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ell Group을 이용한 파랑저감 및 양빈사 유실방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iveness of Wave Reduction and Prevention Erosion of Nourishment Sand Using the Cell Group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9 no.5, 2017년, pp.269 - 277  

박상길 (부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및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  박홍범 (부산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김영환 (부산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해변모래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잠제를 설치하고 있다. 잠제설치는 모래 침식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런 이유로, 잠제를 무분별하게 전국적으로 계획하여 건설하고 있다. 그러나 해안선 유지를 위해 설치된 잠제는 상당히 문제가 있는 방법이다. 고가의 건설비, 해양공간이용, 해수수질, 해안선 변화 등의 단점도 있다. 특히,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이용자들은 해상공간이 단절되기 때문에 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광안리와 같은 해수욕장은 인위적으로 양빈모래를 공급하여 해수욕장을 유지하는 곳이다. 연성공법이란 양빈모래의 유실방지를 위해 수중에 잠재를 대신하여 유동성 재질로 폭 넓은 연성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해변 침식을 완화할 수 있는 연성공법의 일환으로 cell group을 설치하였다. 즉, 양빈모래의 유실을 막기 위해 잠제 대신에 cell group을 사용하여 사빈침식의 정도를 완화 할 수 있는 공법을 적용한 것이다. 2차원 고정상 실험에서 cell group의 설치로 인한 파고감소효과 및 저반사율을 제시하였고,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에서, cell group 설치로 인한 양빈모래의 포착률과 양빈 모래의 침식방지율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수리모형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침식해안의 사빈에 cell group을 설치하면 파고감소효과, 저반사율과, 양빈사의 침식방지율, 양빈사의 높은 포착률에 의해 양빈사의 유출이 방지되어 안정된 해안을 유지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 submerged breakwater has been installing to prevent the erosion of shoreline everywhere. Artificially submerged breakwater is made to minimize the loss of nourishment sand beach erosion. For this reason, it has been indiscriminately constructed submerged breakwater that is planned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안리해수욕장과 같이 이용도와 경제성이 매우 높은 도심 속 해수욕장의 유지관리를 위해 잠제를 설치하지 않고 해안침식 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cell group 공법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2차원의 고정상 및 이동상 수리실험을 통해 수리실험에서 검증된 쇄파후의 파고감쇠효과, 저반사율, 양빈사의 침식방지율과 포착률을 밝혀 양빈사 유실방지를 위한 연성공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고정상 실험에서는 양빈모래를 투입하기 이전에 cell group 설치로 의한 쇄파후의 파고 감쇠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반사율을 측정하여 저반사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이동상 실험에서는 양빈사의 유출방지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 고정상 실험장치를 기본으로 여기서는 먼저 침식형 해빈을 조성하기 위해 전체 바닥경사 1/30 위에 재차 모래유실이 쉽게 되도록 해저경사를 1/10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ell group 설치로 인한 파랑감쇠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cell group 유무상태에서 동일조건에서 파고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동일시간에 동일조건으로 고정상과 이동상에서 동시에 실험을 할 수 없어 파고실험결과분석은 고정상에서만 실시하기로 하였다.
  • 특히 2차원 수리실험에서 쇄파에 의해 발생하는 이안류(return flow)의 흐름을 제어하면서 양빈모래의 유실을 저감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고정상 실험에서는 양빈모래를 투입하기 이전에 cell group 설치로 의한 쇄파후의 파고 감쇠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반사율을 측정하여 저반사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이동상 실험에서는 양빈사의 유출방지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 따라서 Case 2에 대해 수리실험시간에 따라 지형변동에 의한 양빈모래의 포착률과 침식방지율을 측정하기로 했다. 이동상에서는 시간에 따라 지형의 변화와 양빈모래의 포집능력을 보고 지형변동에 의한 포착률을 계산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동상 실험에 사용된 cell group은 Fig.
  • 3의 위치에 설치된 침식사빈과cell group 설치사빈을 확장시켜 도시화 시킨 것이다. 즉, 침식된 사빈에 cell group을 설치하여 사빈의 안정화를 시키기 위한 이동상실험을 실시하기 위한 단면의 일례이다.
  • 고정상의 모형제작에 사용된 기하학적 축척비의 범위는 1/20을 사용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cell group의 모형을 1/20로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축척을 여러 가지로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은 이번 실험이 완료된 후에 실제의 적용성에 대해 검토하기로 한다. 이유는 이동상 실험에서 가장 어려운 조건을 만족하는 모래형상과 크기의 축척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이므로 여기서는 단일 현지모래의 입자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가설 설정

  • Fig.2의 (a)는 모래 포집장치인 12 cm pocket 및 ripple cell의 복합형이며 (b)는 모래 포집장치만 있는 12 cm pocket cell의 group을 도형화 시킨 것이다. 그리고 이들을 수리실험에 적용할 경우 현실적으로 만들어진 모양을 그대로 형상화 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성공법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광안리와 같은 해수욕장은 인위적으로 양빈모래를 공급하여 해수욕장을 유지하는 곳이다. 연성공법이란 양빈모래의 유실방지를 위해 수중에 잠재를 대신하여 유동성 재질로 폭 넓은 연성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해변 침식을 완화할 수 있는 연성공법의 일환으로 cell group을 설치하였다.
잠제설치를 하는 이유는? 최근, 해변모래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잠제를 설치하고 있다. 잠제설치는 모래 침식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잠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해안선 유지를 위해 설치된 잠제는 상당히 문제가 있는 방법이다. 고가의 건설비, 해양공간이용, 해수수질, 해안선 변화 등의 단점도 있다. 특히,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이용자들은 해상공간이 단절되기 때문에 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광안리와 같은 해수욕장은 인위적으로 양빈모래를 공급하여 해수욕장을 유지하는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irkemeier, W.A. (1985). Field date on seaward limit of profile change. J., Waterw., Port, Coastal and Ocean Eng., (3), 598-602. 

  2. Bretschneider, C.L. (1959). Wave variability and wave spectra for wind generated gravity waves. U.S. ArmyCorps of Eng., Beach Erosion Board Tech. Memo., No. 51, pp24. 

  3. Bretschneider, C.L. (1963). A one-dimensional gravity wave spectrum. Ocean wave spectra, Prentice-Hall, Englewood Clifts, New Jersey, 41-56. 

  4. Boswood, P.K. and Murray, R.J. (2003). World-wide sand bypassing system: date report, Conservation technical report No. 15. Queesland Government, pp59. 

  5. Galvin, C.J. (1968). Breaker type classification on three laboratory beaches. J. of Geophys, Res., 73(12), 3651-3659. 

  6. Goda, Y. (1970). Numerical experiments on wave statistics with spectral simulation. Report, Port and Harbour Res. Inst., 9(3), 3-57 (in Japanese). 

  7. Goda, Y. (1977). Numerical experiments on statistical variability of ocean waves Rept. Port and Harbour Res. Inst., 16(2), 3-26 (in Japanese). 

  8. Hallermeier, R.J. (1978). Uses for a calculated limit depth to beach erosion. Proc. 16th Int. Conf. on Coastal Eng., 1493-1512. 

  9. Houmb, D.G. and Overvik, T. (1977). On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115 wave records from the Norwegian continental shelf. Div., Port and Ocean Eng., The University of Trondheim, The Norwegian Inst., 183. 

  10. Magnor, K. (2001). Shoreline Management Guidelines (DHI) Water and Environment, 177-181. 

  11. Ministry of Transport Port Authority. (1979). Construction Manual of Artificial beaches pp 112 (in Japanese). 

  12. Mitsuyasu, H. (1970). On the growth of the spectrum of wind-generated waves. Coastal Eng., 13, 1-14 (in Japanese). 

  13. Mitsuyasu, H. (1971). On the form of the fetch-limited wave spectrum, Coastal Eng., 14, 7-14 (in Japanese). 

  14. Nayak, I.V. (1970). Equilibrium profile of model beaches. Proc., 12th Conf. on Coastal Eng., 1321-1340 (in Japanese). 

  15. Park, S.K., Park, H.B., Hong, S.H. and Lee, G.S. (2016). The study on mitigation method of beach erosion using the geo-cells. A Proc. of Conf. on Ocean Eng., KSOE, 1, 145-148 (in Korean). 

  16. Park, S.K., Park, H.B., Hong, S.H., Kwon, S.C. and Lee, K.S. (2016). Experimental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irregular wave reduction using the Geo cell. A Proc., of Conf. on Ocean Eng., KSOE, 1, 149-152 (in Korean). 

  17. Sawaragi, T. and Iwata, K. (1974). On wave deformation after breaking, 15th Proc., Conf. on Coastal Eng., 481-498 (in Japanese). 

  18. Rector, R.L. (1954). Laboratory study of equilibrium profile of beaches. Tech., Memo., 41, Beach Erosion Board, pp38. 

  19. Sunamura, T. and Mizuno, O. (1987). A study on depositional shoreline forms behind an island. Ann., Rep., Inst., Geosci., Univ. Tsukuba, 13, 71-73 (in Japanese). 

  20. Sunamura, T. (1975). Static relationships among beach slope sand size and wave properties. Geography Review, 48(7) (in Japanes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