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neM2M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Open IoT Platform based on oneM2M Standard Protocol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10, 2017년, pp.1943 - 1949  

명상일 (Department of of Electrical Eng., Dongmyong University) ,  김성대 (Department of of Electrical Eng., Dongmy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메이커 문화는 스스로 '만들다'라는 개념을 하이테크놀로지 최신 기술을 통해 실현시키고 있다. 개인의 제작 방법 및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서로 공유함으로서 메이커 운동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메이커 운동을 선도하는 국가들은 메이커 운동을 사물인터넷 관점에서 새로운 가치 창조 및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DIY (Do It Yourself)를 통해 제작하고 개발된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호 연동하여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개방형 IoT (Internet of Things)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일반적인 개방형 IoT 플랫폼들은 전문적인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까다로운 플랫폼 등록조건과 절차로 인해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메이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다 간편한 구조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실제 서비스로 구동 할 수 있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구성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maker culture has realized the concept of 'making' itself through the latest technology of high technology. It is rapidly spreading as a maker's movement by sharing the production methods and information of individuals through the Internet. Countries that are leading the mak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관련 전문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IoT 경량화 플랫폼을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구현된 IoT 클라우드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아두이노 기반의 IoT 디바이스 활용하여 안드로이드와 C#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방형 IoT 플랫폼은 어떤 구조인가? 이러한 개방형 IoT 플랫폼들은 oneM2M (one machine-to-machine) 표준 플랫폼 구조로 각기 다른 서비스군의 디바이스 특징별로 효율적인 통신 프로토콜과 연동을 위한 상세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 개발자가 아닌 일반 메이커들이 전문 지식 없이 이들 API를 분석하여 자신이 필요한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개발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까다로운 플랫폼 등록 조건과 절차는 간단하게 만들어보고 구동해보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효율적인 통신 프로토콜과 연동을 위한 비전공자의 API 및 라이브러리 사용의 단점은? 이러한 개방형 IoT 플랫폼들은 oneM2M (one machine-to-machine) 표준 플랫폼 구조로 각기 다른 서비스군의 디바이스 특징별로 효율적인 통신 프로토콜과 연동을 위한 상세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 개발자가 아닌 일반 메이커들이 전문 지식 없이 이들 API를 분석하여 자신이 필요한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개발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까다로운 플랫폼 등록 조건과 절차는 간단하게 만들어보고 구동해보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메이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다 쉽고 간편한 구조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로 연동/구동 할 수 있는 경량화된 개방형 IoT 플랫폼을 제한한다.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필수적 요소는? 특히 DIY로 제작되는 대부분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통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되지 못하고 단순한 제품 조립과 제작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IoT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간의 연동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DIY 를 통해 제작하고 개발된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등록하고, 상호 연동하여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개방형 IoT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실증 서비스를 유도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 Frolund, J. H. Jeon, Y. K. Lee, S. Y. Lee, and H. J. Kim, "Study for strengthening the ICT DIY ecosyste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CTC), pp. 269-274, Oct. 2014. 

  2. H. Shen, Z. Li, L. Yu, and C. Qiu, "Efficient Data Collection for Large-Scale Mobile Monitoring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Parallel and Distributed Systems, vol. 25, no. 6, pp. 1424-1436, Apr. 2013. 

  3. M. Meddeb, M. Ben Alaya, T. Monteil, A. Dhraief, and K. Drira, "M2M Platform with Autonomic Device Management Service," International Workshop on Recent Advances o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vol. 32, pp. 1063-1070, 2014. 

  4. S. K. Datta, C. Bonnet, and N. Nikaein, "An IoT gateway centric architecture to provide novel M2M services," Internet of Things (WF-IoT), 2014 IEEE World Forum on, pp. 514-519, Mar. 2014. 

  5. K. Tang, Y. Wang, H. Liu, Y. Sheng, X. Wang, and Z. We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ush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MQTT protocol,"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and Computer Applications (ISCA 2013), pp. 116-119, 2013. 

  6. Z. Suryady, G. Sinniah, S. Haseeb, M. Siddique, and M. Ezani "Rapid development of smart parking system with cloud-based platforms," in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Muslim World (ICT4M), Kuching Malaysia, Nov. 2014. 

  7. P. Bellavista, A. Corradi, and A. Reale, "Quality of Service in Wide Scale Publish-Subscribe Systems,"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16, no. 3, Apr. 2014. 

  8. N. Witthayawiroj, and P. Nilaphruek,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using WebSocket Protocol," in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85, 2017. 

  9. Y. Zhangling, and D. Mao, "A Real-Time Group Communication Architecture Based on WebSocke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 no. 4, pp. 408-411, Nov. 2012. 

  10. Y. H. Jang, J. S. Shim, and S. C. Park, "Analysis Standardized of IoT-based Low-power.Light-weight Protoco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20, no.10, pp. 1895-1902, Oct.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