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을 대상으로 D-리보오스 함유 비율을 달리한 설탕 섭취에 따른 Glycemic Index 및 혈당 반응 연구
Comparing the effects of intake of sugar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ribos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5, 2017년, pp.426 - 436  

김아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남혜경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경명옥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서승우 (대한제당(주) 중앙연구소)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0 주 동안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 14명을 대상으로 D-리보오스 함유 비율이 다른 설탕 (D-리보오스 5%, 10%, 14% 함유) 섭취가 혈당 반응과 GI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혈당 저감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탕과 D-리보오스함유 설탕의 혈당반응값을 비교하였을 때 D-리보오스 함유 설탕인 RB5, RB10, RB14 순으로 낮아졌으며 RB10, RB14는 설탕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반응값을 보였다. 백설탕, RB5, RB10, RB14의 GI는 각각 67.39, 67.07, 47.57, 45.62로 설탕과 RB5는 중 GI 식품으로, RB10과 RB14는 저 GI 식품으로 분류되었으며, RB10, RB14의 GI는 설탕과 RB5의 GI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당 변화에 따른 Cmax를 보면 포도당 61.73 mg/dL에 비해 RB5, RB10, RB14가 각각 49.43 mg/dL, 37.25 mg/dL, 35.15 mg/dL로 유의적으로낮았으나, 설탕의 Cmax 58.18 mg/dL과 비교 시 RB10, RB14의 Cmax는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RB5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D-리보오스 함유 설탕의 혈당 상승 억제 효과는 D-리보오스를 5% 함유 시 보다는 D-리보오스를 10% 이상 함유할 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리보오스를 10%, 14% 함유한 설탕의 GI값과 혈당 변화율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D-리보오스 14% 함유보다는 D-리보오스 10% 함유하는 것이 혈당 저감화 효과 및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기능성 설탕의 비율로 더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the extent to which three different levels of D-ribose in sugar reduce the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Methods: Healthy adults (eight male and six female participants, n = 14) fasted for 14~16 h after eating the same dinner. Participan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D-리보오스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D-리보오스 자체를 섭취한 후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설탕에 D-리보오스를 첨가 한 후의 GI, 혈당 변화 및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D-리보오스의 함유 비율을 달리한 설탕 섭취가 GI 및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D-리보오스 함유 설탕의 기능성 감미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구명하고, GI 저감 개선에 필요한 D-리보오스의 적정 함유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당지수는 무엇인가? 식후 혈당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요인 중 하나로 식품내 탄수화물의 조성 및 함량의 차이에 따라 분류되는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GI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GI가 낮은 식이 섭취 시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혈당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5 반면, GI가 높은 식이는 인슐린 필요량을 증가시켜 고인슐린혈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공식품의 당 함량 감소를 위해 주로 시도되고 있는 방법은? 가공식품의 당 함량 감소를 위해 주로 시도되고 있는 방법은 액상과당이나 설탕 등의 당을 대체 감미료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가공식품에 사용 가능한 대체 감미료로는 고감미 감미료류인 사카린,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유래로 만들어진 리바우디오사이트 (Rebaudioside A) 등이 있고, 당알코올류인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올리고당류인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자일로올리도당, 파라티노오스 등이 있으며, 단당류인 과당, 포도당, 타가토스, 알룰로스 등이 있다.
가공식품에 사용 가능한 대체 감미료 중에서 당알콜류의 특징은? 가공식품에 사용 가능한 대체 감미료로는 고감미 감미료류인 사카린,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유래로 만들어진 리바우디오사이트 (Rebaudioside A) 등이 있고, 당알코올류인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올리고당류인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자일로올리도당, 파라티노오스 등이 있으며, 단당류인 과당, 포도당, 타가토스, 알룰로스 등이 있다. 고감미 감미료의 경우에는 감미질이 설탕과는 다르고 단가가 높아 보편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나,당알콜류의 경우는 체내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아 칼로리가 낮을 뿐만 아니라 충치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과잉 섭취 시 위장 장애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World Health Organization.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2. Glucose tolerance and mortality: comparison of WHO and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tic criteria. The DECODE study group. European Diabetes Epidemiology Group. Diabetes Epidemiology: Collaborative analysis Of Diagnostic criteria in Europe. Lancet 1999; 354(9179): 617-621. 

  3. Beisswenger P, Heine RJ, Leiter LA, Moses A, Tuomilehto J. Prandial glucose regulation in the glucose triad: emerging evidence and insights. Endocrine 2004; 25(3): 195-202. 

  4. Jenkins DJ, Wolever TM, Collier GR, Ocana A, Rao AV, Buckley G, Lam Y, Mayer A, Thompson LU. Metabolic effects of a lowglycemic-index diet. Am J Clin Nutr 1987; 46(6): 968-975. 

  5.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1): 269S-274S. 

  6. McKeown NM, Meigs JB, Liu S, Saltzman E, Wilson PW, Jacques PF. Carbohydrate nutrition, insulin resistance, an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Cohort. Diabetes Care 2004; 27(2): 538-546. 

  7. Ludwig DS, Majzoub JA, Al-Zahrani A, Dallal GE, Blanco I, Roberts SB. High glycemic index foods, overeating, and obesity. Pediatrics 1999; 103(3): E26. 

  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ugar d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9. Latulippe ME, Skoog SM. Fructose malabsorption and intolerance: effects of fructose with and without simultaneous glucose ingestion. Crit Rev Food Sci Nutr 2011; 51(7): 583-592. 

  10. DeChristopher LR, Uribarri J, Tucker KL. Intake of high fructose corn syrup sweetened soft drinks, fruit drinks and apple juice is associated with prevalent coronary heart disease, in U.S. adults, ages 45-59 y. BMC Nutr 2017; 3(1): 51. 

  11. Ibarra-Reynoso LD, Lopez-Lemus HL, Garay-Sevilla ME, Malacara JM. Effect of restriction of foods with high fructose corn syrup content on metabolic indices and fatty liver in obese children. Obes Facts 2017; 10(4): 332-340. 

  12. Kim JH. Spotlight functional sweeteners. Food Ind Nutr 2010; 15(2): 26-28.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Food additive standard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ited 2016 Nov 29].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Aditive/foodAdditiveRvlv.do?page_gubun1&procs_cl1&menu_no306&menu_grpMENU_GRP01. 

  14. Bierman EL, Baker EM, Plough IC, Hall WH. Metabolism of dribose in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59; 8(6): 455-458. 

  15. Steinberg T, Poucher RL, Sarin RK, Rees RB, Gwinup G. Oral administration of D-ribose in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70; 19(1): 11-16. 

  16. Han C, Lu Y, Wei Y, Liu Y, He R. D-ribose induces cellular protein glycation and impairs mouse spatial cognition. PLoS One 2011; 6(9): e24623. 

  17. Hetenyi G Jr, Ishiwata K. Effect of D-(--)-ribose on the turnover of glucose in dogs. Am J Physiol 1968; 214(6): 1333-1339. 

  18. Ishiwata K, Hetenyi G Jr, Vranic M. Effect of D-glucose or Dribose on the turnover of glucose in pancreatectomized dogs maintained on a matched intraportal infusion of insulin. Diabetes 1969; 18(12): 820-827. 

  19. Ismail ZB, Abu-Baker N, Alzoubi K, Al-Zhgoul M, Al-Essa MK, Khlouf S, Al-Saleh A, Al-Omari B, Abu-Tayeh R, Shomaf M, Battah A, Al-Hadidi K. Evaluation of alpha-D-ribofuranose (Dribose) toxicity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to rabbits. Hum Exp Toxicol 2012; 31(8): 820-829. 

  20. Teitelbaum JE, Johnson C, St Cyr J. The use of D-ribose in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fibromyalgia: a pilot study. J Altern Complement Med 2006; 12(9): 857-862. 

  21. Seifert JG, Subudhi AW, Fu MX, Riska KL, John JC, Shecterle LM, St Cyr JA. The role of ribose on oxidative stress during hypoxic exercise: a pilot study. J Med Food 2009; 12(3): 690-693. 

  22. Lee YH, Shin KO, Kim KS, Kim YI, Woo JH. The effects of Dribose supple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blood fatigue factors after maximal intensity exercise. J Life Sci 2011; 21(5): 729-733. 

  23. Foster-Powell K, Holt SH, Brand-Miller JC.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2002; 76(1): 5-56. 

  24. Brouns F, Bjorck I, Frayn KN, Gibbs AL, Lang V, Slama G, Wolever TM. Glycaemic index methodology. Nutr Res Rev 2005; 18(1): 145-171. 

  25. Wolever TM, Vorster HH, Bjorck I, Brand-Miller J, Brighenti F, Mann JI, Ramdath DD, Granfeldt Y, Holt S, Perry TL, Venter C, Xiaomei Wu. Determination of the glycaemic index of foods: interlaboratory study. Eur J Clin Nutr 2003; 57(3): 475-482. 

  26. Nam H, Kyung M, Seo S, Jung S, Chang MJ.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xylooligosaccharid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J Nutr Health 2015; 48(5): 398-406. 

  27. Moon SH, Lee KS, Kyung MO, Jung SW, Park YJ, Yang CK. Study on the proper D-xylose concentration in sugar mixture to reduce glycemic index (GI) value in the human clinical model. Korean J Food Nutr 2012; 25(4): 787-792. 

  28. Lee JS, Kim AR, Nam H, Kyung M, Seo S, Chang MJ. Effect of varying levels of xylobiose in sugar on glycemic index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J Nutr Health 2016; 49(5): 295-303. 

  29. Brand-Miller JC, Holt SH, Pawlak DB, McMillan J. Glycemic index and obesity. Am J Clin Nutr 2002; 76(1): 281S-285S. 

  30. Hodge AM, English DR, O'Dea K, Giles GG. Glycemic index and dietary fiber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11): 2701-2706. 

  31. Ludwig DS. Dietary glycemic index and obesity. J Nutr 2000; 130(2S Suppl): 280S-283S. 

  32. Pliml W, von Arnim T, Stablein A, Hofmann H, Zimmer HG, Erdmann E. Effects of ribose on exercise-induced ischaemia in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Lancet 1992; 340(8818): 507-510. 

  33. Gross M, Zollner N. Serum levels of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during long-term D-ribose administration in man. Klin Wochenschr 1991; 69(1): 31-36. 

  34. Tao SU, Rong-Qiao HE. An insight of D-ribose metabolic imbalanc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rog Biochem Biophys 2015; 42(4): 390-392. 

  35. Bae YJ, Bak YK, Kim B, Kim MS, Lee JH, Sung MK. Coconutderived D-xylose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in healthy individuals. Nutr Res Pract 2011; 5(6): 533-539. 

  36. Shibanuma K, Degawa Y, Houda K. Determination of the transient period of the EIS complex and investigation of the suppression of blood glucose levels by L-arabinose in healthy adults. Eur J Nutr 2011; 50(6): 447-453. 

  37. Seri K, Sanai K, Matsuo N, Kawakubo K, Xue C, Inoue S. L-arabinose selectively inhibits intestinal sucrase in an uncompetitive manner and suppresses glycemic response after sucrose ingestion in animals. Metabolism 1996; 45(11): 1368-1374. 

  38. Segal S, Foley J. The metabolism of D-ribose in man. J Clin Invest 1958; 37(5): 719-735. 

  39. Sahlin K, Broberg S, Ren JM. Formation of inosine monophosphate (IMP) in human skeletal muscle during incremental dynamic exercise. Acta Physiol Scand 1989; 136(2): 193-198. 

  40. Naito Y. Biochemical studies on d-ribos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echanism of absorption of sugars from intestinal tract. J Biochem 1944; 36(1): 131-161. 

  41. Griffiths JC, Borzelleca JF, St Cyr J. Sub-chronic (13-week) oral toxicity study with D-ribose in Wistar rats. Food Chem Toxicol 2007; 45(1): 144-152. 

  42. Eijnde BO, Van Leemputte M, Brouns F, Van Der Vusse GJ, Labarque V, Ramaekers M, Van Schuylenberg R, Verbessem P, Wijnen H, Hespel P. No effects of oral ribose supplementation on repeated maximal exercise and de novo ATP resynthesis. J Appl Physiol (1985) 2001; 91(5): 2275-2281. 

  43. Yoon JW, Lee SE, Park H. Effect of D-ribose supplementation on run-to-exhaustion time and antioxidative capacity under sea level or high altitude condition. J Exerc Nutr Biochem 2009; 13(1): 45-50. 

  44. Shecterle LM, St Cyr JA. Dermal benefits of topical D-ribose. Clin Cosmet Investig Dermatol 2009; 2: 151-152. 

  45. Cleveland Clinic Wellness (US). Ribose supplement review [Internet]. Cleveland (OH): Cleveland Clinic Wellness; [cited 2017 Aug 10]. Available from: http://www.clevelandclinicwellness.com/Features/Pages/Ribose.aspx. 

  46. Su T, He R. D-ribose, an overlooked player in type 2 diabetes mellitus? Sci China Life Sci 2014; 57(3): 361. 

  47. Seifert J, Frelich A, Shecterle L, St Cyr J. Assessment of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with extended D-ribose ingestion. J Int Soc Sports Nutr 2008; 5(1): 13. 

  4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 The first comprehensive plan for the sugar reduction ('16-'20).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