧은 광고에서의 배경 음악은 시그날 음악, 징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배경 음악은 대개 수용자의 흥미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8]. 광고 배경음악의 효과 연구에서 스튜어트와 퍼스(Stewart & Furse, 1986)는 광고에서 배경 음악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메시지 회상 기억과 이해력을 증진시키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2,16].
텔레비전 뉴스에서 음향의 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뉴스의 음향으로 인해 시청자들이 뉴스 영상물을 ‘현실의 재현’이라고 생각하고 뉴스를 신뢰하게 된다고 연구자들은 주장하고 있다[6]. 텔레비전 뉴스에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전달은 대부분 앵커와 기자의 리포팅 음성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뉴스 프로그램의 편집과정에서 제작자가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효과음이나 배경 음악을 사용하곤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lancy, P. H. "Affect and memory: A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 99, pp. 229-246, 1986. 

  2. Boltz, M., Schulkind, M., & Kantra, S. "Effects of background music on the remembering of filmed events". Memory & Cognition, Vol. 19, No. 6, pp. 593-606, 1991. 

  3. Cohen, A. J. "Music as a source of emotion in film". In P. N. Juslin & J. A. Sloboda (Eds.), Music and emotion: Theory and research (pp. 249-272).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 2001. 

  4. Cohen, A. J. "How music influences the interpretation of film and video: Approaches from experimental psychology". In R. A. Kendall & R. W. H. Savage (Eds.), "Perspectives in systematic musicology" (pp. 15-36). Los Angeles, CA: Ethnomusicology Publications, 2005. 

  5. Eonju, Park. "Study on gatekeeping of TV news: Focused on News9 of KBS", master's degree thesis of Jungang University, 2011. 

  6. Giyoung, Yeo. "Composition of Television sound: Focused on flow and concept of sound", master's degree thesis of Korea University, 2009. 

  7. Gorbman, C. "Narrative film music". Yale French Studies, 60, pp. 183-203, 1980. 

  8. Gyungsuk, Park.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or and Gender on radio audience",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Vol. 16, No 2, pp. 116-148, 2002. 

  9. Jaehyeong, Ryu.. "Narrative Progress of Insert Music: From background to foreground",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Vol. 29, No 2, pp. 79-115, 2015. 

  10. Lang, A. "Using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otivated mediated message processing to design effective cancer communication messag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6, pp. 57-80, 2006. 

  11. Levinson, J. "Film music and narrative agency". In D. Bordwell & N. Carroll (Eds.), "Post-theory: Reconstructing film studies" (pp. 248-282). Madison, WI: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6. 

  12. Petty, R. E., Cacioppo, J. T. "Attitudes and persuasion: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Dubuque: Wm. C. Brown, 1981. 

  13. Provenzano, C. "Towards an aesthetic of film music: Musicology meets the film soundtrack". Music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Vol. 10, No. 3, pp. 79-94, 2008. 

  14. Robinson, J. P., & Davis, D. K. "Comprehension of a single evening's news". In J. P. Robinson & M. R. Levy(Eds.). "The Main source: Learning fromtelevision news",(pp. 107-132). Beverly Hills: Sage, 1986. 

  15. Sinyung, Park.. "Effect of text and music on the response of audience",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Vol. 24, No. 6, pp. 166-208, 2010. 

  16. Stewart. W., & H. Furse. "Effective television advertising: A study of 1000 commercials".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6. 

  17. Taeyong, Park. "Scale of involvement for TV view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Vol. 28, No. 2, pp. 50-97, 2014. 

  18. Wolpe, S. "What is film music?" Contemporary Music Review, Vol. 27, No. 2, pp. 171-17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