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일최심신적설의 추정을 위한 인공신경망모형의 활용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stimation of daily maximum snow depth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0, 2017년, pp.681 - 690  

이건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레이더 재해연구.데이터센터) ,  김동균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하여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여 일최심신적설을 추정하였다. 인공신경망 모형 구조를 시행 착오법을 이용하여 설계한 결과, 입력자료는 일 최저 기온, 일 평균 기온, 강수량으로 정하였고, 은닉층노드의 수는 각각 1층, 10개로 정하였다. 관측값을 인공신경망의 입력자료로 활용하는 경우, 교차검증 상관계수는 0.87로 Ordinary Kriging기법을 활용하여 일최신심적설을 공간보간한 경우의 교차검증상관계수인 0.40보다 크게 높았다. 미계측 지역의 일최심신적설을 추정하는 경우의 인공신경망 모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입력자료들을 Ordinary Kriging으로 공간보간하여 일최심신적설을 추정하였다. 이 경우 교차검증 상관계수는 0.49였다. 또한 해발 고도 200 m 이상의 산지에서의 인공신경망의 성능은 나머지 지역인 평지에서의 성능보다 다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친 정확한 적설량의 즉각적인 산정에 인공신경망 모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d the daily maximum snow depth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in Korean Peninsula. First, the optimal ANN model structure was determined through the trial-and-error approach. As a result, daily precipitation, daily mean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 기법을 활용하여 지상 관측소의 기상 자료로부터 미계측 지역의 적설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후)본 연구는">본연구는 관련 선행연구의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우리나라전역에 대한 적설량의 즉각적인 산출을 가능케 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병렬처리 방식으로 인해 인공신경망은 다소 복잡한 문제에서도 일반화가 가능하다. 최종 설계된 인공 신경망은 아직 접하지 못한 데이터를 올바르게 출력하는 것을 목표로 갖는다.

가설 설정

  • 후)(b)인공신경망을">(b)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추정한 일최심신적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신경망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Fig. 2는 본연구에서 사용한 최적의 인공신경망 구조로써기본적으로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안에 있는 각 노드는 다음층에 있는 노드와 가중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공신경망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학습과정이라 부르며, 각 가중치는 관측값과 추정값 사이의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결정된다(Oh, 2008; Cho et al., 2008).
인체에서 뉴런은 어떤 기능을 가지는가? 이와 같은 구조는 뉴런의 정보 처리 과정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 인체의 뉴런은 수상돌기로 자극을 받아들인후 축색으로 다른 뉴런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뉴런과 뉴런 사이는 시냅스로 연결되어 있듯이 마찬가지로 인공신경망은 노드와 노드 사이가 가중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ras, R. L. (1990). "Hydrology." pp. 248-256. 

  2. Broxton, P. D., Dawson, N., and Zeng, X. (2016). "Linking snowfall and snow accumulation to generate spatial maps of SWE and snow depth." Earth and Space Science, Vol. 3, No. 6, pp. 246-256. 

  3. Brun, E., David, P., Sudul, M., and Brunot, G. (1992). "A numerical model to simulate snow-cover stratigraphy for operational avalanche forecasting." Journal of Glaciology, Vol. 38, pp. 13-22. 

  4. Cao, Y., Yang, X., and Zhu, X. (2008). "Retrieval snow depth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ology from integrated AMSR-E and In-situ data-A case study in Qinghia-Tibet Plateau."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Vol. 18, pp. 356-360. 

  5. Chang, A. T. C., Foster, J. L., and Hall, D. K. (1987). "Nimbus-7 SMMR derived global snow cover parameters." Annals of Glaciology, Vol. 9, pp. 39-44. 

  6. Cho, H., Kim, D., Olivera, F., and Guikema, S. D. (2011). "Enhanced speciation i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multi-modal proble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13, No. 1, pp. 15-23. 

  7. Czyzowska-Wisniewski, E. H., Van Leeuwen, W. J. D., Hirschboeck, K. K., Marsh, S. E., and Wisniewski, W. T. (2014). "Fractional snow cover estimation in complex alpine-forested environment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56, pp. 403-417. 

  8. Daliy, C. (2006).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spatial climate data se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6, pp. 707-721. 

  9. Davis, D. T., Chen, Z., Tsang, L., Hwang, J.-N., and Chang, A. T. C. (1993). "Retrieval of snow parameters by iterative inversion of a neural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31, pp. 842-852. 

  10. Dewey, K. F. (1977).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forecasts and the influence of snow cover."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105, pp. 1594-1597. 

  11. Dingman, S. L. (2002). "Physical hydrology." Prentice Hall, pp. 166-218. 

  12. Dobreva, I. D., and Klein, A. G. (2011). "Fractional snow cover mapping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of MODIS surface reflectan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5, pp. 3355-3366. 

  13. Gan, T. Y., Kalinga, O., and Singh, P. (2009). "Comparison of snow water equivalent retrieved from SSM/I passive microwave dat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projection pursuit and nonlinear regress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3, pp. 919-927. 

  14. Josberger, E. G., and Mognard, N. M. (2002). "A passive microwave snow depth algorithm with a proxy for snow metamorphism." Hydrological Processes, Vol. 16, pp. 1557-1568. 

  15. Judson, A., and Doesken, N. (2000), "Density of freshly fallen snow in the central rocky mountain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1, pp. 1577-1587. 

  16. Kim, Y. S., Kang, N. R., Kim, S. J., and Kim, H. S. (2013). "Evaluation for snowfall depth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Kosham, Vol. 13, pp. 269-280. 

  17. Kim, Y. S., Kim, S. J., Kang, N. R., Kim, T. G., and Kim, H. S. (2014). "Estimation of frequency based snowfall depth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neural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pp. 97-107. 

  18. Kondo, J., and Yamazaki, T. (1990). "A prediction model for snowmelt, snow surface temperature and freezing depth using a heat balance method."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5, pp. 375-384. 

  19. Kunzi, K., Patil, S., and Rott, H. (1982). "Snow-cover parameters retrieved from Nimbus-7 Scanning multichannel microwave radiometer (SMMR)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20, pp. 452-467. 

  20. Lee, J.-J., Jung, Y.-H., and Lee, S.-W.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obable snowfall dept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7, pp. 53-64. 

  21. Lee, Y. K., Lee, C. J., and Ahn, S. G. (2015). "Estimation of freshly fallen snow unit weight and maximum probable snow loa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pp. 47-55. 

  22. Liang, J., Liu, X., Huang, K., Li, X., Shi, X., Chen, Y., and Li, J. (2015). "Improved snow depth retrieval by integrating microwave brightness temperature and visible/infrared reflectan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56, pp. 500-509. 

  23. Meloysund, V., Leira, B., Hoiseth, K. V., and Liso, K. R. (2007). "Predicting snow density using meteorological data." Meteorological Applications, Vol. 14, pp. 413-423. 

  24. Mitchell, T. M. (1997). "Machine learning." McGraw-Hill Science/ Engineering/Math, pp. 81-108. 

  25. New, M., Hulme, M., and Jones, P. (1999). "Representing twentiethcentury space-Time climate variability. Part I: Development of a 1961-90 mean monthly terrestrial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12, pp. 829-856. 

  26. Oh (2008). "Pattern recognition." Kyobo, pp. 1-15, 95-132. 

  27. Park, H. S., Jeong, S. M., and Chung, G. H. (2014). "Frequency analysis of future fresh snow days and maximum fresh snow dept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pp. 365-377. 

  28. Pulliainen, J. T., Grandell, J., and Hallikainen, M. T. (1999). "HUT snow emission model and its applicability to snow water equivalent retrieval."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37, pp. 1378-1390. 

  29. Rashid, T. (2016). "Make your own neural network : a gentle journey through the mathematics of neural networks, and making your own using the Python computer languag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pp. 43. 

  30. Richard, O. D., Peter, E. H., and David, G. S. (2001). "Pattern classification." 

  31. Rigol, J. P., Jarvism, C. H., and Stuart, N. (2001). "Artificial neural networks as a tool for spatial interpo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5, pp. 323-343. 

  32. Roebber, P., Butt, M. R., and Reinke, S. J. (2007). "Realtime forecasting of snowfall using a neural network."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2, pp. 676-684. 

  33. Roy, V., Goita, K., Royer, A., Walker, A. E., and Goodison, B. E. (2004). "Snow water equivalent retrieval in a Canadian boreal environment from microwave measurements using the HUT snow emission model."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2, pp. 1850-1859. 

  34. Samaneh, G.-M., Ali, F., and Ruhoolah, T.-M. (2016). "Comparis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models in estimating spatial distribution of snow depth in a semi-arid region of Iran." Cold Regions Science and Technology, Vol. 122, pp. 26-35. 

  35. Sun, C., Cheng, H.-D., McDonnel, J. J., and Neale, C. M. U. (1995). "Identification of mountain snow cover using SSM/I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Vol. 5, pp. 3451-3454. 

  36. Tedesco, M., Pulliainen, J., Takala, M., Hallikainen, M., and Pampaloni, P. (2004).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techniques for the retrieval of SWE and snow depth from SSM/I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90, pp. 76-85. 

  37. Witten, I. H., Frank, E., and Hall, M. A. (2011), "Data mining." Morgan Kaufmann, pp. 39-60. 

  38. Yoo, I., and Jung, S. (2015),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damage cause of heavy snow in Korea." The Magazine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pp. 29-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