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Current Trends Analysis of Welfare Technology in Korea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0, 2017년, pp.295 - 304  

박소영 (강남대학교 특성화추진단) ,  이영석 (강남대학교 KNU 참인재대학) ,  강창욱 (강남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  박화옥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배성근 (강남대학교 소프트웨어응용학부) ,  이재욱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최승숙 (강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해 복지 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분류틀을 개발하고 이 분류틀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 대상의 국내 복지기술 활용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복지기술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계적 문헌 검토 방법을 사용하여 5개의 복지요구 및 기능 요소와 8개의 ICT 기술로 구성된 복지기술 분류틀을 도출해 낸 뒤 국내 복지기술 활용 현황에 대해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복지기술 활용은 복지 요구 중 자립자조 분야, 기능면에서는 이동성, ICT 기술에 있어서는 ICT 디바이스를 이용한 기술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복지기술 분류틀을 사용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향후 한국 복지기술의 방향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welfare technology classification frame according to welfare needs, function, and ICT technology and to explore current trends in Korean welfare technology application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descrip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북유럽이나 영미권에서 사용하는 복지기술 분류기준은 한국의 복지기술을 범주화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복지기술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복지기술의 목적과 기능을 반영한 복지기술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 복지기술 분류틀을 바탕으로 국내 복지기술 활용에 대해 파악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통해 선정된 187개의 국내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복지요구 및 기능적 요소별로 현재 어떠한 ICT 기술이 적용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빈도로 표시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해 노인과 장애인을 중심으로 국내 복지기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복지 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활용 분야를 분류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복지기술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복지기술의 분류체계 개발과 적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과 복지 요구에 따른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돕기 위해서 한국형 복지기술 분류틀을 개발한 뒤 이 분류틀에 따라 국내 복지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복지기술은 복지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기술적인 혁신을 통해 기존의 복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복지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해 노인과 장애인을 중심으로 국내 복지기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복지 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활용 분야를 분류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복지기술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복지기술의 분류체계 개발과 적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복지기술의 활용 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노인과 장애인 중심의 복지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분류틀을 만들고 이에 따라 국내 복지기술 활용 동향을 탐색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복지기술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변화를 가져올 기술로 예상되는 것은? 특히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지능정보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새로운 산업의 창출과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3D 프린팅, 나노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합하여 상호 교류하면서 제4차 산업혁명은 산업 전반에 거쳐서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국내에서 복지기술이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복지기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복지기술 개념이 완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태 이다. 우선 우리나라의 복지기술은 복지서비스의 내용과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기술과 전문지식 혹은 복지문제의 해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거나 그 해결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9, 10]. 복지기술의 대상은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취약계층뿐만 아니라 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사회 구성원 모두이다.
복지기술의 대상은 누구인가? 우선 우리나라의 복지기술은 복지서비스의 내용과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기술과 전문지식 혹은 복지문제의 해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거나 그 해결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9, 10]. 복지기술의 대상은 노인과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취약계층뿐만 아니라 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받는 사회 구성원 모두이다. 복지 기술을 좀 더 협의적인 차원에서 정의를 내리면,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생활밀착형 ICT융합서비스’로 개념화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Elderly Statistics", http://www.kosis.kr, 2015. 

  2.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5. 

  3.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4. H.Y. Kim, K. S. Kim, J. K. Ko, and S. M. Suh, "Welfare and Technology: New Strategy for Welfare Innovation", Issue & Analysis, No.93,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3 

  5.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Focus on Welfare Technology", Author, 2010. 

  6. G. C. Ryu, J. Y. Suh, J. I. Kim, T. E. Kim, Y. H. Choi, J. W. Jung, S. H. Kim, D. W. Lee, J. S. Lee, and K. J. Cho, "A Study on the System Building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to Welfare Syste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7. M. Schneider, "Achieving Greater Independence through Assistive Technology, Job Accommodation and Supported Employment", J.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12, No. 3, pp.159-164, 1999. 

  8. F. Cardinaux, D. Bhowmik, C. Abhayaratne, M. S. Hawley, "Video Based Technology for Ambient Assisted Liv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of Ambient Intelligence and Smart Environment, Vol. 3, pp.253-269, 2011. 

  9. S. K. Park, "Welfare Technology Convergence: Focu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209, pp.28-35, 2014. 

  10. G. C. Ryu, "Three Perspectives for Future Fusion of Welfare and Technology: Technology as Means for Welfare, Welfare Financing, and Appropriate Technolog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209, pp.5-15, 2014. 

  11. ETRI, "ETRI's 40 Years of History", https://www.etri.re.kr/40th/ETRI40th.pdf, 2017. 

  12. J. W. Li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Social Work Education", Busan Social Welfare Forum, No.18, pp.10-15, 2017. 

  13. B. Hofmann, "Ethical Challenges with Welfare Technology: A Review of the Liter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Vol.19, No.2, pp.389-406, 2013. 

  14. B. Bygstad, and G. Lanestedt, "Policies and Practices in Welfare Technologies: A Comparitive Study of Norway and Japan", Proceedings of NOKOBIT, Tapir: Fredrikstad, Norway, 2014. 

  15. C. Hill, G. Raymond, and I. Yeung, "Ambient Assisted Living Technology",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2013. 

  16. IITP, "Statutes and Rules for Establishment of ICT Research Infrastructure", http://www.iitp.kr/kr/1/business/rules.it#, No.27, 2017. 

  17. J. Kang, S. S. Ahn, & J. Y. Kim, "Development of RFID Terminal for the Blind to Voice Guide Pharmaceutical E-pedigree", The Institute of Electronic Engineers of Korea-IE, Vol.47, No.3, pp.19-25, 2010. 

  18. B. Hwang, & D. Jeon,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earable Robot SUBAR for Lower-Limb Assistance", Proceedings of the HCI Society of Korea Conference, pp.162-164, 2012. 

  19. J. Ko, & H. Kim, "A Study on the Monitoring System for Emergency Recogni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3, pp.61-68, 2014. 

  20. E.-S. Kim, H.-C. Lee, J.-H. Joo, & G.-T. Hur, "Developing Functional Game Contents for the Silver Generation",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9, No.9, pp.151-162, 2009. 

  21. K. Lee, J. Lee, & S.-B. Lim, "A Voice- Annotation System for Digital Talking Book", J.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18, No.4, pp.276-281, 2012. 

  22. H.-M. Jeon, J.-M. Ahn, W.-R. Hong, & G.-I. Jeon, "Mobile Braille Messenger for the Blind",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pp.394-397, 2009. 

  23. Y.-H. Jung, & S.-W. Jeong, "Development of Content for the Robot that Relieves Depression in the Elderly Using Music Therapy",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5, No.2, pp.74-85, 2015. 

  24. J. Kwon, E. Park, J. Lim, & Y. Lee, "Proposal for Mobile Application and Game for Persons with Aut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25, No.1, pp.31-42, 2012. 

  25. K.-Y. Cho, & C.-B. Kim, "Effects of Situated Learning Utilizing Smart Phone on Community Living Skills in Residential Center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55, No.3, pp.251-280, 2016. 

  26. C. Kim, "Effects of Ubiquitous Based Situated Learning (UBSL) to Improv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 with Developmenta Disabiliteis in Special School", J.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18, No.4, pp.35-65, 2016. 

  27. S.-U. Heo, S.-I. Kang, G.-H. Kim, S.-W. Choi, J.-H. Jeon, & A.-S. Oh, "Design of Smart TV-based Smart Healthcare Solution for Healthcare Servi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Vol.21, No.2, pp.361-363, 2013. 

  28. E.-C. Son, C. Wang, Y.-J. Na, J. Ho, Y. Kim, & S. D. Min, "Development of Dysphagia Rehabilit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Textile Proximity Sensor", Proceedings of the Information and Control Symposium, pp.95-96, 2016. 

  29. H.-J. Kong, J. Kim, E. J. Hwang, J. Hong, S. W. Kim, "Effects of Healthcare Smart Home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Obese Elderly Women", J.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1, pp.103-114,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