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심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
Effect of Ipomoea aquatica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5, 2017년, pp.519 - 523  

김현수 (중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공심채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D_{50}$, $7.84{\mu}g/mL$),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ID_{50}$, $106.56{\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41.75{\mu}g/mL$)를 보여주었다. 공심채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공심채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심채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공심채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s of functional materials through the examination of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Ipomoea aquatica extract. I. aquatica extract showed low cytotoxicity against murine melanoma B16F10 cells. At concentrations that exerted little or no cytotoxicity to the 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다양한 의학적 이용 가능성을 연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으로 활성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미백활성, 피부장벽 개선 등 피부개선 효과를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소재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심채 잎 추출시료를 가지고 산화방지 및 생리활성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미백시험을 비롯한 피부효능 개선 시험,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메커니즘 및 피부장벽 개선 관련 시험을 조사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화장품으로 공심채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공심채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D50, 7.84 μg/mL),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ID50, 106.56 μ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50, 41.75 μg/mL)를 보여주었다. 공심채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공심채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심채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공심채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각질형성세포는 어떤 세포인가?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1,2).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가 각질층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며, 자연보습인자와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방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3). 피부장벽은 지속적인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 받아 피부건조증,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이 유발되는데 현재 화장품에서 손상된 장벽을 보충하기 위해 보습제, 세라마이드 등 증상완화를 위한 물질을 사용할 뿐 피부항상성 기전에 근거한 효능 물질 개발은 미미한 상황이다(4).
표피의 기능은 무엇인가?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1,2).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가 각질층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며, 자연보습인자와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방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장벽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lias PM. Stratum corneum defensive functions: An integrated view. J. Invest. Dermatol. 125: 183-200 (2005) 

  2. Holleran WM, Takagi Y, Menon GK, Jackson SM, Lee JM, Feingold KR, Elias PM. Permeability barrier requirements regulate epidermal beta-glucocerebrosidase. J. Lipid Res. 35: 905-912 (1994) 

  3. Downing DT. Lipid and protein structures in the permeability barrier of mammalian epidermis. J. Lipid Res. 33: 301-313 (1992) 

  4. Kuenzli S, Saurat J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in cutaneous biology. Br. J. Dermatol. 149: 229-236 (2003) 

  5. Briganti S, Camera E, Picardo M. Chemical and instrumental approaches to treat hyperpigmentation. Pigment Cell. Res. 16: 101-110 (2003) 

  6. Lamy E, Schrder J, Paulus S, Brenk P, Stahl T, Mersch-Sundermann V. Antigenotoxic properties of Eruca sativa (rocket plant), erucin and erysolin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towards benzo(a)pyrene and their mode of action. Food Chem. Toxicol. 46: 2415-2421 (2008) 

  7. Dua TK, Dewanjee S, Gangopadhyay M, Khanra R, Zia-Ul-Haq M. Ameliorative effect of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 (Convolvulaceae), against experimentally induced arsenic toxicity. J Transl. Med. 13: 81-98 (2015) 

  8. Malalavidhane TS, Wickramasinghe SM, Perera MS, Jansz ER. Oral hypoglycaemic activity of Ipomoea aquatic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and type II diabetics. Phytother. Res. 17: 1098-1100 (2003) 

  9. Badruzzaman SM, Husain W. Some aquatic and marshy land medicinal plants from Hardoi district of uttar Pradesh. Fitoterapia 63: 245-247 (1992) 

  10. Samuelsson G, Farah MH, Claeson P, Hagos M, Thulin M, Hedberg O, Warfa AM, Hassan AO, Elmi AH, Abdurahman AD. Inventory of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Somalia. II. Plants of the families combretaceae to labiatae. J. Ethnopharmacol. 37: 47-70 (1992) 

  11. Chopra RN, Nayar SL, Chopra IC. Glossary oof indian medicinal plants.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New Delhi, India (1956) 

  12. Kim B, Choi YE, Kim HS. Eruca sativa and its flavonoid components, quercetin and isorhamnetin, improve skin barrier function by activ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lpha}$ and sup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Phytother. Res. 28: 1359-1366 (2014) 

  13. Ranke J, Mlter K, Stock F, Bottin-Weber U, Poczobutt J, Hoffmann J, Ondruschka B, Filser J, Jastorff B. Biological effects of imidazolium ionic liquids with varying chain lengths in acute Vibrio fischeri and WST-1 cell viability assays. Ecotoxicol. Environ. Saf. 58: 396-404 (2004) 

  14. Miliauskas G, Venskutonis PR, van Beek TA.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004) 

  15. Masamoto Y, Ando H, Murata Y, Shimoishi Y, Tada M, Takahata K.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sculetin isolated from seeds of Euphorbia lathyris L.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631-634 (2003) 

  16.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985) 

  17. Jeon YS, Jung YJ, Youm JK, Kim YK, Kim SN.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Korean J. Plant Res. 26: 526-532 (2013) 

  18. Kim TH, You JK, Kim JM, Baek JM, Kim HS, Park JH, Choe M.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8-1424 (2010) 

  19. Song HS, Moon HJ, Park BE, Choi BS, Lee DJ, Lee JY, Kim CJ, Sim SS.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bamboo extracts. J. Pharm. Soc. 51: 500-507 (2007) 

  20. Yoon HS, Yang KW, Kim JE, Kim JM, Lee NH, Hyun CG. Hypopigmenting effects of extracts from bulbs of Lilium otriental hybrid 'Siberia'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705-711 (2014) 

  21. Kim B, Lee SH, Choi KY, Kim HS. N-nicotinoyl tyramine, a novel niacinamide derivative, inhibits melanogenesis by suppressing MITF gene expression. Eur. J. Pharmacol. 764: 1-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