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어린이 참여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수원시 어공6호 어린이공원을 사례로 - A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Participation Design - Focused on Eogong 6ho Children's Park in Suwon -원문보기
최근 도시공간의 설계과정에서 주민 참여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중요해지고 있다. 어린이공원도 사용자인 어린이의 의견 반영할 필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바, 어린이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참여방식과 다른 방법론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디자인 교육을 통한 사용자 의견을 설계안으로 반영하여 어린이공원에 적용했다. 교육프로그램은 기존의 연구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5주간의 교육프로그램, 교재, 교수방법을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어공6호 어린이공원을 대상지로 삼고, 선일초등학교 5학년 1반 아이들과 함께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를 재해석하여 어린이공원 공사과정에 반영하였다. 본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은 참여 교수들의 구성 및 운영방법, 교재 및 교사교재 제작 등에서 다른 워크숍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 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준공 이후의 어린이공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등의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 참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앞으로 어린이 공원에 대한 보다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의 적용과 사용자인 어린이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들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
최근 도시공간의 설계과정에서 주민 참여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중요해지고 있다. 어린이공원도 사용자인 어린이의 의견 반영할 필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바, 어린이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참여방식과 다른 방법론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디자인 교육을 통한 사용자 의견을 설계안으로 반영하여 어린이공원에 적용했다. 교육프로그램은 기존의 연구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5주간의 교육프로그램, 교재, 교수방법을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어공6호 어린이공원을 대상지로 삼고, 선일초등학교 5학년 1반 아이들과 함께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를 재해석하여 어린이공원 공사과정에 반영하였다. 본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은 참여 교수들의 구성 및 운영방법, 교재 및 교사교재 제작 등에서 다른 워크숍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 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준공 이후의 어린이공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등의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 참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앞으로 어린이 공원에 대한 보다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의 적용과 사용자인 어린이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들이 축적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citizen participation and user - oriented design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urban space design process. The Children's Park has also begun to discuss the need to reflect children's opinions and needs as well as existing ways and means of participation to reflect these opini...
Recently, citizen participation and user - oriented design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urban space design process. The Children's Park has also begun to discuss the need to reflect children's opinions and needs as well as existing ways and means of participation to reflect these opinions and ideas. In this study, a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as constructed and user opinions accessed via this design education were reflected in design and applied to the Children's Park. Th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five weeks of educational programs,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related to existing research,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ticipatory design programs. This program was used as a pilot of Eogong-6ho Children 's Park(No. 6 Children's Park), located in Gwonseon-gu, Suwon, and reinterpreted the results of the workshop for 5th grade students at Sunil Elementary School. This design education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hop programs on how to organize and operate participating professors and textbooks, and has a program base that can reproduce the entire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s of user participation through research, such as monitoring the use of children's parks after comple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more diverse design methodologies to children's parks and the way they reflect children's opinions.
Recently, citizen participation and user - oriented design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urban space design process. The Children's Park has also begun to discuss the need to reflect children's opinions and needs as well as existing ways and means of participation to reflect these opinions and ideas. In this study, a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as constructed and user opinions accessed via this design education were reflected in design and applied to the Children's Park. The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five weeks of educational programs,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related to existing research,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ticipatory design programs. This program was used as a pilot of Eogong-6ho Children 's Park(No. 6 Children's Park), located in Gwonseon-gu, Suwon, and reinterpreted the results of the workshop for 5th grade students at Sunil Elementary School. This design education program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hop programs on how to organize and operate participating professors and textbooks, and has a program base that can reproduce the entire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s of user participation through research, such as monitoring the use of children's parks after comple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more diverse design methodologies to children's parks and the way they reflect children's opinio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 조성과정에서 ‘어린이’를 중심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디자인을 교육하고, 교육과정에서 직접 자신들이 원하는 어린이 공원의 디자인을 제안하면, 그 디자인을 실천하는 단계까지 포함한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해보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이 직접 설계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적용하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을 각 단계별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인 어린들이 만족할 수 있는 어린이공원을 디자인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축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공원과 같은 공간에 있어서 어린이들을 참여 주체로 인정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어린이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활동을 제안하고, 조직화할 수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어린이의 능력을 디자인 과정으로 치환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과 방법으로써 디자인을 교육하며, 그 과정에서 획득한 수단을 활용한 어린이의 주체적 표현에 의한 디자인 과정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해서 주안점을 두었다. 디자인 교육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창의성, 유연한 사고를 기반으로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사고능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7) .
특히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디자인의 체험교육은 아이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촉진시키고, 활동을 통한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통합적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이러한 가치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는 다양한 어린이 대상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공원녹지사업소와 협의하여 우선 조성 사업대상으로 선정된 어공6호 어린이공원 인접 초등학교 에서 교육을 희망 여부를 탐색했다. 협의 결과, 어린이공원과 바로 옆에 위치한 선일초등학교와 협의가 되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10) .
5주차 수업의 주제는 ‘놀이터 소개하기’로 각 모둠의 모형을 다른 모둠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이다. 어린이공원에 작은무대를 만든 3모둠 친구들은 그 무대에서 할 비트박스 공연을 보여주었으며, 공간 하나하나에서 어떻게 놀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활동과 시설, 공간을 뚜렷하게 알 수 있었다.
4주차의 경우에는 아이들이 즐거워하며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수업에 참여한 것으로 기록했으며, 5주차의 경우에는 발표형식이 너무 단순하다고 적시했다. 이와 같이 교사일지를 통해서 각 모둠별 수준의 차이를 조정하고, 모둠 내 갈등구조를 조정하기 위해 보조인력투입 등의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기록으로 남겼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 조성과정에서 ‘어린이’를 중심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디자인을 교육하고, 교육과정에서 직접 자신들이 원하는 어린이 공원의 디자인을 제안하면, 그 디자인을 실천하는 단계까지 포함한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해보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이 직접 설계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적용하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그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을 각 단계별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인 어린들이 만족할 수 있는 어린이공원을 디자인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축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사례연구 대상지로 수원시 소재, 꿈꾸는 놀이터의 2015년 대상지인 ‘어공6호 어린이공원’을 선정하여 인근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5학년 1개 반의 2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5주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교재를 개발 및 모둠별 교사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한 관련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에, 현장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해서 검증을 했으며, 각 단계별로 참여 연구진들에 의해 집중검토회의(Focus Group Interview)를 개최하여 각 주의 수업내용과 방법,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수업의 교사와모둠교사로 직접 참여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어린이들의 활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한 관련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에, 현장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유용성에 대해서 검증을 했으며, 각 단계별로 참여 연구진들에 의해 집중검토회의(Focus Group Interview)를 개최하여 각 주의 수업내용과 방법,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수업의 교사와모둠교사로 직접 참여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어린이들의 활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사례연구는 문헌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서 진행했다.
연구자는 수업의 교사와모둠교사로 직접 참여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어린이들의 활동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사례연구는 문헌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서 진행했다. 사례대상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한 건축, 조경 등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와 사용자 참여과정을 통해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우를 조사하여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연구 대상지로 수원시 소재, 꿈꾸는 놀이터의 2015년 대상지인 ‘어공6호 어린이공원’을 선정하여 인근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5학년 1개 반의 2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5주간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교재를 개발 및 모둠별 교사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또한, 매주 수업후 집중검토회의(FGI)를 통해 수업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및과정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으며, 모든 과정을 마무리 한 이후에 다시 FGI를 실시하여 전체 과정에 대한 리뷰를 실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교사교재를 작성했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주제와 목적에 따라 실외활동과 실내 활동, 강의와 실습으로나누어 진행했으며, 모둠별(4~5명) 작업을 원칙으로 진행하였고, 그 동안의 직접 경험과 결과물을 분석하여 그 성과와 의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매주 수업후 집중검토회의(FGI)를 통해 수업과정에서 발생한 문제 및과정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으며, 모든 과정을 마무리 한 이후에 다시 FGI를 실시하여 전체 과정에 대한 리뷰를 실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교사교재를 작성했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주제와 목적에 따라 실외활동과 실내 활동, 강의와 실습으로나누어 진행했으며, 모둠별(4~5명) 작업을 원칙으로 진행하였고, 그 동안의 직접 경험과 결과물을 분석하여 그 성과와 의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그 중에서 참고한 사례는 영국의 도시디자인 전문기구인 CABE(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의 ‘My Space, My Base, My Place’와 서울시 동부 공원 녹지사업소와 (재)환경나눔연구원이 함께 진행한 ‘어린이 조경 학교’, 서울시 건축기획과에서 진행한 ‘어린이 건축학교’, ARKO 와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추진한 ‘건축학교’ 과정, 서울 디자인재단에서 진행한 ‘해치야 디자인하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어린이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의 학습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선입견과 달리 어린이가 사용자로서 직접 참여한 공간조성 사례는 2007년 (사)걷고싶은 도시연대와 토지공사가 함께 진행한 ‘도롱뇽 놀이터’ 조성사례와 2015년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이 함께 진행한 ‘학생들이 가고 싶은 쾌적한 화장실 만들기’, 세이브더칠드런이 진행한 ‘놀이터를 지켜라’ 프로젝트를 살펴보았으며, 최근 완공되어 큰 관심을 받았던 순천시 ‘기적의 놀이터’ 사례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어린이 디자인 교육은 CABE의 프로그램이나 ‘건축학교’, ‘해치야 디자인하자’와 같이 각 수업의 차수별로 별도의 주제 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으며, ‘서울시 어린이 조경학교’, ‘서울시 어린이 건축학교’와 같이 전체 주제에 따라서 각 차수별 수업을 구성해서 운영하는 프로젝트형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수업의 대상 어린이의 연령, 교육여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단순 교육만이 아니라, 어린이 공원 설계와 연계하기 위해서 주별 프로그램이 아닌 하나의 주제를 두고, 여러 회수에 걸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형 수업 형식을 주로 참고하 였다(Table 1 참조).
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면서 제1주차에는 ‘놀이터를 지켜라’사례를 참고하여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놀이를 직접 해보는 방식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2주차 프로그램은 ‘학교화장실 개선프로그램’과 같이 국내외 사례를 보여주고, 생각하게 만드는 교수법을 도입했다.
또한, 어린이들이 디자인 교육을 통해 습득한 디자인 능력을 활용하여 해당 공간의 조성에 필요한 의견을 제안할 수있을 것이라는 근거를 확보하고, 최소한 디자인에 필요한 구성 요소, 디자인 요건, 현황관련 정보 등을 습득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교재 구성, 교구 준비 및 교사 구성을 하여 총 5주간의 공원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매회 정리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어린이공원을 실제로 조성했다는 점에서 기존 사례와 차별성을 가진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어린이공원의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했다. 각 주차별 진행내용은 기존의 프로젝트형 디자인 학교 프로그램의 형식을 기본으로 하되, 현장조사 방식, 사례조사, 모듬별 논의, 모듬별 교사 등 진행 방식은 다른 사례들을 참고하여 구성했다. 사례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체로 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설계안을 만들어 모형을 제작하는 전체 과정은 일반적인 설계 과정과 동일하다.
프로그램 전체 구성은 서울시 건축학 교, 어린이 조경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한 방식을 참고하여 구성했다. 그 결과, 현황조사 및 공간구성, 모형제작 등의 단계를 진행하는 5회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렇게 사례를 조사한 내용을 기반으로 각 주별 수업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담은 교재를 만들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사전회의를 개최 했다.
3주차에는 지난 시간 진행한 ‘공간상상하기’를 발전시켜 아이들이 원하는 놀이터의 구체적인 계획안을 작성하고, 4주차는 계획안을 바탕으로 모형을 제작했다.
첫 주는 아이들을 인솔하여 현장으로 이동하고, 준비된 교재와 교규를 이용하여 조사를 진행했으며, 2주차에는 교재를 이용하여 ‘공간 상상하기’를 진행하며, 모둠별 도면 작업을 지도했다.
3, 4주차는지난 시간 진행한 ‘공간 상상하기’와 ‘놀이터 디자인’의 결과를 공유했으며, 마지막 주 수업에서는 강의 없이 바로 ‘놀이터 소개하기’와 수료식을 진행했다.
본 프로그램은 ‘현장조사-공간상상하기-놀이터 디자인-모형 만들기-놀이터 소개하기’의 총 5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이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한 교재와 교구를 활용했다. 교재는 아이들이 직접 수행한 포트폴리오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사진을 통해 아이들의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 회당 진행 내용에 대한 교재내용은 Table 3과 같다.
각 주차의 교재내용을 살펴보면, 1주차의 교재내용은 현장 조사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설계 과정을 끌어갈 수있는 이슈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이들이 현장조사 결과를 직접적으면서 재미있는 공간, 재미없는 공간, 살아있는 생물, 위험한 공간을 직접 구분해 볼 수 있도록 유도했으며, 추가적인 메모도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2주차에서는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자신들이 하고 싶은 놀이에 대해서 생각하고 적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3주차에서는 도면을 그리면서 놀이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며, 아이들에게 제공한 도면의 스케일에 맞는 사람, 나무, 놀이기구의 이미지를 같이 제공해서 스케일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 했다. 4주차에는 모둠별로 그린 도면과 사람 모형을 기준으로 높이, 길이, 두께를 정해 자르고 붙이면서 모형 만들기를 진행하며, 놀이터 이름을 정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 주에는 놀이터 소개하기를 통해서 무엇을 하면서 놀 수 있는지, 어떤 생물이 살 수 있는지를 고민하면서 친구들에게 자랑하는 시간을 갖도록 했다.
교사는 총괄진행교사 1명, 모둠별 교사 4~5명, 보조교사 4~5명, 총괄보조교사 1명 등 10여명의 교사진으로 구성했다. 총괄진행교사는 매주 수업 시작을 알리고, 20~30분 정도 강의를 진행했으며, 첫 주에는 놀이터 디자인과 현장조사에 대한 강의 및 모둠을 정하고, 모둠별 교사를 소개했다. 2주차에는 놀이터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알려주고, 해외의 놀이터와 놀이터 디자이너를 소개하며, 디자인 컨셉과 철학에 대해 강의했다.
협의 결과, 어린이공원과 바로 옆에 위치한 선일초등학교와 협의가 되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10) . 진행기간은 2015년 3월 26일부터 4월 23일까지 5주 동안 미술시간을 활용해서 2교시(90분)동안 진행되었다. 참가 어린이는 5학년 1반 학생 27명으로 6개 모둠을 구성하였다.
1주차 수업의 주제는 ‘현장조사’로 어린이공원에서 약 1시간 동안 뛰어 놀고, 주변을 관찰하게 하였다.
3주차 수업의 주제는 ‘공간디자인’으로 직전 수업인 ‘공간상 상하기’와 연결하여 아이디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표현하도록 하였다.
3주차 수업의 주제는 ‘공간디자인’으로 직전 수업인 ‘공간상 상하기’와 연결하여 아이디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표현하도록 하였다. 모둠별로 의견을 취합하여 공원의 주제를 정하고, 각각의 공간에서 일어나는 놀이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 놀이에 필요한 시설과 공간에 대해 표현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어린이들은 공간과 시설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자신들만의 놀이 스토리를 들려주기도 하였다(Figure 4 참조).
각 주차별 수업 결과물은 Table 4와 같이 도출되었다. 학생들은 기본구상(안)을 작성한 이후에도 상세한 놀이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도면을 작성했으며, 도면에 기초해서 모형으로 구현했다. 모든 모둠의 설계안은 중앙부분에 놀이공간을 두고, 주변부에 휴게공간을 두고 있으며, 어린이 공원 전체 순환동선을가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학생들은 기본구상(안)을 작성한 이후에도 상세한 놀이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도면을 작성했으며, 도면에 기초해서 모형으로 구현했다. 모든 모둠의 설계안은 중앙부분에 놀이공간을 두고, 주변부에 휴게공간을 두고 있으며, 어린이 공원 전체 순환동선을가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운동 공간, 수(水)공간을 제안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드물게 애완동물을 위한 공간을 제안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진행을 위해 참여 교사들과 수업 일주일 전에 사전회의를 가졌으며, 매 수업시간의 사전, 사후에 수업에 대한 회의를 진행했다. 수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별도로 집중검토회의를 개최하여 수업의 결과물과 진행방식 등을 평가하도록 했다(Table 5 참조).
매주 진행자의 진행내용과 모둠별 진행사항을 비교 검토하며, 토론시간의 조정 등의 세부진행 일정의 장단점으로 토의하고 조정했다. 특히 3~5주차에 이르러서는 해당 주차에 나가는 과제의 양과 최종 결과물의 표현방식, 사용되는 소재, 재료, 모형의 크기(스케일), 그리고 아이들에게 주지시켜야 하는 디자인 교육내용에 대한 점검 및 토론이 이루어졌다.
매주 진행자의 진행내용과 모둠별 진행사항을 비교 검토하며, 토론시간의 조정 등의 세부진행 일정의 장단점으로 토의하고 조정했다. 특히 3~5주차에 이르러서는 해당 주차에 나가는 과제의 양과 최종 결과물의 표현방식, 사용되는 소재, 재료, 모형의 크기(스케일), 그리고 아이들에게 주지시켜야 하는 디자인 교육내용에 대한 점검 및 토론이 이루어졌다. 앞서 언급한 표준교안 작업도 이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5주차까지 마무리 하고 난 이후, 집중검토회의를 통해서 진행과정에 대한 평가, 설계안으로 반영방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집중검토회의를 진행했다. 평가과정에서는 아이들이 참여하는 형식의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은 꿈꾸는 놀이터에 대한 사업에 적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아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각 모둠별 선생님의 역량, 역할이 중요하고, 선생님 교육이나 워크 숍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우수한 모둠별 교사를 모집하고, 교육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함을 지적했다. 설계안으로의 반영은 어떤 특정한 모둠의 안을 반영하기보다는 각 모둠별 설계안에서 공통적인 부분을 고르고, 재미있는 디자인 요소들을 추출하여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중심으로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그 결과를 어린이공원에 직접 적용하여 현실화하는 일단의 과정을 구성해서 추진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와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중심으로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그 결과를 어린이공원에 직접 적용하여 현실화하는 일단의 과정을 구성해서 추진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와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했다. 그 결과,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어공6호 어린이 공원을 기존의 조합놀이대로 조성하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들이 제안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새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어공6호 어린이 공원을 기존의 조합놀이대로 조성하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들이 제안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새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어린이들이 자신들이 사용하는 공간을 실제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디자인 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본 프로그램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형을 했다. 또한, 교재제작 및 교사사전교육, 사후회의 등을 진행하면서 각 과정에 대해서 기록을 했다.
어린이들이 자신들이 사용하는 공간을 실제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디자인 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본 프로그램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형을 했다. 또한, 교재제작 및 교사사전교육, 사후회의 등을 진행하면서 각 과정에 대해서 기록을 했다.
교재를 활용해서 YMCA등 NGO단체들이 참여한 어린이공원 디자인 교육과정이 추진 중에 있다. 둘째, 참여 교수들의 구성 및 운영방법에 있어서 진행자, 모둠별 교사, 보조교사의 운영시스템을 구축했다. 20인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업에의 집중력, 아이들 간의 친목과 갈등, 수업 주제에 대한 이해도 차이 등을 감안하여 아이 들을 이끌 수 있는 체계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공공에서 설치하고 관리하는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수원시 ‘꿈꾸는 놀이터’3) 의 첫 번째 시범사업인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어공6호 어린이공원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5~2016년까지로 한정했다4) .
사례연구는 문헌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서 진행했다. 사례대상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한 건축, 조경 등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와 사용자 참여과정을 통해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우를 조사하여 참고하였다.
2주차 프로그램은 ‘학교화장실 개선프로그램’과 같이 국내외 사례를 보여주고, 생각하게 만드는 교수법을 도입했다. 프로그램 전체 구성은 서울시 건축학 교, 어린이 조경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한 방식을 참고하여 구성했다. 그 결과, 현황조사 및 공간구성, 모형제작 등의 단계를 진행하는 5회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본 프로그램은 ‘현장조사-공간상상하기-놀이터 디자인-모형 만들기-놀이터 소개하기’의 총 5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이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한 교재와 교구를 활용했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어린이 4~5명을 한 모둠으로 하여 진행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 삼았다. 각 모둠에는모둠교사와 보조교사가 있어 수업의 진행을 돕는다.
각 모둠에는모둠교사와 보조교사가 있어 수업의 진행을 돕는다. 교사는 총괄진행교사 1명, 모둠별 교사 4~5명, 보조교사 4~5명, 총괄보조교사 1명 등 10여명의 교사진으로 구성했다. 총괄진행교사는 매주 수업 시작을 알리고, 20~30분 정도 강의를 진행했으며, 첫 주에는 놀이터 디자인과 현장조사에 대한 강의 및 모둠을 정하고, 모둠별 교사를 소개했다.
진행기간은 2015년 3월 26일부터 4월 23일까지 5주 동안 미술시간을 활용해서 2교시(90분)동안 진행되었다. 참가 어린이는 5학년 1반 학생 27명으로 6개 모둠을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각각 총괄진행교사와 보조교사로 참여했고, 연구자 외 담당공무원, 설계업체 및 관련 전문가들을 추가로 섭외하여, 총괄진행교사 1명, 모둠교사 5명, 보조교사 4명 등 총 10명이 참여했다.
참가 어린이는 5학년 1반 학생 27명으로 6개 모둠을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각각 총괄진행교사와 보조교사로 참여했고, 연구자 외 담당공무원, 설계업체 및 관련 전문가들을 추가로 섭외하여, 총괄진행교사 1명, 모둠교사 5명, 보조교사 4명 등 총 10명이 참여했다.
성능/효과
‘기적의 놀이터’의 경우에는 놀이활동가이자 디자이너가 주축이 되어 아이들과 현장에서 워크숍을 진행했으며, 기존과 다른 놀이터 형식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와 같이 공간조성에서 어린이 참여디자인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면 실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선호도 조사나 설문 조사와 같은 일회적 방법 보다는 연속성 있고 장기적인 디자인 참여가 효과적이며, 어린 이들도 충분히 자신들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 나타났다(Table 2 참조).
사례조사 결과,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이 참여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서 디자인 교육과정을 제안해서 진행하되, 1~2회에 그치는 단기간 워크숍이 아니라, 모형제작까지 기간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했다. 또한, 어린이들이 디자인 교육을 통해 습득한 디자인 능력을 활용하여 해당 공간의 조성에 필요한 의견을 제안할 수있을 것이라는 근거를 확보하고, 최소한 디자인에 필요한 구성 요소, 디자인 요건, 현황관련 정보 등을 습득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었다.
사례조사 결과, 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이 참여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서 디자인 교육과정을 제안해서 진행하되, 1~2회에 그치는 단기간 워크숍이 아니라, 모형제작까지 기간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했다. 또한, 어린이들이 디자인 교육을 통해 습득한 디자인 능력을 활용하여 해당 공간의 조성에 필요한 의견을 제안할 수있을 것이라는 근거를 확보하고, 최소한 디자인에 필요한 구성 요소, 디자인 요건, 현황관련 정보 등을 습득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교재 구성, 교구 준비 및 교사 구성을 하여 총 5주간의 공원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매회 정리하여 그 결과를 반영한 어린이공원을 실제로 조성했다는 점에서 기존 사례와 차별성을 가진다.
사례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체로 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설계안을 만들어 모형을 제작하는 전체 과정은 일반적인 설계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대상이 어린이이기 때문에, 각 모둠별로 인원수 구성과 보조교사 투입 등에 있어서 여타의 교육과 차별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체험을 기본으로 이를 주어진 도면에 스티커로 표시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어도면에 정리하였다(Figure 2 참조). 그 결과, 위험한 곳(빨간색스티커)과 재미있는 곳(노란색 스티커)은 동일한 공간으로 나타났다(Table 4 참조).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와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했다. 그 결과,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어공6호 어린이 공원을 기존의 조합놀이대로 조성하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들이 제안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새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어린이들이 자신들이 사용하는 공간을 실제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디자인 교육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여, 본 프로그램에 적합한 방식으로 변형을 했다.
셋째, 참여자들과 집중검토회의를 거쳐서 각 단계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제안하는 설계안이 기대했던 것보다 정교하며,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 제안하며, 지역사회와 관계맺음을 통해서 공간을 변화시키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기꺼이 수행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사전, 사후의 공간이용에 있어서의 차이를 모니터링 한다거나, 아이들의 참여결과를 반영하는 과정에서의 의견 조정 등에 대한 조사나 연구가 미흡하다. 어린이 참여디자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써의 가치와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참여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거나, 준공 이후의 어린이공원의 사용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 참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어공6호 어린이 공원은 2016년 8월에 준공되어 2017년 현재까지는 지역 어린이들이 많이 방문하는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어공6호 어린이 공원은 2016년 8월에 준공되어 2017년 현재까지는 지역 어린이들이 많이 방문하는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어린이의 창의력 발달에 기여하며, 지역의 다양한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참여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공원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어린이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의해 ‘어린이의 보건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원’이다. 그러나 어린이 공원의 시설기준이나 디자인과정에서는 사용자인 어린이는 배제되고, 장소, 이용자, 주변 환경과 상관없이 어느 곳이나 똑같다.
놀이공간이란?
놀이공간은 어린이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어린이가 주변 환경과 교류하며, 다양한 경험을 습득하고, 어린이의 성장과정을 보조하는 시설로서 어린이의 육체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화를 위한 중요 공간이다. 어린이의 놀이공간은 어린이 놀이터, 어린이공원, 학교 운동장과 같이 제한된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하며, 골목길이나 동네 마당과 같은 불특정 공간도 포함하는 개념적 정의이다.
어떤 문제점 때문에 폐쇄된 어린이놀이터의 놀이시설이 존재하는가?
어린이놀이터의 놀이시설에 대해서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관리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치검사 및 안전 검사를 통해 시설의 유해성 및 안전성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검사의 이행절차가 까다롭고, 기준이 엄격하며, 제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폐쇄된 어린이 놀이시설이 전국에 1,700여 개소가 넘는다.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시설이 기본적으로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 적용하는 기준이 지나치게 안전함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1) .
참고문헌 (12)
Beltzig, G., H. M. Phyen., A. Hideaki and S. G. Solomon(2016) Resources of Children's Playground International Symposium. Suncheon.
Children's Playground Safety Management Act.
Cho, Y. K., J. M. Kim and S. K. Woo(2010) A study on the children's park plan with the application of child participatory desig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8): 117-126.
Hue, Y. S. and S. B. Yim(2013) Development of built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7): 111-133.
Jang, J. Y. and S. S. Lee(2004) A study on design based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 Focused on integrated problem solving process. KSDS Conference Proceeding p. 160-161.
Kim, A. Y. and H. B. Jo(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hildren's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on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in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4): 121-139.
Lee, W. G., J. Y. Sim, D. S. Kim and S. Y. Lee(2012)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hildren's parks by the trans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Seogu, Daeje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23(10): 17-3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