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방법론에 의한 궁중음식 전문점 조리사 및 운영자의 궁중음식 인식 분석
Analysis of Korean Restaurant Employees' Perception of Korean Royal Cuisine using Q Methodology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7 = no.90, 2017년, pp.71 - 79  

정서영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ed analysis on the perception by Korean restaurant employees of Korean royal cuisine. Classification using a subjective research method called Q methodology was performed on perceptions of Korean restaurant employees about Korean royal cuisine. This paper derived four types of p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Q방법론을 이용하여 일반 대중 한식당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궁중음식 전문점 조리사와 운영자를 대상으로 궁중음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궁중음식 전문점을 이용하려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수익성 있는 궁중음식 전문점으로 성장․발전시킬 수 있는 운영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의 특징은? 음식은 한 국가의 대표 문화상품이자 국가경쟁력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음식의 세계화를 통해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치열해지고 있다(Yang, Ahn, Baek, Lee, & Chung, 2011).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구촌의 다양한 인종과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새로운 코드인 음식문화는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Chung, Kim, Kim, Chung, & Woo, 2011).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구촌의 다양한 인종과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새로운 코드인 음식문화는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Chung, Kim, Kim, Chung, & Woo, 2011). 한국음식은 건강식이자 조상의 지혜가 담겨있는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가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고, 특히, 궁중음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Koo, Choung, & Jeong, 2016).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닌 조상들의 혼이 깃든 문화인 우리 궁중음식을 전 세계에 알리고,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궁중음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나, 지금 현실은 그러지 못하다.
조선왕조궁중음식의 역사는 어떠한가? 조선왕조궁중음식은 고려왕조의 전통을 이어 온 조선왕조시기에 궁궐에서 차리던 음식으로 전통적인 한국음식을 대표한다. 시기적으로는 태조원년인 1392년부터 마지막 임금 순종이 재위한 1910년까지 약 500년간 지속된 긴 역사라고 할 수 있다(Joo, 2011). 왕실은 한 시대를 이끌어가고 대표 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왕조가 바뀌더라도 이전 왕조의 문화는 계승이 되어왔기 때문에(Park, 2010), 궁중음식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의 음식문화를 연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own, S. R. (1993). Q methodology and quantum theory: Analogies and realities. Kent State University. 

  2. Chang, H. J., Choi, B. R., Yi, N. Y., Park, B. S., & Kim, H. S. (2010). Preference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6(4), 458-468. 

  3. Chung, H. K., Kim, M. H., Kim, H. R., Chung, H. J., & Woo, N. (2011). Developing a healthy Korean food menu through Sikryochanyo.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24(1), 37-53. 

  4. Han, G. J., Lim, Y. S., & Kim, H. R. (2007). Resident survey evaluating the degree of value plac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in the Kyunggi and Kangwon area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3(1), 124-139. 

  5. Jin, Y. H. (2011). A study on recognition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5), 57-73. 

  6. Joo, Y. H. (2011). Food humanities. Human library, Seoul, Korea 

  7. Kang, J. H., & Kim, J. E. (2009). A surve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to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4(2), 155-163. 

  8. Kim, B. J. (1999). Consumer taxonomy using Q methodology. Korean Marketing Review, 14(4), 53-71. 

  9. Kim, B. M. (2014) A study on customer classification for roastery cafe users using Q methodology (Master's thesis).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10. Kim, H. K. (2008). Q methodology. Commbooks, Seoul, Korea. 

  11. Kim, H. S., & Won, Y. M. (2000). Q methodology. Kyoyookbook, Paju, Korea. 

  12. Kim, M. H., & Chung, H. K. (2013). Development of local food content in Jinan-Gun and Gurye-Gun through storytelling.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8(2), 145-157. 

  13. Kim, S. A., Jun, S. Y., Hong, E. J., & Joung, H. J. (2016). Estimated macronutrients and antioxidant vitamins intake according to Hansik consumption rate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Journal of Nutrition & Health, 49(5), 323-334. 

  14. Kim, S. E. (2007). Q methodology and social science. CM press, Busan, Korea. 

  15. Kim, Y. N. (2008). A study on figuration of court banquet serving in Joseon period: Focusing oungjeob dogam euigwae. (Master's thesis). The Daejeon University of Korea. 

  16. Kim, H. R. (2008). A research on ruler in court literature: Focused on birth myth of a nation with . Yeol-sang Journal of Classical Studies, 2008(28), 81-117. 

  17. Koo, H. Y. (2015). Measures to develop the Korean dish menu based on the recognition disposition of royal court food (Master's thesis).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18. Koo, H. Y., Choung, S. Y., & Jeong, H. S. (2016). Measures to improve culinary trends in Korean Court food based on the perception of Korean royal court cuisi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32(3), 370-381. 

  19. Lee, G. J. (2012). Traditional food in Seoul. KUpress, Seoul, Korea. 

  20. Lee, J. H. (2008). Perception of students of related majors on local foods and local specialties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Master's thesis).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21. Lee, S. Y., & Han, B. R. (2012). A study on the royal banquet dishes in Naeoejinyeon-Deungnok in 1902.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7(2), 128-141. 

  22. McKeown, B. F., & Thomas, D. B. (1988). Q-methodology-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eries, Vol. 66. CA: SAGE Publications. 

  23. Min, K. 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6(5), 92-102. 

  24. Oh, S. D. (2012).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Korean Journal of Food Culture, 27(3), 316-323. 

  25. Park, M. J., Kim, S. E., & Kim, G. W. (2009). Meal types and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2), 491-500. 

  26. Park, S. J. (2010). A study on the rank of tteok in the royal feast cuisine (Master's thesis). The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27. Yang, I. L., Ahn, J. A., Baek, S. H., Lee, H. Y., & Chung, Y. S.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f America,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usage behavior of marketing communication towards overseas Korean restaurants.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24(4), 808-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