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참여를 통한 유아숲체험원 설계안 도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ing Process of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5, 2019년, pp.1 - 13  

강태순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설계참여를 통하여 유아 선호에 부합하는 유아숲체험원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참여설계에 대한 전체과정을 대상지 인지단계, 계획요소 도출단계, 설계안 도출단계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안 도출 단계를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과 K유치원(6, 7세 통합반; 전체 41명)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계안 도출을 위해 3회의 설계과정(유아 참여과정 2회, 연구자 분석과정 1회)과 과정별 도구구축, 유아 참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워크숍을 통한 유아의 설계안은 총 41개안으로, 유아 1명이 평균 7.66개소의 공간을 그렸다. 6세 남아가 가장 적게(평균 6.80개소), 7세 여아가 가장 많게(평균 9.0개소) 설계하였다. 전체, 성별, 나이별 모두 신체 및 모험놀이공간을 가장 많이(38.9%~48.7%) 설계하였다. Base map을 활용한 유아설계의 가능성 분석을 위해 41개의 설계안에서 대상지 내 물리적 환경특성(7개 항목)의 출현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72번의 환경특성이 나타났고, 이러한 환경특성은 87.8%(26개안)의 설계안에서 1개 항목 이상 나타났다. 둘째, 설계대안으로 APS type(동적 놀이시설공간 집중배치) 15개 안, NS type(자연공간 위주 설계) 14개 안, SPS type(정적 놀이시설공간 위주 설계) 12개의 안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설계대안별 선호도(5점 척도) 평가와 3개 유형의 대안 비교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된 NS type은 자연공간(숲공간, 숲길, 쉼터, 자연탐색공간, 생태연못)이 주요 공간으로 설계되었고, 동적놀이시설공간, 물놀이 공간, 흙(모래)놀이 공간 등이 적정한 양으로 배치되어 인지적 발달놀이(기능놀이, 구조놀이, 극(상징)놀이) 모두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설계안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rive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ECC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at meets the preschooler's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preschooler participation is included in each phase of the FECC, the site perception phase, the deriving design elements phase, and the deriv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여디자인이란? 최근 이용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설계안 도출을 위해 참여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다. 참여디자인이란 이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Kang, 2018), 공간의 실제 이용자가 계획 및 설계 시 직접 참여하는 것이다. 이로서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질적 향상을 꾀함과 동시에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활동 참여도 등이 향상된다(Park and Moon, 2000).
참여디자인의 장점은? 참여디자인이란 이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Kang, 2018), 공간의 실제 이용자가 계획 및 설계 시 직접 참여하는 것이다. 이로서 이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질적 향상을 꾀함과 동시에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활동 참여도 등이 향상된다(Park and Moon, 2000).
숲놀이 공간 조성 양적 확대의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012;Fjortoft, 2004), 유아의 정서적 안정 및 주의집중력 향상(Lee and Kim, 2011)과 사회적 상호능력 향상(Yoo, 2013), 유아 지적능력(언어, 음악, 수학, 공간, 자연친화적 지능 등)의 향상 (Park, 2012) 등이 있다. 정부기관 또는 지자체를 비롯한 다양한 주체들은 이러한 숲놀이 공간 조성의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양적 확대를 이루고 있으며, 그 사례로는 산림청 유아숲체험원,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환경부 생태놀이터 등이 있다(Kang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M. W. and B. S. Choi(2004) A case study on the planning process of 'A' kindergarten's playground applied user participatory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4): 87-97. 

  2. Choi, M. W. and H. R. Byun(2006)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outdoor play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 in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5(6): 919-935. 

  3. Cosco, N. G and R. Moore(2009) Sensory integration and contact with nature: designing outdoor inclusive environments. The NAMTA Journal 34(2): 158-177. 

  4. Davis, L., A. White and J. Knight(2009) Nature Play: Maintenance Guide. Scotland: Play England by NCB. 

  5. Fjortoft, I.(2004) Landscape as playscape th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s on children's play and motor development.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14(2): 21-44. 

  6. Hue, Y. S. and S. B. Im(2010)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1-11. 

  7. Hue, Y. S.(2008)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8. Jang, J. B.(2002) Preschooler's Cognitive and Social Play Behaviors According to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9. Kang, T. S(2018)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5): 69-81. 

  10. Kang, T. S., M. W. Lee. and M. S. Jeong(2016)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by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6): 162-176. 

  11. Kang, T. S., M. W. Lee. and M. S. Jeong(2017) Post occupancy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2): 109-123. 

  12. Kim, A. Y.(1997) A Study on the Design Prototype of Day-Care Center Playgroun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E. J., J. T. Lim and J. H. Byun(2012) A comparison between the forests class and the general class on physiqu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6(2): 187-186. 

  14. Kim, M. J.(2000) A Study on the Qua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and Children's Behavior.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15. Kim, S. S.(1998) Children's Play Behavio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Kindergarten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16. Ko, Y. J.(2007) A Study on the Design of Outdoor Playground Space in Childcare Centers by User Meeds Analysis.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17. Korea Forest Service(2014) Design and Management Manual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for the Re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18. Lee, H. J.(2000)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Outdoor Play Equipment and Children's Play Behaviors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 Equipment.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19. Lee, M. H. and E. S. Kim(2011) The effects of forest education on children's atten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11(3): 149-170. 

  20. Lee, S. J.(2004) Theory and Practice of Play for Children. Seoul: Changiisa 

  21. Lee, Y. B., Y. H. Bae, K. D. Maeng and Y. G. Kim(2017) A case study of Kkumtle-Kkumtle Playground in Seoul Children's Grand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2): 101-108. 

  22. Linden, S. J. and B. Barbarasch(2012) Nature play area guidelines. Natural Resources Department. 

  23. Moore, R.(2017) Nature Play & Learning Places. National Guidelines. Raleigh,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and Natural Learning Initiative. 

  24. Park, S. H. and K. H. Moon(2000)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of apartment housing applying resident's participation designing method.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5: 68-76. 

  25. Park, S. J.(2012) Forest Activity's Effect on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Ph.D.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26. Park, W. J and J. Y. Park(2008) A study on the technique and tool of participation design for outdoor playground in kindergarte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ing Part 24(4): 97-105. 

  27. Parten, M. B.(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Abnormal Psyshology 27(3): 243-269. 

  28. Yoo, K. J.(2013) The Effect of Nature Kindergarten Activitie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Emotional Ex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