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의 무빙 영상이 수용자의 몰입도, 흥미유발,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one's moving image on audience's flow, arousal of interest, emotional stat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4, 2018년, pp.313 - 319  

박덕춘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방송, 영화 등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드론의 무빙 영상이 수용자의 몰입도와 흥미 유발, 감정상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험 연구이다. 그동안 미디어 영상 효과 연구들은 영상의 움직임이 스토리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 카메라의 움직임을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카메라의 움직임이 오히려 수용자의 자연스러운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움직이는 영상이 시청자의 몰입도, 흥미 유발, 감정 상태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의 피실험자들에게는 무빙 중심으로 편집된 드론 영상물을 보여주고, 다른 한 그룹의 피실험자들에게는 호버링 중심으로 편집된 드론 영상물을 각각 보여준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이 느낀 몰입도, 흥미도, 감정상태 등을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변량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론의 움직임이 있는 영상물을 감상한 피실험자들은 드론의 움직임이 없는 영상물을 감상한 피실험자들에 비해, 흥미를 더 많이 느끼고, 긍정적인 감정상태를 더 많이 느낀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드론의 무빙과 피실험자들의 몰입도 간에는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drone's moving image on media audience's flow, arousal of interest and emotional state. Most previous researchers of media image effect insisted that camera movement should be abstained in order to give audience the feeling that movement of figur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과연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주장한 것처럼 ‘움직이는 드론에 의한 영상이 수용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드론 영상들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영상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카메라 영상들이 화면 속 피사체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기 위해서 팬, 틸트, 줌, 달리, 트래킹 등 카메라 자체의 움직임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비행하며 움직이는 드론의 영상이 미디어 수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감정 상태에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낸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일반 카메라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상반되는 결론을 도출된 이유에 대한 연구자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두 56명의 대학생들로 구성된 2개의 실험 참가자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끊임없이 움직이는 드론샷 영상물과 움직임이 없는 호버링 샷 영상물을 보여준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의 몰입도와 흥미도, 감정 상태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변량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을 프로펠러의 수와 용도에 따라서 분류해보시오. 드론은 프로펠러의 수에 따라서 쿼드콥터, 헥사콥터, 옥토콥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군사용, 인명 구조용, 택배용, 농업 방제용, 낚시용, 완구용, 촬영용 드론 등으로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기존의 텔리비전 카메라 영상에서 빈번한 카메라워킹을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미디어 수용자들이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보는 것은 화면 속 피사체인 등장인물이나 스토리와 연관된 물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 촬영 감독이 어떤 기법으로 촬영하는지 보고 싶어서 영화를 감상하거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일 것이다[16]. 그런데, 촬영 감독이 지나친 카메라워킹을 구사하게 되면, 미디어 수용자들은 오히려 화면 속 인물이나 스토리에 몰입하지 못하고, 카메라워킹에 의해 오히려 방해받을 수 있는 것이다[11,13].
드론이란 무엇인가? 드론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무인비행장치(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말한다. 드론은 사람이 직접 실행하기에 위험하고 힘든 일들을 사람보다 몇 배 혹은 몇 십 배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또한 경제적이며, 산업적 측면에서도 매우 큰 가능성을 가진 분야라고 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ritjof Capra. (1991) The Tao of Physics, 2nd eds. Boulder, Colo. : Shambhala Publications. 

  2. G. B. Go. (2017. 12. 7). Unmanned Vehicle, The Seoul Economic Daily. 

  3. Gregory Vlastos, (1967). Zeno of Elea.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and The Free Press. 

  4. H. O. Nho, Y. H. Kim & S. J. Hong. (2015). A Study on Technostres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Us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4), 41-46. 

  5. Henry Bergson. (1944). Creative Evolution, trans. by Arthur Mitchell. New York : Modern Library. 

  6. Herbert Zettl. (1997).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 6th ed. Belmont, Calif. : Wadsworth Publishing Co. 

  7. H. M. Yang. (2017). My First Drone Startting. Seoul : Dongyang Books. 

  8. H. Y. Lee. (2015). Drone shooting introduction. Seoul : Communication Books. 

  9. Irvin Rock, (1984). Perception. New York : Scientific American Library. 

  10. Lang, A. (2006) Using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otivated mediated message processing to design effective cancer communication message. Journal of Communication, 56, 57-80. 

  11. M. Walter. (1995). In the Blink of an Eye : A Perspective on Film Editing. Beverly Hills, Calif. : Silman-James Press. 

  12. Paul Davies. (1996). About Time : Einstein's Unfinished Revolution. New York : Touchstone. 

  13. Provenzano, C. (2008). Towards an aesthetic of film music: Musicology meets the film soundtrack. Music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10(3), 79-94. 

  14. Sergei Eisenstein. (1957). Film Form and Film Sense, ed. & trans. by Jack Leyda. New York : World Publishing Co. 

  15. S. S. Shin. (2012) A Study on Multi-Media Contents Security Using Android Ph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3(1), 19-25. 

  16. S. Y. Park. (2010). Effect of text and music on the response of audience,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24(6), 166-208. 

  17. Stewart. W., & H. Furse. (1986). Effective television advertising: A study of 1000 commercials. Lexington. MA : Lexington Books. 

  18. T. Y. Park. (2014). Scale of involvement for TV view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Broadcasting, 28(2), 50-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