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 및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Boy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4, 2017년, pp.429 - 439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오윤희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mong boys in high schoo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3 high school 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 각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남자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 속박감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영향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분노 및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다중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남자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와 속박감 각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남자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박감은 무엇인가? 속박감은 개인이 탈출하고 싶은 동기를 유발시키는 환경에 처해있 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11]. 우울, 불안 등의 정신증상은 스트 레스 상황에서 유발되는 속박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청소년이 많은 혼란을 경험하는 이유는? 분노란 개인의 긴장, 화, 격분 등의 주관적 분노경험으로 상태분노와 특성 분노로 분류되며,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에 의해 표출되는 분노표 현 방식을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통제로 구분하였다[9]. 청소년은 심 리적 변화가 큰 시기이고 정서적 성숙은 느려 감정 변화가 심하고 극단 적 정서를 흔하게 경험하며 이러한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해소하는 데에는 미숙하여 많은 혼란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그 결과 조절되지 않은 분노는 문제행동 유발 및 정신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10].
남자 고등학생 의 분노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첫 번째 검증 결과, 남자 고등학생 의 분노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 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분노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아지고, 분노경험이 많고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정신건강은 악화 되었다. 이들 변수가 정신건강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orsheim T, Aaroe, LE, Wold B. School-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distress: Prospective analysis of reciprocal and multi level relationship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003;44(2):153-159. https://doi.org/10.1111/1467-9450.00333 

  2. 12th online survey on health behavior of youth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7 June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5075&page1/. 

  3. Park YJ, Han KS, Shin NM, Kang HC, Chun SH, Yoon JW, et al. Anger, anger expression, and biosychosoci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1):106-116. https://doi.org/10.12934/jkpmhn.2010.19.1.106 

  4. Son HK, Lee HJ, Kim MY.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4):314-321. https://doi.org/10.4094/chnr.2014.20.4.314 

  5. Yoo YS. Effects of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189-197.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89 

  6. Cheon SH. Relationships among daily hassles, social support, entrapment and mental health status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3):223-235. https://doi.org/10.4069/kjwhn.2012.18.3.223 

  7. Keng SL, Smoski MJ, Robins CJ.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healt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1;31(6):1041-1056. https://doi.org/10.1016/j.cpr.2011.04.006 

  8. Staicu ML, Cutov M. Anger and health risk behaviors.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Bucharest. 2010;3(4):372-375. 

  9. Spielberger CD, Jacobs GA, Russell S, Crane RS: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In: JN Butcher, CD Spielberg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 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3. 

  10. Park YJ, Ryu HS, Han KS, Kwon JH, Kim HK, Cho YJ,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hool-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SAMP)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1):145-156.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45 

  11. Brown GW, Bifulco A, Harris TO. Life events, vulnerability and onset of depression: some refinement.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1):30-42. https://doi.org/10.1192/bjp.150.1.30 

  12. Park YJ, Shin NM, Han KS, Kang HC, Cheon SH, Shin H. Depression statu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diating role of entra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663-67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63 

  13. Lee 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dolescents perceived on anger experience and anger expression.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2011;15(3): 67-86. 

  14. Ihm MO, Song MK, Kim CS. A mediating model of social support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1:41(5):663-672. 

  15. Chung KM, Shin MJ, Kang JH, Kim ES.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in male adolescent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using growth 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3;32(1):177-197. 

  16. Cheon SH. A study on perceived entrapment, anger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4):239-247. https://doi.org/10.4069/kjwhn.2008.14.4.239 

  17. Chon KK, Hahn DW, Lee CH, Spielberger CD.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2(1):60-78. 

  18. Gilbert P, Allan S.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 (arreste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3):585-598.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710 

  19. Nolten PW.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issertation]. Wisconsi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4. p.1-360. 

  20. Malecki CK, Elliot SN. Adolescents' rating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ts importance: validation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Psychology in the Schools. 1999;36(6):473-482. https://doi.org/10.1002/(SICI)1520-6807(199911)36:6 3.0.CO;2-0 

  21. Cho JH. The effects of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school goal structure,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p.1-73. 

  22. Kim HS, Kim HS.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measuring personality factor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9;8(1):190-201. 

  23.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 (6):1173-1182. https://doi.org/0022-3514/86/S00.75 

  24. Kitamura T, Hasui C. Anger feelings and anger expression as a mediator of the effects of witnessing family violence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Japanese adolesc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006;21(7):843-855. https://doi.org/10.1177/0886260506288933 

  25. Oh GS. The school related stress and the need of mental health educ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7;18(2):320-330. 

  26. Williams JE, Paton CC, Siegler IC, Eigenbrodt ML, Nieto FJ, Tyroler HA. Anger proneness predicts coronary heart disease risk: prospective analysis from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Circulation. 2000;101(17):2034-2039. https://doi.org/10.1161/01.CIR.101.17.2034 

  27. Kim HY, Lee MH, Bae JN, Kim CE, Yoo HJ, Lee JS. Anger assessment using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in middle-school students in Korea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5;26(4):288-294. https://doi.org/10.5765/jkacap.2015.26.4.288 

  28. Jeong YJ. Ha E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nger expression typ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4;11(1):1-18. 

  29. Park YJ, Chang SO, Han KS, Choi MS, Yoon JW, Chun SH, et al. The relation of anger and anger expression to menstrual symptoms and psychosomatic symptoms in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7;16(2):131-138. 

  30. Koo SS, Jung OH, Jang SH. The relationships of ego-ident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9):225-337.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