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산림계획을 위한 주요 수종의 지역별 특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jor Species for Regional Forest Plan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3, 2017년, pp.330 - 339  

박주원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공 사유림에 대해서 광역시 도가 지역산림계획을 수립하여 산림을 경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역산림 계획은 국가 단위의 산림기본계획과 임분 단위로 수립되는 산림경영계획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산림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역단위 산림자원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도 단위로 어느 수종이 집중되어 있는지 제시하여 지역산림계획의 효율적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집중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특화계수와 상대집중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면적과 재적 자료를 통하여 각각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 도별로 집중되어져 있는 임업통계연보에서 제시된 주요 수종들을 순위 별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산림계획 수립 시 해당 지역에 집중된 수종을 고려하여 목표수종 혹은 경영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면적과 재적 기준의 결과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차후 지역의 수종별 생산성 요소도 반영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re responsible for setting up their own Regional Forest Plans to manage the forests at regional scales distinguished by administrative boundaries, and the role of the plans are very crucial by linking the Forest Basic Plan for nationwide forest manag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 종류의 계수값들의 결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각 광역시 · 도별로 집중도가 높은 수종들 가운데 네 개 계수 가운데 세 개 이상에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나는 수종을 중심으로 그 순위가 나타나는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Table 5).
  • 본 연구는 특화계수 및 상대집중계수 방법들을 산림의 면적과 재적에 적용하여 수종들의 집중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각 광역시도별로 집중도가 높은 수종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산림계획 수립 시 산림경영방향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우리나라 국가공식통계인 임업통계연보를 사용하였으며 산림경영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인 면적과 재적을 이용하여 특성화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임령 등의 산림자원 정보도 중요한 요인이기는 하나 본 연구는 주요 수종의 특성화 정도이며 이는 면적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산림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임업통계연보에 수록된 주요 수종을 중심으로 지역별 특성화 정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별 특성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특화계수 및 상대집중계수를 채택하였고, 수종별 면적 및 재적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광역시 · 도의 지역별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 시 · 도별 수종 분포 특성의 이해는 어느 지역에 어느 수종을 집중 혹은 특화할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에 유용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수종집중도를 계량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계획제도란? 산림계획제도는 ‘장기적 관점에서 산림이 생산하는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와 같은 산림자원의 보속생산을 보장하고 산림 생산력의 증대를 도모하면서 산림의 다면적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산림시업을 합리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KFS, 2001). 
우리나라의 산림계획제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우리나라의 산림계획제도는 산림기본계획, 지역산림계획 및 국유림과 공 · 사유림경영계획(이하 산림경영계획)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산림기본계획은 산림자원 및 임산물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장기적 전망을 기초로 하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이루어지도록 전국 산림을 대상으로 국가 산림경영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그 하위에 특별시장 · 광역시장 · 특별자치시장 · 도지사 ·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 · 도지사”) 및 지방산림청장이 산림기본계획에 나타난 산림경영의 목표와 추진방향에 의거 관할 지역 안의 산림자원, 산지관리, 산림생태, 산림산업 등을 고려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지역산림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산림기본법, 법률 제13025호 제11조).
공 · 사유림에 대한 지역산림계획에서 지역적 특성의 반영 측면이 부족한 경향을 나타내는 이유는? 특히, 시 · 도지사가 작성하는 공 · 사유림에 대한 지역산림계획은 국가의 산림기본계획을 전파하는 측면에 비하여 지역적 특성의 반영이라는 측면이 부족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이 발생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지역별 산림자원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지역산림계획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의 산림자원이 갖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지역 특화적인 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S.J. and Seok, H.D. 2013.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Forestry Cluster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20(1): 25-34. 

  2. Bae, J.S., Yoo, Y.M., Song, Y.G. and Park, K.S. 2004. A Study on the Applicable Public Participation in National Forest Plan Syste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1): 75-85. 

  3. Cho, J.S. 2013. Territory-specialized Rural Development Strategy in Case of the County Jangseong in South-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5(1): 79-102. 

  4. Choi, B.A. 2012. New Challenges in the Forest Policies by the Change in the Fifth Forest Basic Plan. Proceedings of 2012 Summer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tudies. 281-298. 

  5. Isserman, A.M. 1977. The Location Quotient Approach to Measuring Regional Economic Impact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43(1): 33-41. 

  6. Kim, D.M., Lim, C.H., Lee, W.K. and Song, C.H.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4): 640-648. 

  7. Kim, E.G. 2006. The Vision and Policy Trend of Fifth Korean Forest Basic Plan. Proceedings of the 2013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19-48. 

  8. Kim, S.B., Ko, Y.W., Oh, D.K. and Noh, H.K. 2013. A Study on Regional Specialization of Fruit Tre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292-299. 

  9. Korean Forest Service. 2001. Dictionary of Forest and Forestry 

  10. Korea Forest Service. 2009.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Code. 

  11. Korean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12. Lee, S.H. 2015. Analysis and Suggestion for Regional Specialization and Organization of Facility-based Vegetable and Fruit Farming. Proceeding of the 2015 Summer Meeting of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235-245. 

  13. Lee, S.H., Chung, H.D. and Park, C.S. 2008. Development Strategies for Regional Economies Based on Specialization of Regional special Areas. Korean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77-201. 

  14. Min, K.T., Kim, M.E. and Kwon, S.H. 201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rest Planning System, C2015-2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5. Min, Y.K., Choi, C.E., Chun, E.J. and Nam, K.J. 2013. A Proposal Concerning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Garisan Forest Working Plan Area. Proceedings of the 2013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261-262. 

  16. Schubert, A. and Braun, T. 1986. Relative Indicators and Relational Charts for Comparative Assessment of Publication Output and Citation Impact. Scientometrics 9: 281-291. 

  17. Schubert, A., Glanzel, W. and Braun, T. 1989. Scientometric Datafiles. A Comprehensive Set of Indicators on 2,649 Journals and 96 Countries in all Major Science Fields and Subfields, 1981-1985. Scientometrics 16(1-6): 3-478. 

  18. Shin, J.Y. and Lee, S.Y. 2014.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Focused on the Model Forest in Mt. Maehwa. Proceedings of the 2014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11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