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Auditory Feedback for Gait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29 no.5, 2017년, pp.246 - 254  

Kim, Hyeong M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s, Cheongju University) ,  Son, Sung M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Cheongju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ction observation training has beneficial effects on enhancing the motor task, such as balance and gait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mbined wit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nd auditory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시각적 관찰만을 이용해 대뇌겉질의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훈련방법이 대부분이었으며,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auditory feedback)을 제공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 적은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적용한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보행능력을향상 시킬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보행속도를 평가하기 위해 10 m 걷기검사(10 m walk test, 10 MWT)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대상자들의 안전에 유의하도록 측정자의 관찰 하에 대상자들은 자신의 평상시 속력으로 치료실 바닥에 표시되어있는 14 m를 걷는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수행능력 및 보행 균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어나 걷기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실시하였다. TUG는 기능적 수행능력 및 이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보행지수(dynamic gait index, DGI)를 실시하였다. DGI는 걷기, 속력의 변화를 주면서 걷기, 머리를 수평적이고 수직적으로 돌리면서 걷기, 축을 회전하면서 걷기, 장애물 넘어가기와 돌아가기, 계단오르기로 구성된 총8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동작관찰과 청각적 피드백을 적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OTWA이 AOT만을 실시한 그룹과 대조군에 비해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기능 향상에 유익한 치료 중재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는, 대상자의 수가 적어 모든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4주간의 치료적 중재가 끝난 후 추가적인 평가 (follow up)가 이루어지지 않아 동작관찰훈련과 함께 청각적피드백을 제공한 훈련이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7):974-80. 

  2. Grysiewicz RA, Thomas K, Pandey DK. Epidemiology of ischemic and hemorrhagic stroke: incidence, prevalence, mortality, and risk factors. Neurol Clin. 2008;26(4):871-95. 

  3. Horak FB, Henry SM, Shumway-Cook A. Postural perturbations: new insights for treatment of balance disorders. Phys Ther. 1997;77(5):517-33. 

  4. Kim MG, Kim JH, Park JW. The effect of turning training on figure of 8 tract on stok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43-50. 

  5.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6. Schmid A, Duncan PW, Studenski S et al. Improvements in speed-based gait classifications are meaningful. Stroke. 2007;38(7):2096-100. 

  7. Dickstein R. Rehabilitation of gait speed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ntervention approach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6):649-60. 

  8. Dobkin BH, Plummer-D'Amato P, Elashoff R et al. International randomized clinical trial, stroke inpatient rehabilitation with reinforcement of walking speed (sirrows), improves outcom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3):235-42. 

  9. Kesar TM, Reisman DS, Perumal R et al. Combined effects of fast treadmill walkin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post-stroke gait. Gait Posture. 2011;33(2):309-13. 

  10. Mulroy SJ, Klassen T, Gronley JK et al. Gait parameters associated with responsiveness to treadmill training with body-weight support after stroke: an exploratory study. Phys Ther. 2010;90(2):209-23. 

  11. Ada L, Dean CM, Hall JM et al. A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program improves walking in persons residing in the communit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0):1486-91. 

  12. Hesse S, Bertelt C, Jahnke MT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compared with physiotherapy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troke. 1995;26(6):976-81. 

  13. Dettmers C, Braun N, Busching I et al. [Neurofeedback-based motor imagery training fo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ervenarzt. 2016;87(10):1074-81. 

  14. Park HJ, Oh DW, Choi JD et al.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f community ambulation for improving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Clin Rehabil. 2017;31(8):1078-86. 

  15. Song YH, Lee HM.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applied simultaneously with action observation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Phys Ther. 2016;28(3):176-82. 

  16. Mulder T.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cognitive tools for rehabilitation. J Neural Transm. 2007;114(10):1265-78. 

  17. Iacoboni M, Woods RP, Brass M et al. Cortical mechanisms of human imitation. Science. 1999;286(5449):2526-8. 

  18. Kim JD, Cha YJ, Youn HJ. Effects of emphasized initial contact auditory feedback gait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5;10(4):49-57. 

  19. van Loo MA, Moseley AM, Bosman J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walking speed, step length and step width measurement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4;18(10):1041-8. 

  20.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5):385-90. 

  21.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2. An SH, Seo HD, Chung YJ.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50(2):289-306. 

  23. Kim YH, Lim J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gure-of-8 walk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Acad Clin Elec. 2012;10(1):29-38. 

  24. Kim JH, Lee B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for functional activities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2013;33(4):565-74. 

  25. Kim JS, Kim K.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with visual and kinesthetic imagery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ost stroke hemiparesis. J Korean Soc Phys Med. 2010;5(4):517-25. 

  26. Pan SH. Principles of empathy training derived from the ways to fire the mirror neuron. Theology and Praxis. 2010;24(2):87-107. 

  27. Rizzolatti G, C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005;27:169-92. 

  28. Jackson PL, Lafleur MF, Malouin F et al. Functional cerebral reorganization following motor sequence learning through mental practice with motor imagery. Neuroimage. 2003;20(2):1171-80. 

  29. Jeannerod M. Neural simulation of action: a unifying mechanism for motor cognition. Neuroimage. 2001;14(1 Pt 2):S103-9. 

  30. Gangitano M, Mottaghy FM, Pascual-Leone A. Phase-specific modulation of cortical motor output during movement observation. Neurore port. 2001;12(7):1489-92. 

  31. Thielman G, Kaminski T, Gentile AM. Rehabilitation of reaching after stroke: comparing 2 training protocols utilizing trunk restraint.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6):697-705. 

  32. Thaut MH, Kenyon GP, Hurt CP et al. Kinematic optimization of spatiotemporal patterns in paretic arm training with stroke patients. Neuropsychologia. 2002;40(7):1073-81. 

  33. Whitall J, McCombe Waller S, Silver KH et al.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cueing improves motor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troke. 2000;31(10):2390-5. 

  34. Hayden R, Clair AA, Johnson G et al. 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physical therapy outcomes for patients in gait training following stroke: a feasibility study. Int J Neurosci. 2009;119(12):2183-95. 

  35. Rochester L, Hetherington V, Jones D et al. The effect of external rhythmic cues (auditory and visual) on walking during a functional task in homes of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5):999-1006. 

  36. Fuhrmann Alpert G, Hein G, Tsai N et al.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udio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J Neurosci. 2008;28(20):5344-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