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의 관계 - 직무관련 삶의 질 매개효과 -
Effect of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336 - 343  

이영선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  송명섭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박정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감정노동, 직무관련 삶의 질, 서비스 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11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모형은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을 독립변수,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 공감피로)을 매개변수, 서비스 질을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모형의 적합성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적합한 수준이었으며,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에서 서비스 질로 향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내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 표면행위와 서비스질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질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삶의 질에 대한 임상적,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service qu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long-term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rese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요양 현장에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의 관계를 직무관련 삶의 질 매개효과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관련 삶의 질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로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 모형에 따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관련 삶의 질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관련 삶의 질을 매개로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적탈진이란? 소진의 개념에는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 성취감저하 가포함된다. 정서적탈진이란 심리적, 육체적으로 자원이 바닥나 탈진된 상태로서 더 이상 질 좋은 도움을 제공하지 못 할 것 같은 느낌이며, 비인간화는 동료나 서비스대상 을 향한 비아냥거림이나 경멸 같은 비인간적인 사고와 행동을 의미한다. 성취감 저하는 개인적인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공감만족과는 정반대의 개념이다[6].
감정노동이 업무수행에 있어서 감정부조화를 느끼도록 하고, 직무만족을 감소시키거나 소진시킬 수 있는 이유는? 서비스질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의 효과는 긍정적[10-11], 부정적[12] 연구결과들이 공존한다. 감정노동과 직무관련 삶의질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감정노동은 실제 감정보다 조직에서 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업무수행에 있어서 감정부조화를 느끼도록 하고, 직무만족을 감소시키거나 소진시킬 수 있다. [15].
장기요양 업무의 성과에 해당하는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도 요양보호사의 직무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제공하고, 제도적으로 교육,슈퍼비젼 등 업무과정에서 만족도를 높이고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분석 결과를 논의해보면, 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직무관련 삶의 질(공감만족) 이었으며, 독립변인인 감정노동은 그 자체가 서비스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감정노동이 공감만족, 공감피로에 영향을 주어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더 큼을 검증하였다. 직무수행에 있어서 직무를 통한 만족감과 피로감과 같은 직무관련 삶의 질은 조직의 가장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로, 일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피로도를 줄여 일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많은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주제가 되어 왔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Y. Park, "The Elderly Care Services by the Private Sector and the Roles of the State," Korean Social Security Law Association, vol. 5, no. 1, pp. 131-196, 2016. 

  2. Y. R. Chin, H. Y. Le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strument for Education Services Quality in Learning Facilities for Care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4, pp. 33-47, 2013.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033 

  3. Hochschild, A. 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 J. K. Jang, "A study on dynamism of emotion labor"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5. J. k. Jang, H. S. Kim, "Surface Acting,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Leader-Member Exchang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9, no. 7, pp. 1129-1150, 2016. DOI: https://doi.org/10.18032/kaaba.2016.29.7.1129 

  6. Stamm B. H, he Concise ProQOL Manual. Pocatello, ID: ProQOL.org. 2010. 

  7. K. A. Yoon, W. C. Shim, "A Systemic Review on the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54, no 1, pp. 195-230, 2015. DOI: https://doi.org/10.22418/JSS.2015.06.54.1.195 

  8. M. D. Kim,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ervice Quality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Handicapped - Focused on the Socialization of Institution -" Hany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08. 

  9. A. Parasuraman, V. A..Zeithaml, & L. L. Berry,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 1, pp. 41-50, 1985. 

  10. S. C. Jeong, "The Impact of Hotel Internal Marketing o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Level of Employees," Korea convention society, vol. 7, pp. 165-188, 2004. 

  11. B. S. Kim, M. H. Kim, I. S. Lee, M. G. Jeong, "The Impact of Hotel Foodservice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Level of Service Deliver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s,"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vol. 13 no. 5, pp. 319-340, 2010. 

  12. J. Y. Lim, "Study on the Antecedents Affecting Exhaustion of Emotion-labor Workers in Short-term DaycareCenter for the Elderly"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3. H. W. Moon, "The Effect of the Nurse Aide's Job Satisfactions on the Service Quality :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Involvement and the Self-Identity," Uidu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5. 

  14. Y. M. Choi, "Effects of Care Professionals' Job Satisfaction upon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Key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15. M. Brotheridge,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0, no. 1, pp. 17-39, 2002. DOI: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16. J. H. Shin & J. W. Kim,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and Non-Task Behavi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5, no. 4, pp. 137-163, 2013. 

  17. J. h. Shin, J. W. Kim,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and Non-Task Behavi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5, no. 4, pp. 137-163, 2013. DOI: https://doi.org/10.20970/kasw.2013.65.4.006 

  18. K. A. Yoon, W. C. Shim,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Front-line Social Work Related Professionals :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vol. 15, pp. 77-101, 2015. 

  19. A. Parasuraman, L. L., Berry, & V. A. Zeithaml, "Refinement and reassessment of the SERVQUAL scale," Journal of retailing, vol 67, no. 4, p. 420, 1991. 

  20. W. G. Jin, "The Impact of Formal Caregivers' Organizational Commitmenton Service Quality in Nursing Homes: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Honam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2. 

  21. S. D. Mullarkey, W. T., Wall, T. D., Warr, P. B., Clegg, C. W., & Stride, C. B. "Measures of job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job-related well-being: A bench-marking manual. Sheffield", UK: Institute of Work Psychology, 1999. 

  22. J. E. Sok, "The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providers" Health and Welfare Polocy Forum, Oct, pp. 34-44,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