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 및 급원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 : 제 1~6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estimated intakes and major food groups of vitamin E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1~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5, 2017년, pp.483 - 493  

안서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전신영 (퍼듀대학교 영양학과) ,  김성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하경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과 기여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9,665명의 24시간 회상 자료를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E 함량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alpha}-$, ${\beta}-$, ${\gamma}-$, ${\delta}-$토코페롤 및 비타민 E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E의 섭취량은 1998년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3~2015년의 비타민 E 섭취량은 남성 $7.5mg\;{\alpha}-TE/d$, 여성 $6.4mg\;{\alpha}-TE/d$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식품군별 비타민 E 섭취 기여율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곡류, 난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고, 시간에 따른 추이를 보았을 때에는 채소류의 기여율은 감소하였고 난류의 기여율은 증가하였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이용해 본 연구에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비타민 E의 평균 섭취량이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섭취 부족현상은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뚜렷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비타민 E의 기능 및 급원식품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한국인 상용식품 내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E 함량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되면, 더욱 정확한 비타민 E 섭취량 추정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rends in dietary vitamin E intakes and contributing food group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695 subjects aged ${\geq}19years$ who completed a nutrition survey as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본 연구진이 구축한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E (α-, β-, γ-, δ-토코페롤) 데이터베이스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 섭취량 자료와 연계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α-, β-, γ-, δ-토코페롤 및 비타민 E (mg α-TE)의 섭취량과 비타민 E 급원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E 결핍 시 어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가? 비타민 E는 아몬드, 대두, 잣, 호두 등의 두류, 견과류 및 종실류와 이들로부터 얻은 식물성 기름, 마가린, 마요네즈와 같은 유지류가 주요 급원식품이며, 이외에도 말린 붉은 고추, 멥쌀 등 다양한 식품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1,2 비타민 E 결핍 시에는 신경계 및 골격근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나,3 이러한 체내 증상이 사람에게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식품을 통해 비타민 E를 섭취할 경우에는 고용량에도 큰 유해영향이 없지만, 보충제를 통해 과다하게 섭취하면 비타민 K의 흡수를 저해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 혈액 응고 저해 등 출혈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
비타민 E의 주요 급원식품은? 비타민 E는 아몬드, 대두, 잣, 호두 등의 두류, 견과류 및 종실류와 이들로부터 얻은 식물성 기름, 마가린, 마요네즈와 같은 유지류가 주요 급원식품이며, 이외에도 말린 붉은 고추, 멥쌀 등 다양한 식품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1,2 비타민 E 결핍 시에는 신경계 및 골격근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나,3 이러한 체내 증상이 사람에게선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비타민 E의 단위로 4종의 토코페롤과 4종의 토코트리에놀 함량의 단순 합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우리 국민의 섭취량을 섭취기준과 비교하여 평가하기에 왜 어려움이 있는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비타민 E는 포함되지 않아, 섭취량이나 급원식품을 파악할 수 없으며, 현재 많은 영양 분야의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영양학회의 CAN-Pro 프로그램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은 비타민 E의 단위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사용하는 α-토코페롤 당량 (mg α-TE)이 아닌, 4종의 토코페롤과 4종의 토코트리에놀 함량의 단순 합으로 계산한 mg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국민의 섭취량을 섭취기준과 비교하여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우리 국민의 상용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E의 함량에 대한 완성도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R). Fat-soluble vitamin composition table.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3. Sokol RJ. Vitamin E deficiency and neurologic disease. Annu Rev Nutr 1988; 8(1): 351-373. 

  4. Corrigan JJ Jr, Marcus FI. Coagulopathy associated with vitamin E ingestion. JAMA 1974; 230(9): 1300-1301. 

  5. Alpha-Tocopherol, Beta Carotene Cancer Prevention Study Group. The effect of vitamin E and beta carotene on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and other cancers in male smokers. N Engl J Med 1994; 330(15): 1029-1035. 

  6. Traber MG, Atkinson J. Vitamin E, antioxidant and nothing more. Free Radic Biol Med 2007; 43(1): 4-15. 

  7. Bandera EV, Gifkins DM, Moore DF, McCullough ML, Kushi LH. Antioxidant vitamins and the risk of endometrial cancer: a doseresponse meta-analysis. Cancer Causes Control 2009; 20(5): 699-711. 

  8. Ye Z, Song H. Antioxidant vitamins intake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8; 15(1): 26-34. 

  9. Li P, Zhang H, Chen J, Shi Y, Cai J, Yang J, Wu Y.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intake/blood level and risk of gastric cancer. Int J Cancer 2014; 135(6): 1444-1453. 

  10. Guo L, Zhu H, Lin C, Che J, Tian X, Han S, Zhao H, Zhu Y, Mao D. Associations between antioxidant vitamins and the risk of invasive cervical cancer in Chinese women: a case-control study. Sci Rep 2015; 5: 13607. 

  11. Li FJ, Shen L, Ji HF. Dietary intakes of vitamin E, vitamin C, and beta-carotene and risk of Alzheimer's disease: a meta-analysis. J Alzheimers Dis 2012; 31(2): 253-258. 

  12. Morris MC, Evans DA, Tangney CC, Bienias JL, Wilson RS, Aggarwal NT, Scherr PA. Relation of the tocopherol forms to incident Alzheimer disease and to cognitive change. Am J Clin Nutr 2005; 81(2): 508-514. 

  13. Gaziano JM. Vitamin E and cardiovascular disease: observational studies. Ann N Y Acad Sci 2004; 1031(1): 280-291. 

  14. Jun S, Shin S, Joung H. Estimation of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major food sources of Korean adults. Br J Nutr 2016; 115(3): 480-489. 

  15. Kim SA, Jun S, Joung H. Estimated dietary intake of vitamin A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J Nutr Health 2016; 49(4): 258-268. 

  16. Chun OK, Chung SJ, Song WO. Estimated dietary flavonoid intake and major food sources of U.S. adults. J Nutr 2007; 137(5): 1244-1252.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10th edi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89. 

  18. Noh HH, Kim YN, Cho YO. Intakes and major food sources of vitamins A and E of Korean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Nutr 2010; 43(6): 628-637. 

  1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What we eat in America 2013-2014 [Internet]. Washington, D.C.: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16 [cited 2017 Aug 25]. Available from: https://www.ars.usda.gov/northeast-area/beltsville-md/beltsville-human-nutrition-research-center/foodsurveys-research-group/docs/wweia-data-tables/. 

  20.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P).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5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7 [cited 2017 Aug 25].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seisakunitsuite/bunya/kenkou_iryou/kenkou/kenkounippon21/en/eiyouchousa/koumoku_eiyou_chousa.html/. 

  21. Shim YJ, Paik HY. Reanalysis of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KNHANES) results by CAN-Pro 3.0 nutrient database. Korean J Nutr 2009; 42(6): 577-595. 

  22. Heo J, Park Y, Park HM. Dietary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11; 17(1): 12-20. 

  23. Choi MJ, Lee YS. Nutrient intake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according to food habits in college females in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1): 45-52. 

  24. Institute of Medicine (US) Panel on Dietary Antioxidants and Related Compound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arotenoi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25.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P).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Japanese 2015.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5. 

  26. Meydani SN, Barklund MP, Liu S, Meydani M, Miller RA, Cannon JG, Morrow FD, Rocklin R, Blumberg JB. Vitamin E supplementation enhances cell-mediated immunity in healthy elderly subjects. Am J Clin Nutr 1990; 52(3): 557-563. 

  27. Meydani SN, Meydani M, Blumberg JB, Leka LS, Siber G, Loszewski R, Thompson C, Pedrosa MC, Diamond RD, Stollar BD. Vitamin E supplementation and in vivo immune response in healthy elderly subjec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1997; 277(17): 1380-1386. 

  28. Zandi PP, Anthony JC, Khachaturian AS, Stone SV, Gustafson D, Tschanz JT, Norton MC, Welsh-Bohmer KA, Breitner JC; Cache County Study Group. Reduced risk of Alzheimer disease in users of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s: the Cache County Study. Arch Neurol 2004; 61(1): 82-88. 

  29. Masaki KH, Losonczy KG, Izmirlian G, Foley DJ, Ross GW, Petrovitch H, Havlik R, White LR. Association of vitamin E and C supplement use with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in elderly men. Neurology 2000; 54(6): 1265-1272. 

  30. Losonczy KG, Harris TB, Havlik RJ. Vitamin E and vitamin C supplement use and risk of all-cause and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older persons: the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Am J Clin Nutr 1996; 64(2):190-196. 

  31. Ovaskainen ML, Paturi M, Tapanainen H, Harald K.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diet of Finnish adults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education and the determinants and facilitators of dietary fat quality. Public Health Nutr 2010; 13(6A): 925-931. 

  32. Brunst KJ, Wright RO, DiGioia K, Enlow MB, Fernandez H, Wright RJ, Kannan S. Racial/ethn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micronutrient intakes and inadequacies among pregnant women in an urban US population. Public Health Nutr 2014; 17(9): 1960-1970. 

  33. Villar-Vidal M, Amiano P, Rodriguez-Bernal C, Santa Marina L, Mozo I, Vioque J, Navarrete-Munoz EM, Romaguera D, Valvi D, Fernandez Samoano A, Tardon A, Ibarluzea J. Compliance of nutritional recommendations of Spanish pregnant wom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a cohort study. Nutr Hosp 2015; 31(4): 1803-1812. 

  34. Lim HS, Park YH, Lee HH, Kim TH, Kim SK. Comparison of calcium intake status by region and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 the 2011-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Bone Metab 2015; 22(3): 119-126. 

  35. Lee HA, Park H. The mediation effect of individual eating behaviou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childre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ur J Nutr 2017; 56(3): 1339-1346. 

  36. Kim K, Shin SC, Shim JE. Nutritional statu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overweight tendency and micronutrient deficiencies. Nutr Res Pract 2015; 9(5):547-553. 

  37. Kim K, Hong SA, Kim MK. Trends in nutritional inequality by educational level: a case of South Korea. Nutrition 2010; 26(7-8):791-798. 

  3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7 Aug 25].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39. Park YH, de Groot LC, van Staveren WA. Dietary intake and anthropometry of Korean elderly people: a literature review. Asia Pac J Clin Nutr 2003; 12(3): 234-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