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배추 김치의 발효 특성과 암세포 증식저해능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ouse Carcinoma Cell Line of Kimchi prepared with Functional Cabb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5, 2017년, pp.1007 - 1014  

유광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성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은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종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are functional Chinese cabbage('Amtak' baechu; F1 hybrid cultivar between Brassica rapa and B. perkinensis, AB) with general Chinese cabbage ('Chunkwang' baechu; general spring cultivar, CB), two kinds of kimchi(ABK and CBK) prepared with AB and CB cultivar were fermented at $1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 종묘 회사에서 순무와 배추를 종간 교잡하여 개발한 배추 품종(‘암탁배추’)이 기능성 배추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며, 이 배추를 원료로 제조한 김치는 일반배추의 특성과 함께 순무가 지니는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순무의 성분에는 항암활성, 항산화 활성, 소염 작용 등의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고(Kim 등 2004) 순무김치가 오랫동안 시어지지 않고 숙성이 지속되는 특성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추품종을 이용한 김치의 발효 특성과 암세포저해 활성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저장성과 항암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 채소류와 각종 해산물 및 젓갈을 사용하는 복합 발효식품이며, 영양학적으로 비타민, 무기질함량이 높고, 식이 섬유질 함량 역시 높아 2001년 7월 국제식품규격(Codex standard)에 ‘Kimchi’로 채택되었으며,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Health’ 지에 선정될 만큼 영양학적으로나 기능학적으로 중요한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김치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로는 배추와 갓류의 flavonol, sinapine, anthocyanins, chlorophylls, carotenoids, 마늘의 allicin, garlic acid, scordinin, 생강의 gingerol, gingeron, shogaol 등 원료의 성분에 의한 항산화효과(Song 등 2001; Jung &Kim 2008; Lee 등 2014), 발효 김치 추출물의 피부독성에 대한 완화 및 갓김치와 배추김치군의 피부노화 예방효과(Ryu 등 1997; Ryu 등 2004), 김치의 지방질 배설능 증가와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Hwang 등 2000; Lee &Jeong 1999), 김치 추출물의 면역증강효과, 김치유산균에 의한 항균 및 정장 작용(Ryu 등 2012; Lee등 2016)과 항암활성 등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마늘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 채소류와 각종 해산물 및 젓갈을 사용하는 복합 발효식품이며, 영양학적으로 비타민, 무기질함량이 높고, 식이 섬유질 함량 역시 높아 2001년 7월 국제식품규격(Codex standard)에 ‘Kimchi’로 채택되었으며,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Health’ 지에 선정될 만큼 영양학적으로나 기능학적으로 중요한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김치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로는 배추와 갓류의 flavonol, sinapine, anthocyanins, chlorophylls, carotenoids, 마늘의 allicin, garlic acid, scordinin, 생강의 gingerol, gingeron, shogaol 등 원료의 성분에 의한 항산화효과(Song 등 2001; Jung &Kim 2008; Lee 등 2014), 발효 김치 추출물의 피부독성에 대한 완화 및 갓김치와 배추김치군의 피부노화 예방효과(Ryu 등 1997; Ryu 등 2004), 김치의 지방질 배설능 증가와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Hwang 등 2000; Lee &Jeong 1999), 김치 추출물의 면역증강효과, 김치유산균에 의한 항균 및 정장 작용(Ryu 등 2012; Lee등 2016)과 항암활성 등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중 항암활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배추김치의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한 획분에서 위암세포와 골육암세포에 대해항암활성(Cho 등 1999)을 비롯해서 김치유산균의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Park 등 1998)와 김치 주 발효균의 하나인 Lactobacillus plantarum 스타터 첨가가 암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Bong 등 2013) 등의 김치 유산균에 의한 항암효과 및 간수를 제한 천일염과 구운 소금으로 절인 배추김치에서의 항암활성(Han 등 2009)과 고추, 마늘, 초피 등의 향신료가 항암효과를 높인 연구(Park 등 1998), 양파김치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Park 등 2004)로 주로 김치제조과정상 사용되는 부원료에서 유래하는 김치의 항암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김치 주 발효균 중 항암효과가 있는 것은?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김치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로는 배추와 갓류의 flavonol, sinapine, anthocyanins, chlorophylls, carotenoids, 마늘의 allicin, garlic acid, scordinin, 생강의 gingerol, gingeron, shogaol 등 원료의 성분에 의한 항산화효과(Song 등 2001; Jung &Kim 2008; Lee 등 2014), 발효 김치 추출물의 피부독성에 대한 완화 및 갓김치와 배추김치군의 피부노화 예방효과(Ryu 등 1997; Ryu 등 2004), 김치의 지방질 배설능 증가와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Hwang 등 2000; Lee &Jeong 1999), 김치 추출물의 면역증강효과, 김치유산균에 의한 항균 및 정장 작용(Ryu 등 2012; Lee등 2016)과 항암활성 등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중 항암활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배추김치의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한 획분에서 위암세포와 골육암세포에 대해항암활성(Cho 등 1999)을 비롯해서 김치유산균의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Park 등 1998)와 김치 주 발효균의 하나인 Lactobacillus plantarum 스타터 첨가가 암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Bong 등 2013) 등의 김치 유산균에 의한 항암효과 및 간수를 제한 천일염과 구운 소금으로 절인 배추김치에서의 항암활성(Han 등 2009)과 고추, 마늘, 초피 등의 향신료가 항암효과를 높인 연구(Park 등 1998), 양파김치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Park 등 2004)로 주로 김치제조과정상 사용되는 부원료에서 유래하는 김치의 항암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소비가 가장 많은 배추김치의 주원료인 배추의 종류에 따른 연구는 배추 재배 방식에 따라 터널식 배추가 노지 배추에 비하여 결장암에 대한 항암효과가 높다는 보고(Chun 등 2008) 외에 별다른 연구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717-1726 

  2. Cho EJ, Choi JS, Kim SH, Park KY, Rhee SH. 2004.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active compounds from Chinese cabbage J Korean Association of Cancer Prevention. 9:98-103 

  3. Chun HK, Kim BK, Park HJ, Cho SM, Kim SN, Kwak JH, Park KY. 2008.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Baechu cabbage-enhanced functionality of Baechu cultivating by tunnel method. Cancer Prev Res. 13:122-129 

  4. Chung JY, Kim C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from different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72-978 

  5. Han GS,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Park KY. 2009. Improved quality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 (K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96-1002 

  6. Hwang JH. 2015.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mustard root (Brassica juncea). Korean J food Nutr. 28:926-932 

  7. Hwang JW, Song YO. 2000. Th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of Kimchi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04-210 

  8.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 Pharm Bull 19: 1528-1520 

  9. Jeon YS, Kye IS, Cheigh HS. 1999. Changes of vitamin C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on different cabbage varie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773-779. 

  10. Kim JS, Choi YH, Seo JH, Lee JW, Kim YS, Ryu SY, Kang JS, Kim YK, Kim SH. 2004.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root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Kor J Phamacogn. 35:259-263 

  11. Kim HY, Bae HS, Baek YJ. 1991.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arcoma 180 and mouse Lewis lung carcinoma. J Korean Cancer Assoc. 23:188-196 

  12. Kim MJ, Hong KH, Chung DS, Kim YB. 1998. Quality comparison of kimchi made from different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J Kor Soc Hort Sci. 39:528-532 

  13. Kim MJ, Kim SD.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343-348 

  14. Ku YS, Kim MK, Kim MJ, Kim SD. 1997. Quality of kimchi fermented with various salt concentration. J Food Sci Technol. 9:65-69 

  15. Lee C, Kim BM. 1992.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and sugar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Food Resources Institute. 4:85-94 

  16. Lee HR, Lee JH, Park CS, Ral KR, Ha JS, Cha MH, Kim SN, Choi YM, Hwang JB, Lee XM, Lee AL, K MR, Park ES, Park KY. 2016.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717-1724 

  17. Lee JJ, Jeong YK. 1999. Cholesterol-lowering effect and anticancer activity of Kimchi and Kimchi ingredients. Korean J Life Science 9:743-752 

  18. Lee GC. 1995. Changes in texture properti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East Asian Soc. Dietry Life. 5:359-370 

  19. Nam JS. 201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different part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369-1379 

  20.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169-182 

  21. Park KY, Cho EJ, Rhee SH. 1998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changing kinds and levels of sub-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25-632 

  22. Park KU, Kim JY, Cho YS, Yee ST, Jeong CH, Kang KS, Seo KI. 2004. Anticancer and immuno-activity of onion kimchi m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439-1444 

  23. Park KY, Kim SH, Son TJ. 1998.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3:329-333 

  24. Park SE, Bong YJ, Kim HY, Park K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Korean and Japanese spring Baechu cabbages and the kimchi prepared with such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20:854-862 

  25. Ryu BM, Ryu SH, Yang YC, Lee YS, Jeon YS, Moon GS. 2004.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kin of hairless mouse fed various kimchi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69-1475 

  26. Ryu SH, Jeon YS, Kwon MJ, Moon JW, Lee YS, Moon GS. 1997. Effect of kimchi extracts to reactive oxygen species in skin cell cytotoxi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814-821 

  27. Song ES, Jeon YS, Cheigh HS. 2001. Antioxidative effect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mustard leaf kimchi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421-425 

  28. Yu KW, Suh HJ, Hwang JH. 2012. Fermentative propertie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ow-sodium kimchi supplemented with Acanthopanax senticosus and Glycyrrhizae uralensis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5:878-8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