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면직물의 염색 특성과 항미생물성 및 자외선차단성
Dyeing Properties and Bio-Function of Cotton Fabrics with Ecklonia Cava Extract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4 no.5, 2017년, pp.386 - 396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  이안례 (신성여자중학교) ,  이은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plore the potential use of Ecklonia cava which is abundant under coastal ocean in Korea for helping human's skin health in textiles, cotton fabric was dyed with Ecklonia cava extract at varied conditions including temperature, duration, dye concentration, pH, and dyeing repetitio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복염색 실험에서는 1회 염색은 단일 염색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 이후의 염색은 각 전 회의 염색 시료를 건조시킨 후에 실시하였으며, 잔여 염액을 재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은 단일염색과 반복 염색 모두 매염제를 적용하지 않은 조건에서 색채의 변화나 견뢰도를 우선 판단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주 해안에서 채취한 감태를 분말화하여 면직물에 대한 염색성과 색채특성, 견뢰도를 고찰하여 염색 면직물에 발현된 색채특성별로 적합한 염색조건과 함께, 항미생물성 및 자외선차단성의 활용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천연 염색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종래의 알콜 추출이나 열수 추출을 이용한 추출방법이 아닌 감태 식품 가공을 위한 자숙 공정에 의하여 fucoxantin의 함유량이 매우 높은 감태 염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감태 자숙액의 분말 염료로 면직물을 염색하여, 염색 온도, 염색 시간, 염액 농도, 반복 염색 횟수, pH를 포함한 다양한 염색 조건에 따라 최대 염착량을 얻을 수 있는 염색 조건을 규명하는 한편, 염색된 면직물의 색채 특성과 염색 견뢰도의 특성을 고찰하고, 항미생물성 및 자외선차단성을 평가함으로써, 감태를 활용한 천연염색 섬유소재의 활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염색온도, 시간, 농도, pH에 따른 염색성: 일반적으로 화학 염료로 염색할 경우 적은 양의 염료로 색을 발현하나, 천연 염료의 경우 발현 효과의 차이가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최적 염색조건을 탐색하기 위하여 염색 온도와 시간, 농도에 따른 염색성을 저농도와 고농도의 범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Figure 2는 감태 분말 염료 30−100% 농도 범위에서의 염색 조건별 염착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천연 염색 재료의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감태를 자숙하여 염액 추출 후 분말화 한 뒤, 염색성과 기능성을 조사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면직물에 적용하기 위해 염색온도와 시간, 염액의 농도, pH 등의 염색조건의 염착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반복염색횟수에 따른 색상의 변화와 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실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항균성 및 자외선차단성 실험을 통해 감태 자숙액 분말염료로 염색한 면직물이 피부건강과 관련된 바이오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효과가 밝혀짐에 따라 섬유산업에 있어서 어떤 기대가 생겼는가? 2000년대에 들어서며 감태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 및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감태가 항산화[19], 항염증[20]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식·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원료로 각광 받으면서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해조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한 염색기술로 아토피, 피부질환 등에 효과적인 섬유 제품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감태를 이용한 염색성 연구는 제주 천연자원의 염색을 활용한 패션 색채기획을 위하여 감태의 단일염색과 복합염색을 병행하여 다양한 색채를 면직물에 구현한 사례[21] 외에는 거의 없다.
감태의 현재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또한 감태는 어류의 서식이나 패류의 먹잇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채취는 금지되어 있고 다만 파도나 해풍 등에 의해서 육상으로 떠밀려들어온 것을 수거해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감태를 수확해서 해조가공으로 처리될 때 줄기와 뿌리를 제외한 잎 부부만 사용되었을 경우 그 사용량은 300−400톤 정도이다[17]. 그리고 감태에는 탄닌 계열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감의 껍질과 같은 매우 떫은맛을 띄고 있어서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으며, 알긴산이나 요오드, 칼륨을 만드는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18]. 2000년대에 들어서며 감태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 및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감태가 항산화[19], 항염증[20]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식·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원료로 각광 받으면서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감태는 무엇인가? 해조류 중의 하나인 감태는 갈조 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다년생 해조류로[15], 길이 1−2 m,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밑동은 뿌리모양이며[16], 점심대의 깊은 곳에서 자란다. 또한 감태는 어류의 서식이나 패류의 먹잇감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채취는 금지되어 있고 다만 파도나 해풍 등에 의해서 육상으로 떠밀려들어온 것을 수거해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감태를 수확해서 해조가공으로 처리될 때 줄기와 뿌리를 제외한 잎 부부만 사용되었을 경우 그 사용량은 300−400톤 정도이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ext Year, Eco-friendly Trends are Expected", http://okfashion.co.kr/detail.php?number45781&thread81r47r04, Retrieved September 4, 2017. 

  2. S. J. Kim, S. W. Lee, H. J. Jeon, S. H. Kim, H. G. Joo, D. H. Jang, and J. Jang, "Dyeability of Chitosan-pretreated Cotton Fabrics with Gardenia-based Colorant Mixtures", Text. Sci. Eng., 2016, 53, 158-164. 

  3. J. Choi, Y. S. Kim, and E. Yi, "Colorimetric Properties and Color Sensibility Factors for Naturally Dyed Fabrics by Microbial Prodiginine Colorant", Sci. Emot. Sensib., 2010, 13, 693-702. 

  4. J. A. Kim and J. M. Lee, "The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R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2004, 19, 200-208. 

  5. Y. P. Lee, "List of South Korean Seaweed Species", J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Jeju, 2002. 

  6. M. R. Kim,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in Korean Cuisines Containing Seawe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ea, 2010. 

  7. K. Y. Shin, "Studies on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Propolis and Sargassum Horneri", Master's Thesis, Hanbat University, Daejeon, Koea, 2016. 

  8. S. Y. Lee, "A Study on Cytoprotective Effect and Application of Cosmetic Using Zostera marina Extract",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Koea, 2017. 

  9. S. Kim and S. Jeon, "Fabric Dyeing with Laminaria Japonica as a Marine Resources", Res. J. Costumec, 2014, 22, 890-898. 

  10. S. Kim and S. Jeon,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s with Undaria Pinnatifida Extracts", J. Fashion Business, 2014, 18, 69-81. 

  11. S. Kim, "Dyeing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Silk Fabrics Dyed with Salicornia Bigelovii Extracts", Res. J. Costumec., 2016, 24, 577-587. 

  12. H. S. Park, "A Study on Function of Natural Dyeing of Seaweed", J. Fish. Mar. Sci. Edu., 2010, 22, 490-500. 

  13. M. Choi, "Development of Natural Colorants Using Algae",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Korea, 2011. 

  14. B. H. Lee, "Standardization of Natural Dyes and Development of New Natural Dyes",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Gwacheon, 2007. 

  15. M. Y. Wi, E. K. Hwang, S. C. Kim, M. S. Hwang, J. M. Baek, and C. S. Park,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for the Free-Living Gametophytes of Ecklonia Cava Kjellman", J. Korean Fish. Soc., 2008, 41, 381-388. 

  16. W. J. Jang, "Studies on Skin Protective Effects of Eckloina Cava Extracts", Doctoral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2010. 

  17. C. H. Sok, "Recovery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 It' Major Component Eckol on Damaged Skin", Doctoral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015. 

  18. J. H. Lee and S. A. Heo,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s Incorporated with Ecklonia Cava Powder", Food Eng. Prog., 2010, 14, 222-228. 

  19. C. Y. Yoo, S. Y. Kim, J. W. Park, S. A. Sung, D. A. Kim, J. H. Park, S. H. Xuan, and S. N. Park,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egen Species", J. Soc. Cosmet. Sci. Korea, 2015, 41, 287-294. 

  20. Y. T. Kim, J. H. Lee, J. Y. Ko, J. Y. Oh, C. H. Sok, J. T. Hong, and Y. J. Jeon, "Isolation of Eckol from Ecklonia cava via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CPC)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Korean J. Fish. Auat. Sci., 2015, 48, 301-307. 

  21. S. Ahn, S. Badmaanyambuu, and E. Yi, "Fashion Color Planning Using Dyeing with Jeju Natural Resources", Sci. Emot. Sensib., 2016, 19, 55-66. 

  22. M. Takao, "Aquatic Animal Carotenoids", Fish. Sci., 2001, 67, 771-783. 

  23. F. Adah, H. Nazimah and L. Jun, "Fucoxanthin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Undaria Pinnatifida", Food Chem, 2013, 136, 1055-1062. 

  24. S. J. Heo, W. J. Yoon, K. N. Kim, C. Oh, Y. U. Choi, K. T. Yoon, D. H. Kang, Z. J. Qian, I. W. Choi, and W. K. Jung, "Antiinflammatory Effect of Fucoxanthin Derivatives Isolated from Sargassum Siliquastrum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Food Chem. Toxicol., 2012, 50, 3336-3342. 

  25. B. M. Lee, C. J. Kim, C. T. Kim, J. J. Seo, and I. H. Kim,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from Ecklonia Cava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 1452-1456. 

  26. Y. Shin and E. Cho, "Dyeing Properties of Silk Fabric with Pomegranate Colorant", J. Kor. Soc. Clo. Text., 2001, 25, 268-274. 

  27. S. H. Kim, "Dyeing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tton Fabric with Inonotus Obliquus", J. Kor. Soc. Clo. Text., 2009, 33, 1774-1780. 

  28. Y. Ko and H. J. Yoo, "Dyeability of Fabrics Using Indian Dyestuffs of Madder, Marigold and Pomegranate", J. Kor. Soc. Clo. Text., 2014, 8, 929-941. 

  29. S. Y. Kim, "Dyeing of Silk with Natural Dyes from Atractylodes Japonica", Res. J. Costumec., 2014, 22, 361-370. 

  30. S. Y. Kim,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s Dyed with Extracts of Thuja Orientalis", Res. J. Costumec., 2013, 21, 699-707. 

  31. B. G. Hong and J. S. Lee,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Sweet Potato Stem.Leaf Extract and Tannin-Contained Plants Extract", J. Korean Soc. Color Studies, 2016, 30, 97-104. 

  32. S. Y. Shin and H. Chung, "Dyeing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ellulose and Nylon Fabrics Treated with Artemisia Extracts", Korean J. Seric. Sci., 2013, 37, 1130-1138. 

  33. E. B. Moon, "A Textbook on Color Design", Ahn Graphics Ltd., Seoul, 2011. 

  34. S. Badmaanyambuu and E. Yi, "Dyeing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 Fabrics with Hot-Water Extract of Unripe Citrus Unshiu", Text. Sci. Eng., 2017, 54, 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