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현장실습이 취업 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도, 직무일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ong-term on-site training on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match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0 no.5, 2017년, pp.3 - 13  

김성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PP센터) ,  이상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completing long-term on-site training with varying grades of success had on the job satisfaction of former university students after obtaining employment. Although the grades themselves achieved during long-term on-site training did not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점에서 장기현장실습을 수행하고 취업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습수행 성취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들 취업자의 직무만족에 직무일치도와 조직몰입도가 매개되었을 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몇 가지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기현장실습을 수행한 취업자의 실습수행성취도가 입사 후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기현장실습 진행의 구성요소인 참여 학생과 직무 및 멘토의 세 가지 요소들을 장기현장실습 성취도의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 그리고 실습 후 취업자의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장기현장실습의 성취도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검증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직무일치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8%에 달한다는 것은 대학 교육의 낮은 효율성을 보여주고 있고, 전공과 다른 직무에 종사하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고 이직과 전직으로 이어짐으로써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함은 여러 연구에서 언급되고 있다(어윤경, 2010). 이런 점에서 장기현장실습을 수행하고 취업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습수행 성취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들 취업자의 직무만족에 직무일치도와 조직몰입도가 매개되었을 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현장실습 수행 성취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장기현장 실습을 통해 잘 준비된 미래인력으로 훈련이 가능함으로써 실습 후 학생이 자신의 선호나 능력에 맞는 직무를 선택하고 이것이 직무일치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 등과 함께 직무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이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학연계 프로그램으로써 장기현장실습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산학연계 프로그램으로써 장기현장실습은 기업 차원에서는 직원을 채용하기 전에 미래의 인력을 자신의 업무현장에서 검증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과 이를 통하여 우수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그리고 대학 입장에서는 장기현장실습을 통하여 현장감각을 갖춘 유능한 실무형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대학과 산업계 간의 인력수급 불일치 해소에 기여하며 이를 통하여 산학협력교육의 효과성으로 대학의 취업률 향상에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오창헌, 2013).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인 IPP란 무엇인가?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인 IPP는 대학교 교과과정의 일부로 전공과 관련된 산업체에서 4개월 이상의 장기간 동안 전일제로 근무하고 그동안 산업체의 실무지식과 기술을 현장에서 습득하면서 일정수준의 보수와 학점을 받는 교육제도이다(오창헌 외, 2012). 기존의 현장실습이나 인턴십이 주로 방학 기간에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하는 실습업무에서 학업과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반면에 장기현장실습은 직무에서의 전공관련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직무불일치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직무일치(job match)란 직무와 직무를 수행하는 개인의 역량과 자질의 일치정도를 의미한다. 직무에서 요구되는 역량이 개인의 수준과 일치하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로는 학력 인플레와 장기적인 취업준비가 날로 심화되고 있는 한국의 현 상황에서는 직무와 구직 중인 개인이나 취업자의 역량이 동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직무와 역량의 차이를 근로자 측면에서 분석해 본다면 통상적으로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를 직무불일치(job mismatch)라고 부르지만 이 불일치 요소를 보다 세분화하여 교육, 기술 그리고 전공에서의 차이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기헌(2005). 교육과 직무의 불일치 - 한.일 대학졸업자들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5(3), 51-77. 

  2. 노일경, 임언(2009). 직무불일치의 원인 및 임금과의 관계, 불일치에 대한 대응 양상: 전문대졸 여성 신규 취업자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8(2), 1-18. 

  3. 노형진(2003).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4. 대학내일20대연구소, 2016 전국 대학생 취업준비 실태조사, https://www.slideshare.net/20slab/20-2016-201605 

  5. 박가열, 천영민, 조지혜(2008). 대졸 청년층 취업가능성 지수개 발 기초연구. 한국고용정보원. 

  6. 방하남, 김상욱(2009).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한국사회학 43(1), 56-88. 

  7. 백승규, 이영면(2010).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생활 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7(4), 349-371. 

  8. 어윤경(2010).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11(2), 721-738. 

  9. 오창헌, 하준홍, 김남호, 이문수(2012). 대학의 산학협력교육 (Co-op)모델 사례연구 및 확산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10. 오창헌 편저(2013). 대학의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IPP)제도 시행 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KOREATECH-HRD 연구센터. 

  11. 이영면(2006). 노동패널의 직무만족 측정과 개선에 관한 연구. 제 7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87-316. 

  12. 이은혜(2016), 청년층 대졸자의 초기 일자리 이동. KRIVET Issue Brief, 107호. 

  13. 정기덕, 조민효(2016).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 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2), 237-259. 

  14. 정주연, 장수명, 최영섭(2006).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구조와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조동규, 양재생, 이만규(2004).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0, 37-53. 

  16. 차성현, 주휘정(2008).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9(3), 177-215. 

  17. 채창균(2016). 대졸청년의 전공일치 취업 실태 분석. KRIVET Issue Brief, 91호. 

  18. 최애경(2010). 대학생 기업인턴십 현황과 과제. 상업교육연구, 24(2), 23-47. 

  19. 최영섭(2002). 입직 과정에서의 희망직장 선택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5(1), 97-129. 

  20. 한국경영자총협회(2016).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결과. 

  21. 황의택(2015). 장기현장실습제도를 통한 인력채용효과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Beard, F., & Morton, L.(1999). Effects of Internship Predictors on Successful Field Experienc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Educator, 53 (4), 42-53. 

  23. Beard, F.(1997). Inside the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internship,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80th, Chicago, Illinois, July 30-August 2, 141-161. 

  24. Blair, Benjamin F., & Millea, Meghan(2004),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and Compensation: The Impact of Cooperative Education", College Student Journal, 38 (4), 641 

  25. Glisson, C. and M. Durick(1988).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3, 61-81. 

  26. Hartog, J.(2000). Over-education and earnings: where are we, where should we go?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19, 131-147. 

  27. Kalleberg, A. L.(1997).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 (1), 124-143. 

  28. Kim, Sung-Hui, & Oh, Chang-Heon(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PP) Program. In: M. E. Auer and K. S. Kim (Eds.), Engineering Education for a Smart Society (57-70), Springer. 

  29. Locke, E. A.(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297-1349). New York, NY: McGraw-Hill. 

  30. Meyer, J. P., & Allen, N. J.(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31. Meyer, J. P., & Allen, N. J.(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Spring 91 (1), 61-89. 

  32. Meyer, J. P., Allen, N. J., & Smith, C. A.(1993).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538-551. 

  33. Mowday, R., Porter, L., & Steers, R.(1982).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Y: Academy Press. 

  34. Tanaka, Yasushi(2015). The Economics of Cooperative Education. Routledge. 

  35. Vickers, N. W.(1990). A Comparison of the Starting Pay of Cooperative Education Graduates with that of Non-Cooperative Education Graduates (Masters dissertation). Drury College, Springfield. 

  36. Yilmaz, C.(2002). Salesperson performance and job attitudes revisited: An extended model and effects of potential moderator.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6(11/12) : 1389-14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