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3 no.3, 2017년, pp.101 - 113  

이호준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  하재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  이수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거리 통행에서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교통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신체적인 문제나 제도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게 되는 교통약자(노인, 청소년)와, 경제적 여건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통근통행을 하는 저소득층 인구를 중심으로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서울시의 노인, 청소년, 기초생활수급자의 분포와 각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각 취약계층의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를 식별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중교통 이동성 개선 우선 지역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교통 이동성이 낮으며, 교통취약계층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15개의 대중교통 우선 개선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실제 통행 데이터인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의 이동성을 평가한 점과 교통 취약계층의 기본적인 이동성을 위해 대중교통 서비스가 개선되어야할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를 식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in terms of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2014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Particularly, we focus on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such as senior group, junior group, and low-income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 spatia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서울시의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행 기종점 자료를 통해, 서울시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고 대중교통 이동성의 개선이 우선되어야할 취약지를 행정동 단위로 식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교통 이동성 평가 및 취약지의 식별은 신체적 제약이나 제도적으로 운전이 허가되지 않아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교통약자(노인, 미성년자)와,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인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앞서 산출한 대중교통 이동성 지표와 행정동 교통 취약계층의 인구수 지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를 도출한다. 먼저, 각 교통 취약계층의 이동성과 인구를 3개 분위로 나눠 대중교통 이동성이 가장 낮은 33%에 속하는 1분위에 해당하면서, 취약계층의 인구가 가장 많은 33%에 속하는 3분위에 해당하는 행정동을 취약계층별 대중교통 이동성 취약지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와 함께 인구·사회적 지표를 사용하여 취약지를 도출하고자 노인·미성년자 인구수와 행정동 별 기초수급자수 자료를 사용하였다.
  • 본 절에서는 대중교통의 형평성을 다룬 선행연구들이 사용한 대중교통 서비스 측정 지표와 대중교통 형평성이 개선되어야 할 집단으로 보고 있는 사회계층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측정 지표 측면에서는 다수의 대중교통 형평성 측정연구들에서는 대중교통 시설로의 접근성을 형평성 측정의 주요 지표로 설정하였으며(장경욱 외, 2011; 정일호 외, 2011; 김아연·전병운, 2012; 조대현, 2014; 윤종진·우명제, 2015), 대상으로 하고 있는 사회계층은 연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14년 서울시의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행 기종점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 대중교통 이동성을 평가하고 행정동 간 격차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교통 이동성 평가는 신체적인 문제나 제도적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게 되는 교통약자(노인, 청소년)와, 경제적 여건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통근통행을 하는 저소득층 인구의 대중교통 통행 기종점 자료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은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가진다. 첫째, 기존 대중교통시설로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논의된 대중교통 형평성을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 시의 이동성 개념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실질적인 대중교통 이용 시의 편의성은 고려할 수 없었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둘째, 실제 대중교통 통행 자료인 스마트카드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통행수요에 따른 실질적인 이동성 지표를 도출하였고, 교통 취약계층에 따라 나누어 이동성을 도출함으로써 취약 계층 간 상이한 통행행태를 반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접근성은 무엇인가?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대중교통시스템의 평가에 있어 대중교통 시설 접근성(accessibility)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접근성 개념은 대중교통 시스템의 이용 가능여부 혹은 이용가능 편의성을 측정하는 개념으로 대중교통에 탑승한 후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속도 개념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동성 향상의 배경은 무엇인가? 20세기에 걸쳐 진행된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교통 인프라의 지속적인 공급은 시민들의 이동성(mobility)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고용기회와 주요 공공서비스 시설과의 접근성이 향상되었고, 이는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이동성의 향상이 시민들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20세기에 걸쳐 진행된 우리나라의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교통 인프라의 지속적인 공급은 시민들의 이동성(mobility)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고용기회와 주요 공공서비스 시설과의 접근성이 향상되었고, 이는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국토의 교통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열악했던 시기에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성(efficiency)에 중점을 둔 공급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저소득층, 장애인, 미성년자와 노인과 같은 교통약자의 이동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아연.전병운, 2012,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 pp.76-86. 

  2. 노시학, 2014, 교통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 형평성과 사회적 배제 개념을 중심으로, 교통연구, 21(4), pp.67-86. 

  3. 윤종진.우명제, 2015, 서울시 대중교통 접근성의 공간적 정의에 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50(4), pp.69-85. 

  4. 장경욱.김황배.김영석.오재학, 2011, GIS를 이용한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공급서비스 수준 측면의 대중교통 사각지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1(3D), pp.383-389. 

  5. 정일호, 2011, 사회적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교통정책 방향, 국토, 354, pp.6-15. 

  6. 정일호.이백진.김혜란, 2011, 공정한 사회를 위한 인프라 정책의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국토연구원. 

  7. 조대현, 2014, 서울의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pp.119-136. 

  8. 한수경.이희연, 2015.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6(2), pp.183-201. 

  9. Welch., T. F., 2013, Equity in transport: The distribution of transit access and connectivity among affordable housing units, Transport Policy, 30, pp.283-293. 

  10. Welch, T. F., & Mishra, S., 2013, A measure of equity for public transit connectivity,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3, pp.29-41. 

  11. Ralph, K. M., 2017, Multimodal millennials? The four traveler types of young people in the United States in 2009,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37(2), 150-163. 

  12. Luo, W., & Wang, F., 2003,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0(6), pp.865-8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