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의 분석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ervice Quality of among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323 - 332  

정지나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시에 소재한 6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의 수준은 종교, 학력, 근무기간, 근무형태, 건강상태, 휴게실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은 직무환경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직무환경의 하위변수 중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과 근무형태, 근무기간, 학력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2.6%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하여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환경개선 및 개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재정지원 정책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service quality of caregivers. 200 caregivers in 6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J city were instructed to answer structure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직무 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며,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직무환경, 직무 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 시에 소재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다중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과 직무 스트레스, 서비스 질에 관해 살펴보고, 직무환경과 직무 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제공자인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서비스 질은 요양 보호사가 스스로 지각하는 요양 서비스의 제공능력과 관련된 판단 혹은 태도로 정의한다.
  •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환경, 직무 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보호사의 서비스의 질과 직무 스트레스 간에 상관관계가 있나요? 또한, 개인의 능력과 환경의 불균형을 침범하는 직무요구나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상황과의 불균형의 상태에 대한 적응적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12]. 직무 스트레스는 직업 환경에서 인지된 스트레스 요인들의 결과로 스트레스, 신체적, 정신적, 직무환경, 근무조건 등과 같은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26]의 보고가 있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이면 서비스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1,12,27].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서비스 질의 주요 예측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직무환경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거나 보호요인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28,29].
노인장기요양보험이란 무엇인가? 이에 노인부양은 국가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책무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대응방안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행 되었다[3].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과 가사활동을 지원하여 그들의 복지를 증진하고,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사회보험제도로 그 핵심인력은 요양보호사이다[4]. 장기요양 대상자의 서비스와 관련한 중요한 관심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여기에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핵가족화, 가족의 노인부양의식이 약화하면서 노인부양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가 대두하였다[2]. 이에 노인부양은 국가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할 책무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대응방안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행 되었다[3].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과 가사활동을 지원하여 그들의 복지를 증진하고,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사회보험제도로 그 핵심인력은 요양보호사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tatistics Korea. Future population special estimat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December 21]. Available from: 

  2. J. I. Kim. (2015).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u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56-67. 

  3. S. J. Lim & Y. J. Yi. (2013). Influence of Interpersonal Attitude on Communication Competence in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Korean J Occup Health Nurs, 22(2), 112-120. DOI; 10.5807/Kjohn.2013.22.112 

  4. M. J. Kwak. (2014).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Care Nurse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focused on education,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38(3), 1-38. 

  5. A. Parasuraman, V. Zeithaml & L. L. Berry.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6. H. J. Kwon & G. J. Hong. (2015). The Effect of Publicness on the Service Qualit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7(3), 253-280. 

  7. V. ZeithamI, L. L. Berry & A. Parasuraman.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 31-46. 

  8. Y. M. Jeong & Y. S. Kang. (2010).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Burnout by Job Environment of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0), 3688-3699. 

  9. K. H. Hwang. (2018). A Study on effect for HYO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s of Nursing care workers of sanitarium to Affect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an HYO University, Incheon. 

  10. Y. J. Cho & J. M. Paik. (2013).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Relational Job Environment and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Focucing on evaluation of Home Care Service Caregiver.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5(4), 115-141. 

  11. J. A. Kim & H. K. Lee. (2014). The Impact of Care Worker's Job Stress on their Perceived Service Quality -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4(4), 1-33. 

  12. S. A. Yim. (2018).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Focused on Job Stress Mediation Effect.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7, 91-114. 

  13. S. G. Lee. (2015). A Study on effect of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of Domiciliary Care Centers on the Quality of Long Term Care Servic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0, 9-30. 

  14. B. J. Seo. (2019). Double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of Care giv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Korea Academy of Care Management, 31, 53-81. 

  15. J. P. Lee. (2014). The Effect of Home Helpers' Job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n Service Quality.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1(1), 41-67. 

  16. S. H. Park & B. J. Kim. (2019). Analysis of Organizational effect on long-term car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older Koreans: Focusing on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Korea Social Policy Review, 26(1), 115-138. 

  17. K. C. Han & R. K. Choi. (2013). The Influence of Care Helpers'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7(4), 269-287. 

  18. B. R. Suh, M. J. Choi & I. K. Chung. (2019). Effects of Care Workers'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Burnout on Quality of Their Service.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1(2), 23-33. 

  19. M. J. Shin & I. J. Song. (2019).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Caregiv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9), 311-321. 

  20. Y. S. Rhee, J. H. Park & M. S. Song. (2017). Effect of Long-term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long term care facility-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0), 336-343. 

  21. H. H. Jung. (2019).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s of Care Workers Attached to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on Burnout -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yupSung University. 

  22. S. H. Kim. (2012). Effects of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their Stay-at- Home aged Welfare Servi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4), 282-291. 

  23. K. S. Kim. (2018). Relationship between Job Consciousness, Job Satisfaction and Role Satisfaction in Taekwondo Instructo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6(4), 1173-1183. 

  24. B. G. Rho & M. H. Noh. (2018).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8(4), 835-846. 

  25. B. C. Goo. (2011). The Influence of Care Managers' Professional Ethics on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26. K. H. Hwang. (2017). A study on effect for HYO consciousness and job environments of nursing care workers of sanitarium to affect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4(2), 37-60. 

  27. M. J. Kwak & Y. M. Kim. (2015).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for Service Quality of Care Nurses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Focused on Education, Job Stres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9(2), 135-166. 

  28. S. J.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 Work Appraisals Held by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58-70. 

  29. J. H. Kim & C. S. Jang. (2016). The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y Employees on the Care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533-547. 

  30. K. Christmas. (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318. 

  31. S. M. Lee. (2015). Influence of Care Worker's Service Qual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mebound Elderly under Long-term Car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32. S. H. Nam. (2006). The self-regulation model of job satisfaction in the 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on University, Daejon . 

  33. A. Jondhale & D. Anap. (2012). Job stress among the nursing staff working in rural health care set up.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 222-244. 

  34. S. Jayaratne & W. A. Chess. (1981). Job satisfaction and burn out in social work. In: B Farber. (Ed.) Stress and burnout. NY: Pergamon Press. 

  35. M. S. Kim. (2017).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Emotional Work and Job Stress on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Elderly Care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yang University. 

  36. S. G. Kim. (2015). A Researc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Activities of Home Care Worker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ttitude. Journal of Public Society, 5(3), 163-191. 

  37. H. Y. Jeong. (2017). A Study on Major Determinants of the Service Quality among the Home Car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38. K. H. Min. (2018). The effect of job stress of care worker's on service quali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kje Theological Seminary. 

  39. J. E. Mcgrath. (1976). Stres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al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40. Y. M. Jeong & Y. S. Kang. (2010).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Burnout by Job Environment of Care-giver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0), 3688-3699. 

  41. J. J. Oh, Y. S. Kim, S. H. Kim & H. M. Go.(2019).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5(2),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