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에 따른 위염(胃炎)의 한의학적 변증 연구
Study on Syndrome Differentiation of Gastritis by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sease and Cause of Death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1 no.5, 2017년, pp.255 - 263  

박미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  김영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the classifications of gastritis and syndrome differentiation types of Korean Medicine through research on syndrome differentiations of clinically applied gastritis and literature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apers were searched in China Academ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현대 질병과 한의학의 관련성을 변증론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먼저 위염과 한의학적 변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 7차 한국표준질병ž사인분류의 세분류 수준의 위염에 대하여 한의 병명 및 한의학적 변증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등으로 현대 병명을 중심으로 한 한의학적 연구는 사례가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염을 한의학적으로 범위를 이해하고, 한의 병명과 위염 분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한의학적인 변증을 연계해보고자 한다. 한의 병증과 현대 병명과의 관련성을 정의함으로써 상호간의 이해를 높이며 임상적인 치료 효과 또한 제고할 수 있으며, 현대 의학과 한의학의 상호 이해에 일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위염과 관련된 한의 병증과 변증 유형, 위염 관련 한의 병명에 대한 변증 유형, 그리고 위염의 임상례를 살펴보고 위염과 한의 병명 및 변증의 경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현대 질환에 대해 한의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위염에 대한 한의 변증 연계를 시도하였다. 한의 병명과 위염의 연계의 한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위염에 대한 한의 변증연계, 위염과 관련된 한의 병명에 대한 변증, 현대의 임상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 논문은 현대 질병과 한의학의 관련성을 변증론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먼저 위염과 한의학적 변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 7차 한국표준질병ž사인분류의 세분류 수준의 위염에 대하여 한의 병명 및 한의학적 변증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中西醫病名對照大辭典란 무엇이며 그 한계는? 우리나라에는 한의 병명에 대한 변증 유형이나 현대 질병에 대한 한의 병명 및 변증 유형에 대하여 한의계의 합의된 자료가 아직 없는 상황이지만 대만의 林昭庚이 현대 질병과 대조되는 중의 병증 명을 『中西醫病名對照大辭典』1)으로 편찬하였다. 이는 관련성 있는 질병명을 다대다 관계로 제시한 형태이므로 상세한 상관 관계나 공통 부분을 도출하거나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國家中醫藥管理局에서 편찬한 『中醫病證診斷療效標准』2)에는 중의 병명에 대한 증후 분류 및 치법을 기록하고 있으나 이는 전체 질병에 대한 것이 아니므로 치매와 같이 수록되지 않은 병명이 많다.
한의학의 강점은 무엇인가? 한의학의 강점이라고 여겨졌던 중풍 치료, 침 등에 대해 현대의학이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고, 2017년 2월 민족의학신문에 보도된 한의약 R&D 예산이 국가 전체 R&D 지출액 중 0.4%에 지나지 않다는 사실 등을 보면 한의학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는 현실을 실감할 수 있다.
한의학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 연장 및 노년 인구의 증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증후군 등에 대하여 인체의 균형을 중시하는 整體性을 근본으로 하는 한의학에 더 적합한 영역이 있다고 생각하며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의학 이론의 강점인 변증론치에 근거한 임상 적용을 통해 효과를 입증하고, 현대의학의 진단 지표 등의 데이터와 한의학적 변증론치 데이터 연계에 대한 합의 도출 등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한의학 접근을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의 주제인 현대 의학에 의해 일차적으로 진단되는 병명에 대하여 한의학 이론을 연계하여 한의학 지식을 현대화하는 노력이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in ZG. Great Dictionary of the Contrast Between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f Disease Names. Taipe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2004. 

  2. State Administration of Chinese Medicin and Pharmacology, Bureau of Medical Administration. Standards of Diagnosis and Therapeutic Effect for Diseases and Patterns in Chinese Medicine. Beijing: State Administration of Chinese Medicin and Pharmacology; 1994. 

  3. Gao XM, Wen J, Wen XZ. An Outlook of the Oriental and Occidental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n Chronic Gastritis.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1994;15(1):400-9. 

  4. Lim SW. A case of Peptic ulcer of the less recover from complicated erosive and hemorrhagic gastriti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1995;16(1):33-9. 

  5. Choi BH, Byun JS. A case of Dokhwaljihwang-tang in a chronic gastritis patient with epigastric pain.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2009;34(2):59-65. 

  6. Li QG, Wang ZL. ZhongyiWeichangbingxue. Beijing: China Medical Science Press; 1993. p 145-66, 183-99, 202-18, 227, 233, 251, 262, 417-47. 

  7. Wei BH. ZhongyiPiweixueshuo. Beijing: Beijing Publishing House; 1993. p 189-203, 232-41. 

  8. Kim GS, Kim MD, Kim YB, Kim JH, Kim JH, Lee WC, et al. Clinical Series of Practical East-West Medecines. Seoul: Jungdam; 2001. p 464-8, 474-94. 

  9. Zhang WD, Li JX, Chen ZS, Wei BH, Tang XD. Official Suggestions of Chinese and Western Medical Treatment on Chronic Gastritis(Year 2011, Tianjin).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12;32(6):738-43. 

  10. Zhang SS, Li QG, Huang SP, Huang SG. Official Suggestions of Chinese Medical Treatment on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Year 2009, Shenzhen).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on Digestion. 2010;18(3):207-9. 

  11. Zhang SS, Li QG, Tang XD, Wang P, Li ZH. Official Suggestions of Chinese Medical Treatment on Chronic Atrophic Gastritis(Year 2009, Shenzhen).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on Digestion. 2010;18(5):345-9. 

  12. Wu JY, Bai YB. ZiangdaiNanzhibingZhongyizhenliaoxue. Beijing: TCM Ancient Books Publishing House; 1993. p 250-7. 

  13. Wang YY, Lu BL. ZhongyiNeikexu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12. p 347-75, 402-15. 

  14. Textbook committee of internal medicine focused on spleen of Korean Medicine. Internal medicine focused on spleen.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9. p 87-91, 98-9, 114-20, 121-5, 141-9. 

  15. Zhu WF. ChangjianZhengzhuang Zhongyijianbiezhenliaoxu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2. p 467-79. 

  16. Zhu WF. ZhongyiZhenduanyujianbiezhenduanxue.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1. p 154-9, 868-71. 

  17. Zhao EJ. ZhongyiZhenghouzhenduanzhiliaoxue. Tianjin, Tianjin Science Technology Publishing House; 1987. p 163-9, 354-62. 

  18. Wu HP, Li P, Zheng Y. Clinical Analysis of "Kangfuxin Fluid" in Treating 112 Cases of Erosive Gastritis. Shangha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4;38(2):28-9. 

  19. Huang XF, Qu WR. Observation on curative effect of Banxiaxiexin soup combined with Chinese medicine foot bath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Chinese General Practice Nursing. 2014;12(24):2224-5. 

  20. Zhang Z. Clinical Study on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Treated with Qingwei Decoction. Acta Chinese Medicine. 2014;29(12):1806-8. 

  21. Guo ZL, Wang YJ, Wang L, Shang QQ, Zhao PZ, Li ZH. The clinical study of gall heat invading the stomach type bile reflux gastritis with clearing and descending method. Modern Chinese Clinical Medicine. 2014;21(6):5-8. 

  22. Cheng XJ.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cal Dialectical Treatment of 31 Patients With Superficial Gastritis. China Health Standard Management. 2014;5(24):56-7. 

  23. Xie SY, Zhou XH. Study on Chinese Medicine Syndromes of Chronic Gastritis. Journal of Liaon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9;11(4):53-4. 

  24. Wu JL. Study on the TCM Syndrome of 222 Chronic Gastritis Patients.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1;29(10):2306-8. 

  25. Wang P, Tang XD, Bian LQ, Zhang YJ.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edicine syndromes, pattern differentiation and rules of using medical herbs in chronic atrophic gastritis. Chinese Journal of Information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8;15(12):92-3. 

  26. Chen RH, Zhang C, Su ZQ, Zong XY, Li PC, Ding X. Study on classification of TCM syndromes of Hp-related chronic gastritis. Journal of Beijing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37(3):15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