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천마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4, 2015년, pp.702 - 711  

박안나 (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 ,  구태규 (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 ,  김경선 (에코바이오의학연구소) ,  이동원 (전북대학교 고분자 나노공학과) ,  김상진 (대전보건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마를 다양한 용매(물, 에탄올 및 70%) 및 다양한 농도 (0.725, 1.25, 2.5 및 5 mg/mL)로 추출하고 추출된 물질을 젖산균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로 발효시킨 다음, 이들 물질들이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가를 확인하였다. 물, 에탄올 및 70% 에탄올로 추출한 물질들을 각각 0.725, 1.25, 2.5 및 5 mg/mL 농도에서 실험한 결과, flavonoid, polyphenol 및 DPPH 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은 에탄올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천마를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1.25 mg/mL에서 $27.08{\pm}0.5%$이었으나 2.5 mg/mL에서는 $27.08{\pm}0.5%$로 증가하였다. 미백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tyrosinase 활성 저해 실험에서는 EtOH 추출물을 젖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가장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고(0.725 mg/mL에서 $39.1{\pm}0.4%$, 2.5 mg/mL에서 $62.8{\pm}1.5%$), RAW 264.7 Cells을 이용한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물, EtOH, 70% EtOH 추출물과 이들의 발효 물질 모두 85%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 세포의 염증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ROS 생성으로 인한 항산화 실험에서는 양성 대조군으로 RAW 264.7 cells을 lipopolysaccharide로 자극시켜 활성화된 세포에 비발효와 발효에 따른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효미생물로 발효시켰을 경우가 가장 항산화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천마 추출 및 발효 물질은 화장품용 항산화제, tyrosinase 활성 저해제 및 항염증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Gastrodia elata Blume as a cosmetic raw material by investigat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its extracts, varying the concentra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method (non-fermentation and ferment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ang 등은 꾸지뽕을 발효시키기 전보다 발 효 시킨 후에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고 하였으며[11], Jeon 등은 인삼열매를 유산균으로 발효시켰더니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12], Park 등은 당을 첨가하여 발효 시켰을 때가 발효 시키지 않았을 때 보다 총 페놀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효모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HBA의 함량이 더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uperoxide 소거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면서, 발효 중 protease, amylase, lipase 등의 효소가 페놀성 물질들을 증가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다[10]. 하지만 이들은 화장품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지 않았던 바 본 연구에서는 발효시킨 천마 추출물의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천마를 물과 에탄올 등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물질을 유산균과 EM으로 발효 시킨 후 추출 및 발효 물질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tyrosinase 활성 저해력, 세포 생존율, ROS 생성 등을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E. J. Seo, E. S. Hong, M. H. Choi, K. S. Kim, and S. J. Lee,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 89-93(2012). 

  2. M. S. Hasnah, F. R. Mohd, and U. Zanaria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polyphenols from Tibouchina semidecandra L., J. Agric. Food. Chem., 58(19), 10404-10409(2010). 

  3. E. J. Park and H. T. Kim, Change of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 tim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4), 282-288(2013). 

  4. M. H. Kim,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 Nutr., 27(5), 837-844(2014). 

  5. X. H. Duan, Z. L. Li , D. S. Yang, F. L. Zhang, Q. Lin, and R. Dai,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Gastrodia elata, Zhong Yao Cai., 36(10), 1608-11(2013). 

  6. K. T. Kim, J. G. Kim, S. H. Park, J. H. Lee, S. H. Lee, K. H. Kim, and S. N. Park,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henolic componuds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J. Soc. Cosmet. Sci. Korea, 30(1), 33-88(2004). 

  7. Pharmacology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Shinil books, 2010. 

  8. M. J. Kim, J. Y. Kim, S. W. Choi, J. T. Hong, and K. S. Yoon,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t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1), 15-22(2004). 

  9. J. Liu and A. Mori,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astrodia elata Blume, Neuropharmacol, 31(12), 1287-1298(1992). 

  10. M. R. Park, C. Yoo, Y. N. Chang, and B. Y. Ahn,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ean J. Plant Res., 25(4), 379-386(2012). 

  11. D. H. Kang, J. W. Kim, and K. S. You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8(2), 236-243(2011). 

  12. J. M, Jeon, S. K. Choi, Y. J. Kim, S. J. Jang, J. W. Cheon, and H. S. Le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7(1), 75-81(2011) 

  13. J. Zhishen, T. Mengcheng, and W. Jianming,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4), 555-559(1999). 

  14. O. Folin and W. Denis,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1915). 

  15. S. Y. Choi, H. S. Cho, and N. J. Sung,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8), 961-966(2006). 

  16. J. H. Choi and S. K. Oh,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J. Food Sci. Technol., 17, 506-515(1985). 

  17. J. Y. Ko and Y. C. Kim, Effectiveness of scirpi rhizoma ethanol extract on skin whitening using in vitro test, J. Environ, Toxicol., 25(1), 69-77(2010). 

  18. R. Tsao,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12), 1231-1246(2010). 

  19. P. G. Pietta, Flavonoids as antioxidants, J. Nat. Prod., 63(7), 1035-1042(2000). 

  20. Y. O. Park and H. S. Lim, Antioxidant activities of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 1640-1648(2009). 

  21. J. P. Chang, E. S. Doh, K. J. Kil, J. K. Yang, C. W. Yun, G. H. Lee, Y. H. Jung, Y. S. Ji, B. R. Kim, and M. S. Choi, Antioxidative activity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racts, Jour. Korean For. Soc., 100(3), 408-416(2011). 

  22. S. J. Heo, E. J. Park, K. W. Lee, and Y. J. Je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 Technol., 96(14), 1613-1623(2005). 

  23. A. N. Park, Ph. D. Disserta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unfermented and microbial fermented mango leaf extracts, Chonbuk National Univ., Chunbuk, Korea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