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샐러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수중유적형 유화계에서의 산화안정성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celery seeds ethanol extract using in vitro assays and oil-in-water emuls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5, 2017년, pp.480 - 485  

김민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창희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재철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자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향신료 중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산화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8.2{\pm}2.3mol$ 타닌산 당량/g extract로 나타났고, FRAP 환원력$195.0{\pm}12.6mol$ 아스코브산 당량/g extract로 나타났다. 수중유적형 유화계에서의 헤드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대조군의 산소 잔존율 보다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산소 잔존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DA가는 광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지방산화시 발생되는 conjugated dienes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질 하이드로과산화물의 양 역시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샐러리 종자의 항산화 및 수중유적형에서의 산화안정성은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샐러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우수하여 산화안정성이 중시되는 식품에 천연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80% ethanol extract of celery seed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xtracts as a natural antioxida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oil-in-water emulsion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80% ethanol extract of celery seeds was 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 식품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내열성이 강한 토코페롤(tocopherol)류를,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베타카로텐(β-carotene) 등의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를 주요한 자연 항산화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안정성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자연 식품으로부터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을 분리하여 이용하려는 소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0,11). 따라서 본 연구는 생리 활성이 우수한 샐러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증하여 산화안정성을 중시하는 식품에 천연산화안정제로서 사용가능 한지를 타진하려고 한다. 이에 항산화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소거능, 총 페놀 함량,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환원력을 측정 하였고, 식품의 산화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하여 헤드스페이스 산소(headspace oxygen) 측정, conjugated dienoic acid (CDA)가, 지방질 하이드로과산화물(lipid hydroperoxides)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신료란? 향신료는 기본적으로 모든 음식의 맛과 향을 증진시켜주고 좋지 않는 맛 또한 가려 주는 역할을 하는 식품소재로써 열매, 종자, 나무껍질, 꽃봉오리 등의 형태로 주로 존재하며 인도, 중동, 아프리카의 요리에 주로 사용되기도 한다(1,2). 또한 향신료에는 다양한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어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샐러리 종자 오일의 향기는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0% 존재하고, 쿠마린 (coumarins), 푸라노쿠마린(furanocoumarins), 다이하이드푸란쿠마린(dihydrofurancoumarins), 푸라노쿠마린 글루코사이드(furanocoumarin glucosides), 아피인(apiin), 아이소퀘세틴(isoquerci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풍부하며,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인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과 카페인산(caffeic acid)이존재하며 알칼로이드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3). 이러한 성분 중에서 샐러리 종자 오일의 향기는 프탈라이드(phthalide), 3-n-butylphthalide와 sedanenolide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향기성분 들이 암을 유도한 실험동물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을 상승 시켜 면역력을 좋게 해주어서 항암효과를 보였다는 연구보고가 있다(4).
샐러리 종자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3.0% 존재하고, 쿠마린 (coumarins), 푸라노쿠마린(furanocoumarins), 다이하이드푸란쿠마린(dihydrofurancoumarins), 푸라노쿠마린 글루코사이드(furanocoumarin glucosides), 아피인(apiin), 아이소퀘세틴(isoquerci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풍부하며,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인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과 카페인산(caffeic acid)이존재하며 알칼로이드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졌다(3). 이러한 성분 중에서 샐러리 종자 오일의 향기는 프탈라이드(phthalide), 3-n-butylphthalide와 sedanenolide형태로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apsell LC, Hemphill I, Cobiac L, Patch CS, Sullivan DR, Fenech M, Roodenrys S, Keogh JB, Clifton PM, Williams PG, Fazio VA, Inge KE. Health benefits of herbs and spices: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Med. J. Aust. 185: S4-24 (2006) 

  2. Murdok L. A busy cook's guide to spices: How to introduce new flavors to everyday meals. Bellwether Books, Englewood, CO, USA. p.14 (2001) 

  3. Sowbhagya HB. Chemistry, technology, and nutraceutical functions of celery (Apium graveolens L.): An overview. Crit. Rev. Food Sci. Nutr. 54: 389-398 (2014) 

  4. Zheng GQ, Kenney PM, Zhang J, Lam LK. Chemoprevention of benzo[a]pyrene-induced forestomach cancer in mice by natural phthalides from celery seed oil. Nutr. Cancer 19: 77-86 (1993) 

  5. Tsi D, Das NP, Tan BK. Effects of aqueous celery (Apium graveolens) extract on lipid parameters of rats fed a high fat diet. Planta Med. 61: 18-21 (1995) 

  6. Si Y, Guo S, Fang Y, Qin S, Li F, Zhang Y, Jiao P, Zhang C, Gao L. Celery seed extract blocks peroxide injury in macrophages via Notch1/NF- ${\kappa}B$ pathway. Am. J. Chin. Med. 43: 443-55 (2015) 

  7. Kulshrestha VK, Singh N, Saxena RC, Kohli RP. A study of central pharmacological activity of an alkaloid fraction of Apium graveolens. Indian J. Med. Res. 58: 99-102 (1970) 

  8. Jain SR, Jain MR. Effects of some common essential oils pathogenic fungi. Planta Med. 24: 127-132 (1973) 

  9. Madhavi D, Kagan D, Rao V, Murray M. A pilot study to evaluat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a celery extract in mild to moderate hypertensive patients. Nat. Med. J. 4: 1-3 (2013) 

  10.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JM, SineiroJ, Dominguez H, Nunez MJ, Parajo JC. Natural antioxidant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2001) 

  11. Kim JG, Kang YM, Eum GS, Go YM, Kim 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 Life Sci. 37: 69-75 (2003) 

  1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1958) 

  13.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1999) 

  14.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asticphospho 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 J. Biol. Chem. 12: 239-243 (1912) 

  15.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996) 

  16. Yi BR, Ka HJ, Kim MJ, Lee JH. Effects of curcumin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oils depending on type of matrix, photosensitizer, and temperature. J. Am. Oil Chem. Soc. 92: 685-691 (2015) 

  17. Kim MJ, Park MH, Jeong MK, Yeo JD, Cho WI, Chang PS, Chung JH, Lee JH. Radical scavenging acticity and anti-obesity effects i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of ssuk (Artemisia princeps Pamp.) extract. Food Sci. Biotechnol. 19: 535-540 (2010) 

  18. Mei L, McClements DJ, Wu J, Decker EA. Iron-catalyze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as affected by surfactant, pH and NaCl. Food Chem. 61: 307-312 (1998) 

  19. Kim TS, Decker EA, Lee JH. Effects of chlorophyll photosensitisation on the oxidative stability in oil-in-water emulsions. Food Chem. 133: 1449-1455 (2012) 

  20. Yang SO, Chang PS, Lee JH. Effects of riboflavin-photosensitized oxidation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oleic acid model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17-722 (2005) 

  21. Lee JH. Photooxidation and photosensitized oxidation in linoleic acid, milk, and lard. PhD thesis,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USA (2002) 

  22. Kim J, Kim SA, Yun WK, Kim EJ, Woo MK, Lee MS. Antioxidan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26-1431 (2004) 

  23. Ahn CK, Lee YC, Yeom CA. Antioxidant and mixture of curry spice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91-499 (2000) 

  24. Jung WS, Chung IM, Kim SH, Kim MY, Ahmad A, Praveen 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from celery (Apium graveolens) leaves. J. Med. Plants Res. 5: 7022-7030 (2011) 

  25. Favre HA, Powell WH.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hem. Sci. 139-597 (2014) 

  26. Joerg G. PDR for Herbal Medicines. 3rd ed. Thomson PDR Inc., Montvale, NJ, USA. p. 802 (2004) 

  27. Shulgin AT, Sargent T, Naranjo C. The chemistry and psychopharmacology of nutmeg and of several related phenylisopropylamines. Psychopharmacol. Bull. 4: 13 (1967) 

  28. Iscan G, Kirimer N, Demirci F, Demirci B, Noma Y, Husnu K. Baser C. Biotransformation of (-)-(R)- ${\alpha}$ -phellandrene: Antimicrobial activity of Its major metabolite. Chem. Biodivers. 9: 1525-1532 (2012) 

  29. Lima DF, Brandao MS, Moura JB, Leitao JM, Carvalho FA, Miura LM, Leite JR, Sousa DP, Almeida FR. Antinociceptive activity of the monoterpene ${\alpha}$ -phellandrene in rodents: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J. Pharm. Pharmacol. 64: 283-29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