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적 이미지 안에서 삼각형 높이의 개념 이미지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과 인지적 부하
Cognitive process and cognitive load about the concept image of triangle altitude in visual imag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4, 2017년, pp.305 - 319  

이미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광호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각형 높이를 찾는 과정에서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인지부하 알아보고자 하였다. 6학년 2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삼각형 높이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문항에서 사전 검사에 대해 사후검사에서 정답률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아울러 각 문항별 AOI(Area of Interest)에서 시선 데이터의 빈도(FC)와 머무름(FD)이 사후검사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 주관적 인지부하는 밑변이 지면에 평행한 삼각형 보다는 회전된 삼각형 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선 추적 데이터에서는 직각삼각형과 예각삼각형의 회전 배치된 쪽에서 더 많은 빈도와 더 많은 머무름이 감지되었다. 이를 통해 시선추적 기술교수설계의 피드백을 위한 학생들의 인지적 부하의 객관적인 측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triangle height, 26 students in the 6th grade were surveyed to understand the students' triangle height through the eye movement data an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load of the students. As a result, the correctness rate of the pre-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학년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눈 움직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개념과 삼각형 유형별 배치에 대한 인지적 부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4개의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삼각형 높이의 정의(꼭짓점에서 밑변에 수직으로 그은 선분)에서와 같이, 꼭짓점과 밑면과의 연관성, 밑변의 연장선 등과 같은, 삼각형 구성 요소와의 맥락적 이해로 개념 이미지와 개념 정의를 확고히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인지적 부하가 해소되는지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개념 이미지를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로 알아보고 그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과 인지부하 정도를 살펴보았다. 삼각형 높이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삼각형 요소별 연결성을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고, 주관적 인지부하와 눈 움직임 데이터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 p>삼각형 높이를 찾는 과정에서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인지부하 알아보고자 하였다. 6학년 2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 삼각형 높이에 대한 개념 오류를 수정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활용하여 삼각형 높이에 대한 개념 이미지와 개념 정의를 연결 짓고자 하였다. 총 4개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한 4개의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통해, 삼각형 높이의 정의(꼭짓점에서 밑변에 수직으로 그은 선분)에서와 같이, 꼭짓점과 밑면과의 연관성, 밑변의 연장선 등과 같은, 삼각형 구성 요소와의 맥락적 이해로 개념 이미지와 개념 정의를 확고히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인지적 부하가 해소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삼각형의 높이를 꼭짓점, 밑변, 수직, 최단 거리라는 요소들과의 종합적인 맥락에서 삼각형의 높이 개념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 설계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삼각형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정의와 개념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어떤 부분에서 인지부하가 나타나는지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알아보고, 네 개의 콘텐츠를 통한 학습 후에 이러한 인지적 부하가 줄어들고 삼각형 요소들 간의 연결을 공고히 하여 개념이미지를 확고히 하는지 알아보았다.
  • 이러한 삼각형의 오류 유형들을 살펴보면, 삼각형 높이에 대한 수학적 속성들의 연결 짓기, 맥락 속에서 관련짓기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각형 높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안에서 개념 이미지와 개념 정의를, 수학적 속성들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관련지음으로써 확고히 할 수 있는지 또, 눈 움직임 데이터로 이러한 분석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볼 때, 삼각형의 높이에 대한 학생들의 정답 및 오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가?
  • 2. 삼각형 높이에 대한 주관적 인지 부하와 시선추적 데이터는 관련성을 보이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이를 선분이 아닌 높이에 대한 길이로 인식하는 오개념을 갖게되는 이유는? 높이를 선분이 아닌 높이에 대한 길이로 인식하는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것이다. 5학년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단원에서는 다각형의 둘레를 구하는 것을 시작으로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 순으로 넓이를 구해 나간다. 직사각형과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한 후 삼각형의 높이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다각형의 넓이로 확장하여 나아간다. 이런 맥락에서 삼각형의 높이는 다각형들의 넓이를 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선분의 개념보다는 측정의 개념으로써 인식되기 쉽다.
학생들이 삼각형의 높이에 대한 오류를 범하는 이유는?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수학 개념을 정의할 때 연역적으로 정의하기 보다는 외연적 방법이나 동의적 방법을 사용하여 논리적으로는 불완전하지만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권유미, 안병곤 2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삼각형의 높이에 대한 오류를 범하는 이유는 그들이 생각하는 개념이미지와 공식적으로 주어지는 개념정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이 둘을 적절하게 관련짓지 못하고 별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Wilson, 1988, 1990). 또한 Vinner의 모델에 비추어 보면 전형적인 형태의 도형 예시들을 기반으로 개념 이미지를 한정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삼각형의 넓이가 필수적인 이유는? 삼각형은 다각형을 그릴 수 있는 최소 단위로 기하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특히 다각형은 모두 삼각형으로 분할 가능하여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삼각형의 세 변은 직선으로 명시되어 있어 세 변의 길이를 아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높이는 명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아서 높이를 파악하는데 학생들은 많은 오류를 보인다(임승현, 박영희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유미.안병곤 (2005). 초등 수학 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2), 137-159. (Kwon, Y. & Ahn, B. (2005). The analysi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terms being us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Centering on the field of geometry.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9(2), 137-159.) 

  2. 이광호.이현주.이주영.송윤오(2014). 평면도형 높이에 대한 학생 이해도와 오류 유형.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4(2), 46-56. (Lee, K.; Lee, H.; Lee, J., & Song, Y. (2014). Understanding and error types of the height concept in plane figures. Brain & Learning, 4(2), 46-56) 

  3. 임승현, 박영희 (201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도형의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41-159. (Im, S. H., & Park, Y. H. (2011).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height concept of figures of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5(1), 141-159.) 

  4. Epelboim, J., & Suppes, P. (2001). A model of eye movements and visual working memory during problem solving in geometry. Vision Research, 41(1), 1561-1574. 

  5. Grant, E. R. & Spivey, M. J. (2003). Eye movements and problem solving: Guiding attention guides thought. Psychological Science, 14(5), 462-466. 

  6. Groner, R., & Groner, M. (1982). Towards a hypotheti-co-deductive theory of cognitive activity. In R. Groner, & P. Fraisse. (Eds.), Cognition and eye movements (pp. 100-121). Amsterdam: North Holland. 

  7. Groner, R., & Groner, M. (1983). A stochastic hypothe-sis testing model for multi-term series problems, based on eye fixations. In R. Groner, C. Menz, D. F.Fisher & R. A. Monty (Eds.), Eye movements and psychological functions: International views (pp. 257-27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8. Gutierrez, A., & Jaime, A. (1999). Preservice prim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ltitude of a triangl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2, 253-275. 

  9. Hart, S. G. & Staveland, L. E. (1988). Development of NASA-TLX (Task Load Index): Results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Human Mental Workload, 1, 39-183. 

  10. Hegarty, M. & Just, M. A. (1993). Constructing mental models of machines from text and diagram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6), 717-742. 

  11. Hegarty, M.; Mayer, R. E. & Monk, C. A. (1995). Comprehension of arithmetic word problems: A comparison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problem solv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7(1), 18-32. 

  12. Holm, A.; Lukander, K.; Korpela, J.; Sallinen, M. & Muller, K. M. (2009). Estimating brain load from the EEG.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9, 639. 

  13. Just, M. A., & Carpenter, P. A. (1985). Cognitive coordinate systems: Accounts of mental rota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Psychological Review, 92(2), 137. 

  14. Knoblich, G.; Ohlsson, S., & Raney, G. E. (2001). An eye movement study of insight problem solving. Memory & Cognition, 29(7), 1000-1009. 

  15. Koorner, C. (2011). Eye movements reveal distinct search and reasoning processes in comprehension of complex graphs.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5, 893-905. 

  16. Lin, J. J. H., & Lin, S. S. J. (2013). Cognitive load for configuration comprehension in computer-supported geometry problem solving: An eye movemen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2, 605-627. 

  17. Lin, J. J. H., & Lin, S. S. J. (2014). Tracking eye movements when solving geometry problems with handwriting devices. Journal of Eye Movement Research, 7(1), 1-15. 

  18. Mayer, R. E. (2010). Unique contributions of eye-tracking research to the study of learning with graphics. Learning and Instruction, 20(2), 167-171. 

  19. Paas, F., Renkl, A. & Sweller, J. (2003a). Cognitive load theory and instructional design: Recent developments. Educational Psychologist, 38(1), 1-4. 

  20. Paas, F.; Tuovinen, J. E.; Tabbers, H. & Van Gerven, P. W. M. (2003b). Cognitive load measurement as a means to advance cognitive load theory. Educational Psychologist, 38(1), 63-71. 

  21. Paas, F. & van Merrienboer, J. J. G. (2006). Optimising worked example instruction: Different ways to increase germane cognitive load. Learning and Instruction, 16(2), 87-91. 

  22. Park, B.; Moreno, R.; Seufert, T. & Brunken, R. (2010). Does cognitive load moderate the seductive details effect? A multimedia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Plass, J. L., Moreno, R. & Brunken, R. (2010). Cognitive load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4(3), 372-422. 

  25. Sweller, J. Ayres, P., & Kalyuga, S. (2011). Cognitive load theory: Springer. 

  26. Sweller, J. & Chandler, P. (1991). Evidence for cognitive load theory. Cognition and Instruction, 8(4), 351-362. 

  27. van Gog, T.; Paas, F.; van Merrienboer, J. J. G., & Witte, P. (2005). Uncove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Cued retrospective reporting versus concurrent and retrospective report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11(4), 237-244. 

  28.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305, 199-216. 

  29. Vinner, S. (1991). The role of defini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65-81).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30. Wilson, P. S. (1988, November). Variation in student geometric concepts. In M. J. Behr, C. B. Lacampagne, & M. M. Wheeler (Eds.) , Proceedings of the 10th PME-NA conference (pp.199-205). Dekalb, IL;Northern illinois University. 

  31. Wilson, P .S. (1990). Inconsistent ideas related to definitions and examples. Focus on Learning Problems in. Mathematics, 12(3/4), 3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