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beneficial effects on enhancing the motor task, such as balance and gait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mbined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nd auditory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beneficial effects on enhancing the motor task, such as balance and gait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mbined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nd auditory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auditory feedback on the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Methods: A total of 24 in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1 (EG 1, n=8), experiment group 2 (EG 2, n=8), control group (CG, n=8, EG 1). The EG 2 and CG watched video clip demonstrating three functional walking tasks with auditory feedback, without auditory feedback, and showing a landscape image, respectively.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to 10MWT (10 m walk test), 6MWT (6 minutes walking distance test), TUG (timed up and go test), DGI (dynamic gait index), time and steps of F8WT (figure-of-8 walk test). Results: In the intra-group comparison after the intervention, EG 1 and EG 2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gait function (10MWT, 6MWT, DGI, TUG, F8WT) (p<0.05). In the inter-group comparison after intervention, EG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entire gait parameters and EG 2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GI and TUG compared to CG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auditory feedback may be used beneficially for improving the gait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beneficial effects on enhancing the motor task, such as balance and gait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mbined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nd auditory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auditory feedback on the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Methods: A total of 24 in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1 (EG 1, n=8), experiment group 2 (EG 2, n=8), control group (CG, n=8, EG 1). The EG 2 and CG watched video clip demonstrating three functional walking tasks with auditory feedback, without auditory feedback, and showing a landscape image, respectively.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to 10MWT (10 m walk test), 6MWT (6 minutes walking distance test), TUG (timed up and go test), DGI (dynamic gait index), time and steps of F8WT (figure-of-8 walk test). Results: In the intra-group comparison after the intervention, EG 1 and EG 2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gait function (10MWT, 6MWT, DGI, TUG, F8WT) (p<0.05). In the inter-group comparison after intervention, EG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entire gait parameters and EG 2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GI and TUG compared to CG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auditory feedback may be used beneficially for improving the gait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시각적 관찰만을 이용해 대뇌겉질의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훈련방법이 대부분이었으며,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auditory feedback)을 제공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적은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적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보행능력을향상 시킬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10 m 걷기검사(10 m walk test, 10 MWT)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들의 안전에 유의하도록 측정자의 관찰 하에 대상자들은 자신의 평상시 속력으로 치료실 바닥에 표시되어있는 14 m를 걷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수행능력 및 보행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어나 걷기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실시하였다. TUG는 기능적 수행능력 및 이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보행지수(dynamic gait index, DGI)를 실시하였다. DGI는 걷기, 속력의 변화를 주면서 걷기, 머리를 수평적이고 수직적으로 돌리면서 걷기, 축을 회전하면서 걷기, 장애물 넘어가기와 돌아가기, 계단오르기로 구성된 총8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작관찰과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OTWA이 AOT만을 실시한 그룹과 대조군에 비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유익한 치료 중재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는, 대상자의 수가 적어 모든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4주간의 치료적 중재가 끝난 후 추가적인 평가 (follow up)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제공한 훈련이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제안 방법
대상자들의 훈련 전·후 비교를 위하여 보행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시작 전 연구에 대한 목적과 훈련 및 측정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를 한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을 한 후 측정도구들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기간은 1일 30분, 주 5회, 4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을 한 후 측정도구들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기간은 1일 30분, 주 5회, 4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신경계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 1에는 청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동작관찰훈련, 실험군 2에는 소리가 제거된 동작관찰훈련, 대조군에는 보행훈련과 관련 없는 풍경사진을 관찰하였다.
기간은 1일 30분, 주 5회, 4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신경계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 1에는 청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동작관찰훈련, 실험군 2에는 소리가 제거된 동작관찰훈련, 대조군에는 보행훈련과 관련 없는 풍경사진을 관찰하였다. 대상자들의 훈련 전·후 비교를 위하여 보행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훈련 전·후 비교를 위하여 보행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로는 10 m 걷기검사, 6분 보행검사, 일어나 걷기검사, 동적 보행지수, 8자 보행검사를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다음과같다(Figure 1).
대상자들이 동작을 관찰하는 동안 동영상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였다. 동영상 내용의 구성은 보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지 보행, 장애물보행, 계단보행과제로 구성되었으며(Table 1, Figure 3), 청각적 피드백은 동영상 속 대상자가 편안한 속도로 걷는 1분 동안의 분속수를 3회 측정하여 평균 분속수를 적용하였다. 동영상 내에서 대상자가 분속수에 맞춰서 보행 시 발뒤꿈치가 닿는 시점에 구두 소리를제공하였다.
동영상 내용의 구성은 보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지 보행, 장애물보행, 계단보행과제로 구성되었으며(Table 1, Figure 3), 청각적 피드백은 동영상 속 대상자가 편안한 속도로 걷는 1분 동안의 분속수를 3회 측정하여 평균 분속수를 적용하였다. 동영상 내에서 대상자가 분속수에 맞춰서 보행 시 발뒤꿈치가 닿는 시점에 구두 소리를제공하였다.
동영상은 앞, 옆, 뒷면에서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촬영하여 입체적으로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4). 동영상은 2분 30초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에 일반적인 속도의 동영상을 관찰하였고, 다음은 2배 느리게 관찰한 후 다시 일반적인 속도로 관찰하였다. 두 번씩 반복 시청하여 5분간 관찰한 후 10분간 해당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15분씩 총 2회기를 훈련하였다.
동영상은 2분 30초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에 일반적인 속도의 동영상을 관찰하였고, 다음은 2배 느리게 관찰한 후 다시 일반적인 속도로 관찰하였다. 두 번씩 반복 시청하여 5분간 관찰한 후 10분간 해당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15분씩 총 2회기를 훈련하였다. 대상자들은 청각적 피드백이 포함된 동영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영상과 같은 과제를 개인의 분속 수에 해당하는 청각적 피드백을 들으며 훈련을 하였다.
두 번씩 반복 시청하여 5분간 관찰한 후 10분간 해당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15분씩 총 2회기를 훈련하였다. 대상자들은 청각적 피드백이 포함된 동영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영상과 같은 과제를 개인의 분속 수에 해당하는 청각적 피드백을 들으며 훈련을 하였다. 청각적 피드백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인 메트로놈(Pro Metronome, china)으로 대상자의 보행 능력에 맞게 분속수를 조절하였고, 청각적 피드백을 보행 시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는 시점에 맞추도록 하여 규칙적인 보행을 요구하였다.
대상자들은 청각적 피드백이 포함된 동영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영상과 같은 과제를 개인의 분속 수에 해당하는 청각적 피드백을 들으며 훈련을 하였다. 청각적 피드백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인 메트로놈(Pro Metronome, china)으로 대상자의 보행 능력에 맞게 분속수를 조절하였고, 청각적 피드백을 보행 시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는 시점에 맞추도록 하여 규칙적인 보행을 요구하였다. 청각적피드백의 제공은이어폰으로 하였고 치료사가 같이 들으며 보조를 하였다.
청각적 피드백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인 메트로놈(Pro Metronome, china)으로 대상자의 보행 능력에 맞게 분속수를 조절하였고, 청각적 피드백을 보행 시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는 시점에 맞추도록 하여 규칙적인 보행을 요구하였다. 청각적피드백의 제공은이어폰으로 하였고 치료사가 같이 들으며 보조를 하였다. 훈련에 앞서 대상자들은 메트로놈 청각적피드백을 들으며 충분히 박자를 익히도록하였다.
동작관찰훈련군은 청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동작관찰훈련군과 똑같은 기능적 보행 과제로 구성된 동영상을 음소거 후 관찰한 뒤, 같은 과제를 반복 훈련하였다. 동작관찰훈련군은 5분동작관찰후 10분신 체훈련을 반복하는 훈련방법으로 1회 2번 반복하여 1일 30분 주 5회, 총 4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동작관찰 대신 움직이는 사람이 없는 자연풍경으로 구성된 동영상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동영상 구성을 제외하고는 훈련 과제, 훈련시간은동작관찰훈련군과 모두 동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10 m 걷기검사, 6분 보행 검사, 일어나걷기검사, 동적보행지수, 8자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임상경험이 충분한 물리치료사 한 명이 훈련 전과 후, 총 2 회 시행하였으며 평가된 모든 항목들은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들의 안전에 유의하도록 측정자의 관찰 하에 대상자들은 자신의 평상시 속력으로 치료실 바닥에 표시되어있는 14 m를 걷는다. 가속기 구간 2 m와 감속기구간 2 m를제외한 10 m를 걷는 동안 걸린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하였다. 연습 없이 3회 측정 후 평균값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해 6분 보행검사(6 minutes walking distance test, 6 MWT)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가 6 분 동안 최대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바닥 위에 출발점과 반환점까지 25 m의 거리에 표시를 해놓고 치료사가 6분을 입력한 후 보행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하여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대상자를 정지시킨 후 바닥에 테이프로 표시를 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가 6 분 동안 최대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바닥 위에 출발점과 반환점까지 25 m의 거리에 표시를 해놓고 치료사가 6분을 입력한 후 보행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하여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대상자를 정지시킨 후 바닥에 테이프로 표시를 하였다. 출발점에서 반환점까지의 반복 횟수를 측정하여 거리를 기록하였다.
시간이 경과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대상자를 정지시킨 후 바닥에 테이프로 표시를 하였다. 출발점에서 반환점까지의 반복 횟수를 측정하여 거리를 기록하였다. 6분 보행검사는 r= 0.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B재활요양병원에 입원 중으로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월 이상 경과한 사람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일로부터 6개월 이상 경과된 사람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 24명을 모집하였다. 연구 시작 전 연구에 대한 목적과 훈련 및 측정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를 한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일로부터 6개월 이상 경과된 사람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 24명을 모집하였다. 연구 시작 전 연구에 대한 목적과 훈련 및 측정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인 동의를 한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을 한 후 측정도구들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보행 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10 m 걷기검사(10 m walk test, 10 MWT)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들의 안전에 유의하도록 측정자의 관찰 하에 대상자들은 자신의 평상시 속력으로 치료실 바닥에 표시되어있는 14 m를 걷는다. 가속기 구간 2 m와 감속기구간 2 m를제외한 10 m를 걷는 동안 걸린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총 24명으로 청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동작관찰훈련군 8명, 동작관찰훈련군 8명과 대조군 8명이었다. 각 군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신장, 체중, MMSE-K (score), 뇌졸중 형태, 마비 쪽 비율, 유병기간등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는 보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10 m 걷기검사, 6분 보행 검사, 일어나걷기검사, 동적보행지수, 8자보행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임상경험이 충분한 물리치료사 한 명이 훈련 전과 후, 총 2 회 시행하였으며 평가된 모든 항목들은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로 측정된 점수는 대상자들에게 공지하지 않았다.
그룹 내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중재 전·후 변화량의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Chicago, IL, US)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위해 Kolmogorov-Sminov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룹 내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중재 전·후 변화량의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그룹 내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중재 전·후 변화량의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분산분석에 따른 사후검정은 본페르니 검증(Bonferroni adjustment)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0.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는 보행 지구력을 평가하기 위해 6분 보행검사(6 minutes walking distance test, 6 MWT)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가 6 분 동안 최대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내의 바닥 위에 출발점과 반환점까지 25 m의 거리에 표시를 해놓고 치료사가 6분을 입력한 후 보행을 시작함과 동시에 시작하여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곡선보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8자 보행검사(figurof-8 walk Test, F8WT)를 실시하였다. F8WT는원뿔의 주변을 8자모양으로 걷는 측정방법으로 직선보행, 곡선보행,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걷는 것이 포함되어있다.
성능/효과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7.47, p < 0.05).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 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11.79, p < 0.05).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11.84, p < 0.05).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24.37, p < 0.05).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 5.42, p < 0.05).
세 군의 중재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 =19.60, p < 0.05).
AOTWA군은 훈련 전 20.09±13.41에서 훈련 후 16.34 ±12.66으로, AOT군은 훈련 전 21.93±9.99에서 훈련 후 19.95±9.8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대조군도 훈련 전 21.50± 12.75에서 훈련후 21.19±12.55로감소하여, 세 군모두에서 훈련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각 군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신장, 체중, MMSE-K (score), 뇌졸중 형태, 마비 쪽 비율, 유병기간등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
AOTWA군은 훈련 전 21.25±11.42에서 훈련 후 16.609.46으로, AOT군은 훈련 전 22.76±8.77에서 훈련 후 19.67±7.16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대조군은 훈련 전 22.08±12.64에서 훈련후 22.01±12.55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AOTWA군은 훈련 전 13.88±4.22에서 훈련 후 17.00± 3.54로, AOT군은 훈련 전 13.13±5.02에서 훈련 후 14.75± 5.1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대조군은 훈련 전 13.63±4.80에서 훈련 후 13.88±4.88로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사후분석 결과 AOTWA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사후분석 결과 AOTWA군과 AOT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AOTWA군은 훈련 전 25.75±14.90에서 훈련 후 23.38±14.70으로, AOT군은 훈련 전 30.50±10.70에서 훈련 후 29.63 ±1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대조군은 훈련 전 26.63±13.26에서 훈련 후 27±12.68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본 연구에서는 동작관찰과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OTWA이 AOT만을 실시한 그룹과 대조군에 비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유익한 치료 중재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10 M 걷기검사와 6분 보행검사에서 AOTWA 그룹과 AOT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보행속도와 6분보행검사에서 보행 거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기능적 보행 정도를 나타내는 동적 보행지표와 일어나 걷기 검사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곡선 보행 검사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0 M 걷기검사와 6분 보행검사에서 AOTWA 그룹과 AOT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 보행속도와 6분보행검사에서 보행 거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기능적 보행 정도를 나타내는 동적 보행지표와 일어나 걷기 검사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곡선 보행 검사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도 신체적 훈련만 실시한그룹보다 동작관찰훈련을 함께한 그룹에서 뇌졸중환자의 동적균형과 보행과 관련한 보행속도, 분속수 및 손상측 하지의 한발지지기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24Kim 등25의 연구에서도 버그균형검사와 일어서서 걷기(TUG)에서 기능적 향상이 나타났다.
32,33 이전 선행 연구들에서 뇌졸중과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청각 자극이 제공했을 때, 보행 기능에 향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34,35 본 연구의 결과에서 AOTWA 그룹이 AOT 그룹에 비해 보행 기능의 향상이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시각적 관찰만 제공한 훈련보다는 시각적 관찰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경우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시각적 관찰만 제공한 훈련보다는 시각적 관찰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경우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도 발걸음에 맞춘 구두 소리를 제공함으로써 뇌의 운동 영역과 지각 영역을 영향을 주어 운동 체계에 활성화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fMRI를 사용해 시각과 청각적 자극의 정보 처리과정과 시간적 특성을 알아본 선행연구에서도 시각과 청각적 자극을 개별적으로 제공했을 때보다 두 자극을 동시에 제공했을 때 대뇌 겉질에 먼저 도달하여 활성화된다고 보고하였으며,36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는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 자극을 적용한 그룹이 시각적 동작관찰훈련만을 제공한 그룹보다 보행능력의 향상을 보인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동작관찰훈련은 고가의 장비나 치료사의 도움 없이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적 중재 방법이며, 본 연구의 결과에서 시각적 동작관찰훈련만 제공하는 것보다 동작관찰훈련과 청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능력 향상에 더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적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는, 대상자의 수가 적어 모든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4주간의 치료적 중재가 끝난 후 추가적인 평가 (follow up)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제공한 훈련이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후속연구
두 번째는, 4주간의 치료적 중재가 끝난 후 추가적인 평가 (follow up)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제공한 훈련이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36)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7):974-80.
Kim MG, Kim JH, Park JW.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43-50.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Kesar TM, Reisman DS, Perumal R et al. Combined effects of fast treadmill walkin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post-stroke gait. Gait Posture. 2011;33(2):309-13.
Mulroy SJ, Klassen T, Gronley JK et al. Gait parameters associated with responsiveness to treadmill training with body-weight support after stroke: an exploratory study. Phys Ther. 2010;90(2):209-23.
Ada L, Dean CM, Hall JM et al.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0):1486-91.
Hesse S, Bertelt C, Jahnke MT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compared with physiotherapy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troke. 1995;26(6):976-81.
Park HJ, Oh DW, Choi JD et al.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f community ambulation for improving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017;31(8):1078-86.
Song YH, Lee HM.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applied simultaneously with action observation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Phys Ther. 2016;28(3):176-82.
Kim JD, Cha YJ, Youn HJ. Effects of emphasized initial contact auditory feedback gait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5;10(4):49-57.
van Loo MA, Moseley AM, Bosman J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walking speed, step length and step width measurement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4;18(10):1041-8.
An SH, Seo HD, Chung YJ.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50(2):289-306.
Kim YH, Lim J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Acad Clin Elec. 2012;10(1):29-38.
Kim JH, Lee B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for functional activities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3;33(4):565-74.
Kim JS, Kim K.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with visual and kinesthetic imagery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ost stroke hemiparesis. J Korean Soc Phys Med. 2010;5(4):517-25.
Pan SH. Principles of empathy training derived from the ways to fire the mirror neuron. Theology and Praxis. 2010;24(2):87-107.
Rizzolatti G, C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005;27:169-92.
Jackson PL, Lafleur MF, Malouin F et al. Functional cerebral reorganization following motor sequence learning through mental practice with motor imagery. Neuroimage. 2003;20(2):1171-80.
Gangitano M, Mottaghy FM, Pascual-Leone A. Phase-specific modulation of cortical motor output during movement observation. Neurore port. 2001;12(7):1489-92.
Thaut MH, Kenyon GP, Hurt CP et al. Kinematic optimization of spatiotemporal patterns in paretic arm training with stroke patients. Neuropsychologia. 2002;40(7):1073-81.
Whitall J, McCombe Waller S, Silver KH et al.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cueing improves motor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troke. 2000;31(10):2390-5.
Hayden R, Clair AA, Johnson G et al.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physical therapy outcomes for patients in gait training following stroke: a feasibility study. Int J Neurosci. 2009;119(12):2183-95.
Rochester L, Hetherington V, Jones D et al. The effect of external rhythmic cues (auditory and visual) on walking during a functional task in homes of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5):999-100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