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조 궁중발기(發發)를 통한 궁중음식에 관한 연구 - 상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oyal Cuisine Reported in Sangsikbalgi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3 no.4, 2018년, pp.382 - 393  

박은혜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김명희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Balgis (the record of the court)in the Joseon Dynasty pertaining to table settings for Sangsik (the meals for the dead). Sangsik are the records of daily meals for kings and key figures. In this study,14 pieces of Sangsikbalgi from 1890 to 1920, including two pieces from an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원행을묘정리의궤(圓行乙卯整理儀軌)는 이동 중에 임시 주방을 설치해 음식을 만드는 행행식(行幸食)이라는 점에서 궁중에서의 일상식을 전부 반영하지 못했을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조의 발기 중 조석상식(朝夕上食)에 올린 음식의 종류와 구성,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서 조선조 궁중의 일상음식의 연구로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중의 발기 중 상식에 쓰인 상차림을 적은 음식발기에 관한 연구이다. 상식은 상가에서 죽은 이를 산자와 같이 여기며 아침과 저녁에 음식을 올리는 것으로 궁중의 상식 발기는 왕이나 주요 인물들이 평소에 먹었던 일상음식을 살펴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 발기란 무엇인가? Joo(2016)는 주제가 다르더라도 음식이나 식료(食料)가 기록되어 있으면 모두 음식관련 발기로 분류하였고 이러한 기준으로 파악된 음식 관련 궁중발기는 420여점이라 하였다. 음식 발기는 진찬진연제사생신길례진지다례 등에 차려지는 음식물의 목록이나 참석자의 직책 그리고 그들에게 내려진 음식상 등을 적은 문건이다. 이러한 궁중 음식 발기는 접대식(接待食)과 제사식(祭祀食)으로 크게 분류된다.
Sangsik (上食)이 조선조 음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인 이유는 무엇인가? 즉 죽은자를 죽은자로 대하지 않고 산자와 같이 여기며 부모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하고 생전에 행하던 식사를 매일 올리는 것이 상식인 것이다(Lee 2008). 따라서 궁중의 상식 발기에 적힌 음식명은 실제로 왕이나 왕실의 주요 인물이 평소에 먹었던 일상음식의 기록으로 궁중의 일상식에 쓰이는 궁중음식의 종류와 재료, 상차림의 구성방식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조선조 궁중음식에 관한 연구 기록은 앞서 언급한 대로 대부분이 연향의궤이고 일상식에 관한 기록은 행행식 의궤(行幸食儀軌)인「Wonhaeng-Ulmyo-Jeongri-Uigwe (圓行 乙卯整理儀軌)」가 유일하였다.
제사 다례의 종류는 어떻게 되는가? 이러한 궁중 음식 발기는 접대식(接待食)과 제사식(祭祀食)으로 크게 분류된다. 제사 다례는 죽은 이의 생신일에 지내는 제사사인 탄일다례(誕日茶禮), 왕실의 상례기간 중에 Josuksangsik (朝夕上食)과 함께 매일 오시(午時)에 점심을 대신하여 다과와 제찬을 올리는 주다례 (晝茶禮), 정기적인 다례와 달리 특별한 일이 있을 때 드리는 별다례(別茶禮), 정기적으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지내는 삭망다례(朔望茶禮), 명절에 지내는 다례(節茶禮) 등이 있다(Lee & Han 2016). Sangsik (上食)은 상가(喪家)에서 아침과 저녁으로 죽은 이에게 올리는 음식으로 주다례와 더불어 가장 일상화된 의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SH, Jung JH, Jung SW. 2016. Concept and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2(1):127-155 

  2. Han BJ, Lee SW. 1989. An Analytical Study on the Royal Family Birthday Party Menu of Chosun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4(1):21-37 

  3. Han BJ. 2002. A Study on Chunshin(薦新) Ceremony Food Items fromAnnals of the Chosun Dynasty. J. East Asian Soc. Dietart Life. 12(6):486-501 

  4. Han BR, Chung GJ, Chosun Dynasty Palace Cuisine Research Society. 2018. Surailgi(수라일기). Institute of Korean Royal Cusine published, Seoul, pp 115-153 

  5. Hwang HS. 1986. Composition of Korean Food. The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4:315-334 

  6. Hwang HS, Han BR, Han BJ, Seo HJ. 1997.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Korean Food VI(한국음식대관 6권). Hollym International Corp., Seoul, Korea, 145 

  7. Joo YH. 2013. Introduction to Old Documents related to Palace Cuisine of the Joseon Dynasty. 藏書閣 30:422-428 

  8. Joo YH. 2014. The Royal Table of the Joseon Dynasty(조선왕실의 식탁). Korean Food Foundation, Feoul, Korea, pp177-179 

  9. Joo YH. 2016. A Study on the Crown Prown Prince Chuck(척)'s Wedding Cefemony related Royal Palace Cuisine Lists (Eumshik Bal'gi) in 1882. 古文書硏究. 48:337-371 

  10. Kassarjian, H. 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rch. Journal of Consumer Reserch, Jun, 4(1):819 

  11. Lee SW. 1988. Study on the Food Menu in the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3(1):29-49 

  12. Lee W. 2008. Data Explanation and Translation of the Joseon Dynasty Royal Dalye [조선시대 궁중다례의 자료해설과 역주-조선시대 제향다례의 자료와 특징]. Publishing Company Minsokwon, Seoul, pp 268-285 

  13. Lee SY, Hna BR. 2012. A Study on the Royal Banquet Dishes in Naeoejinyeon-Deungnok in 1902. J. Korean Soc. Food Cult. 27(2):128-141 

  14. Lee SY, Han BR. 2016. Analytical Review of Royal Sakmangdalye Cuisine in Sakmangdalye-deungnok. J. Korean Soc. Food Cult. 31(4):300-324 

  15. Oh SD, Yoo YJ. 2015. A Literature Review on the Pyeonyuk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JCCT. 1(1):1-14 

  16. Yoon SS. 1991. Korean food terms(한국의 음식용어). Deawoo, Seoul, Korea, p 282 

  17. Anonymous. Siuijeonseo(是議全書). In: Lee HY editor. 2005. ShinGwang Co., Seoul, Korea 

  18. Jeonsunui. Sangayonok(山家要錄). In: Han BR editor. 2007.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 105 

  19. Seongbindaryesuksangsik sanneonggyeomhyaengbalgi(성빈다례석상식 산릉겸행발기), 1890. Hansik Archive, http://www.hansik.or.kr/kr/biblio/biblioPop/biblioViewer.do?searchSeq156, [accessed 2018. 08. 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