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승객의 통행목적 추정
Estimating the Trip Purposes of Public Transport Passengers Using Smartcard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28 - 38  

전인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민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개별 승객의 대중교통 이용기록이 저장되고, 이를 활용하면 정류장별, 시간대별 통행수요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통행목적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근, 통학, 여가 등의 목적별 수요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 자료에는 일부 표본의 통행만 기록되어 있어 전반적인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만약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통행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면, 전수조사에 가까운 통행목적별 대중교통 수요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기록된 승객의 O-D 통행빈도, 체류 시간, 출발 시각 등을 고려하여 통근, 통학, 귀가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승객 중 근로자와 대학생을 분류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의 검증으로는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목적별 통행패턴과 본 연구를 통해 추정한 목적별 통행패턴을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art card data stores the transit usage records of individual passengers.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traffic demand by station and time.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e trip is not recorded in the smart card data, the demand for each purpose such as commuting, school, and l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나타난 승객의 거주지에서 활동지로의 통행빈도, 활동지에서의 체류시간, 활동지로의 출발시각 범위 등을 고려하여 승객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추정하는 통행목적은 정기적인 통행에 해당하는 통근과 통학이며, 통학은 대학교로의 통행만을 대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나타난 통행정보를 활용하여 승객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수에 가까운 대중 교통 통행수요를 알 수 있는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통행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면,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정확한 통행목적별 수요를 추정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승객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승객의 통행목적을 추정하기 위해 승·하차 정류장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별 거주지 및 활동지를 탐색하였고, 근로자와 대학생을 구분하기 위해 활동지에 대학교 존을 고려하였다.
  • 통근 통행 이후의 활동시간은 8 시간 이상에서, 통학 통행(성인 기준) 이후의 활동시간은 4시간 이상에서 누적분포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동지에서의 체류시간이 8시간 이상일 경우, 통근 목적으로, 활동지가 대학교 존이면서 체류 시간이 4시간 이상일 경우, 통학 목적으로 승객의 통행을 분류하였다.

가설 설정

  • 승객의 스마트카드 데이터에 앞서 분석된 거주지에서 활동지로 3일 이상 통행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승객은 통근 및 통학 목적의 정기적인 통행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통행목적은 활동지의 유형(대학교 존(zone)), 활 동지에서의 체류시간, 활동지로의 출발시각 범위를 고려하여 통근과 통학으로 분류하였고 거주지로의 통행은 귀가로 분류하였다.
  • Jun and Dongyuan(2013)은 스마트카드에서 근로자의 거주지를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안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오전 첨두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한 승객을 전부 근로자로 가정하고 이들의 오전 첨두시 승차 정류장을 거주 지역, 오후 첨두시의 승차 정류장을 직장으로 가정하였다. Zou et al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카드 자료란 무엇인가?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대중교통 이용객들의 승・하차 정류장 및 시간, 이용 노선, 환승 등의 통행정보가 기록된다. 서울시 및 수도권의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천만 명이 넘고, 이 중 98%가 스마트카드를 사용한다(Bin et al .
스마트카드 자료에 기록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하지만 통행목적별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승객의 통행목적이 기록되지 않기 때문이다. 통행목적별 수요를 분석한 기존 연구에서는 가구통행실태조사와 같은 설문 조사 자료를 주로 이용하였다.
가구통행실태조사로 기록된 통행정보의 장점과 한계는 각각 무엇인가? 가구통행실태조사에는 거주지, 성별, 연령, 직업 등 개인의 인구 사회적 속성과 통행목적이 포함된 통행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인구 속성 및 통 행목적과 연계한 대중교통 이용패턴에 대한 분 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개인정보 노출 우려로 인해 거시적인 교통존 단위의 통행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설문조사 방식이기 때문에 전수조사에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sger, A., A. Tavassoli, M. Mesbah, L. Ferreira and M. Hickman. 2018. Public transport trip purpose inference using smart card fare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 87:123-137. 

  2. Amaya, M., R. Cruzat and M. A. Munizaga. 2018. Estimating the residence zone of frequent public transport users to make travel pattern and time use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66:330-339. 

  3. Barry, J., R. Newhouser, A. Rahbee and S. Sayeda. 2002. Origin and destination estimation in New York City with automated fare system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817:183-187. 

  4. Bin, M.Y., S.J. Lee and E.S. Jung. 2011. A Study on Analysis Travle Patterns and Applications Using Gueonggi-Do Traffic Card Data.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p.1-148 

  5. Han, S.U., H.Y. Kang and M.H. Lee. 2015. Residen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sport Commuter by Smart Card through the Use of the Major Sub way Influence Area : Fous on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4):103-117. 

  6. Jun, C. and Y. Dongyuan. 2013. Estimating smart card commuters origin-destination distribution based on APTS data. Journal of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13(4):47-53. 

  7. Lee, S.G. and M. Hickman. 2014. Trip purpose inference using automated fare collection data. Public Transport, 6(1-2):1-20. 

  8. Medina, S.A.O. 2018. Inferring weekly primary activity patterns using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and a household travel survey. Travel Behaviour and Society 12:93-101. 

  9. Sari Aslam, N., T. Cheng and J. Cheshire. 2018. A high-precision heuristic model to detect home and work locations from smart card data.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 1-11 

  10. Yang, H.J., H.W. Nam and C.M. Jun. 2018. Analysing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in OD Level Using Time-Distance Accessibility and Smartcard Traffic Volu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2):80-93. 

  11. Zou, Q., X. Yao, P. Zhao, H. Wei and H. Ren. 2018. Detecting home location and trip purposes for cardholders by mining smart card transaction data in Beijing subway. Transportation 45(3):919-9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