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시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pression, Sleep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t Hom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401 - 412  

장경오 (와이즈유(영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일개 시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J시 5곳의 노인대학을 다니는 노인 285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6년 5월 9일부터 2016년 5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통계방법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우울의 평균점수는 $7.27{\pm}3.80$, 수면의 평균점수는 $30.75{\pm}9.35$점, 자아존중감의 평균점수는 $36.40{\pm}5.30$점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평균점수는 $8.05{\pm}2.53$점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삶의 질은 우울(r=.491, p<.001)과 수면장애(r=.590,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r=-.234,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 회귀분석 한 결과,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39.9%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과 수면장애를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on, sleep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t home.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of 285 older people in person at five senior welfare centers in J city from May 20, 2016 to 9. The data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장애, 자아 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화로의 삶을 영위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재가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과 삶의 질과의 관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가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 자아존중감,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우울, 수면장애, 자아 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화로의 삶을 영위시킬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재가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만성적인 질병은 특징은? 9%에서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 중 50%가 일상생활 수행의 제한과 경제적 어려움, 사회 활동의 제한, 소외감, 외로움, 자존감 상실, 간호와 수발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어떤 연령층보다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2]. 노인의 만성적인 질병은 노인의 병원 입원비율을 증가시키며, 새로운 병원 환경의 부적응으로 수면 부족 및 중단 문제로 사고나 낙상의 위험성, 만성적인 피로감 및 우울을 경험하게[3], 삶의 질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의 사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하겠다.
인구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나? 이처럼 인구 고령화 현상은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 중 90.9%에서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 중 50%가 일상생활 수행의 제한과 경제적 어려움, 사회 활동의 제한, 소외감, 외로움, 자존감 상실, 간호와 수발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어떤 연령층보다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2]. 노인의 만성적인 질병은 노인의 병원 입원비율을 증가시키며, 새로운 병원 환경의 부적응으로 수면 부족 및 중단 문제로 사고나 낙상의 위험성, 만성적인 피로감 및 우울을 경험하게[3], 삶의 질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의 사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하겠다.
통계청에 의하면 노인인구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0년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6년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676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13.2%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 1.9배인 1,269만 명, 2060년 2.7배인 1,853만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tatistics Korea. 2016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7 January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I. S. Jang,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 pp. 130-140. 2006. 

  3. C. P, Pollak, D. Perlick, J. P. Linsner, J. Wenston, F. Hsieh. "Sleep problems in the community elderly as predictors of death and nursing home placement", Journal of Community Health, 15, pp. 123-135. 1990. DOI: https://doi.org/10.1007/BF01321316 

  4. H. J. Lee, J. S. Lee, T. Kim, I. Y. Yoo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ol. 21, no. 1, pp. 5-13, 2014. DOI: https://doi.org/10.14401/KASMED.2014.21.1.5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3)", Seoul; 201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6. D. J. Foley, A. A. Monjan, S. L. Brown, E. M. Simonsick, R. B. Wallace, D. G. Blazer, "Sleep complaints among elderly persons : an epidemiologic study of three communities", Sleep. vol. 18, no. 6, pp. 425-32, 1995. DOI: https://doi.org/10.1093/sleep/18.6.425 

  7. S. Ancoli-Israel, "Sleep and its disorders in ageing populations", Sleep Med. 10, pp. 7-11, 2009. DOI: https://doi.org/10.1016/j.sleep.2009.07.004 

  8. J. Fernandez-Mendoza, S. Calhoun, EO. Bixler, S. Pejovic, M. Karataraki, D. Liao et al, "Insomnia with objective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deficits in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a general population study", Sleep. 33, pp. 459-465, 2010. DOI: https://doi.org/10.1093/sleep/33.4.459 

  9. Y. H. Kim, K. S. Py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life of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pp. 157-188, 2002. 

  10. J. B. Min, J. Y. Song,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Theology, 53, pp. 303-332, 2016. DOI: http://dx.doi.org/10.14387/jkspth.2016.51.303 

  11. S. Y. Lee, E. J. Kim, "The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friends and neighbo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6, pp. 137-164, 2012. 

  12. J. W. Lee, "Converge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237-246,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5.237 

  13. H. S. S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515-525,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8.515 

  14. M. S. Shin, S. H. Park, "Effects of abdominal moxibustion on constipation,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8. no. 2, pp. 62-71, 2016. DOI: http://dx.doi.org/10.17079/jkgn.2016.18.2.62 

  15. K. S. Park, Y. R. Park, Y. S. Yum, "The influence of the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on the deprssive symptom of rural elderly", Korean Joura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8, pp. 273-301, 2015. 

  16. Y. S. Shin, E. H. Kim, "A study o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anxiety about aging for the a study o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anxiety about aging for the elderly-focused on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Community Nursing, vol. 20, no. 2, pp. 179-188, 2009. 

  17. D. S. Han, S. J. Cho, "An study on life-esteem and the life satisfaction after attending the programs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9, pp. 115-132, 2013. 

  18. H. J. Choi, J. H. Yoo,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149-155, 2011. 

  19. I. K. Seo, Y. S. Le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on elderly self-esteem : a comparative study on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family",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 28, no. 2, pp. 317-399, 2014. 

  20. Y. G. Kim, "The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4. no. 2, pp. 44-55, 2008. 

  21. K. O. Chang, D. Y. Bae, S. G. Park, "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 and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school participa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pp. 329-339, 2012. DOI: http://dx.doi.org/10.5953/JMJH.2012.19.3.329 

  22. J. I. Sheikh, J. 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The Harwoth Press, 1986. 

  23.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no. 2, 298-307, 1996. 

  24. J. J. Oh, M. S. Song, S. M.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8, no. 3, pp. 563-572, 1998. DOI: https://doi.org/10.4040/jkan.1998.28.3.563 

  25.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DOI: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26. B. J. Je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vol. 11, no. 1, 107-130, 1974. 

  27. EuroQoL Group, "EuroQu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e, vol. 16, no. 1, 199-208, 1990. 

  28. J. W. Shin, Y. K. Park, S. R. Suh, J. E. Ki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no. 3, pp. 479-481, 2011. 

  29. J. J. Kim, "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successful aging", Ph.D. dissertion, Baek-seok University, 2008. 

  30. O. S. Cho, J. I. Kim, Y. M. Kim, "A study on sleep quality and geriatric depression in the elderly between hospital and senior welfare service center", Jour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3, no. 2, pp. 493-507, 2013. 

  31. Y. S. Lee, Y. R. Tak, "Sleep disorder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health",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5, no. 2, pp. 120-130, 2013. 

  32. I. Eser, L. Khorshid, S. Cinar, "Sleep quality adult in nursing home in Turkey: enhancing the quality of sleep improves quality of life", Journal of Gerontology Nursing, vol. 33, no. 10, pp. 42-49, 2007. 

  33. E. Y. Shin,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the elderl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2, no. 3, pp. 53-65, 2016. 

  34. C. A. Magee, P. Caputi, D. C. Iverson, "Relationships between self-rated health,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middle aged and elderly Australians. Sleep Medicine, vol. 12, no. 4, pp. 346-350, 2011. 

  35. M. Y. Jeong, M. Y. Sim,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using facilityes: focused on the program's particip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4, pp. 1539-1557, 2009. 

  36. K. O. Chang, M. J. Kim, I. J. Kim, "Effe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16, no. 7, pp. 4723-473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723 

  37. K. M. Kim, " A study on the self-esteem and health status of older people-home resident and institution resi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87. 

  38. Y. J. NA, Y. H. Choi,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Urba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2, 7224-7230,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2.7224 

  39. H. K. Kim, H. J. Lee, S. M.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279-292, 2010. 

  40. G. N. Torrance, "Utility approach to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hronic Disease, vol. 40, no. 6, pp. 593-600, 1987. DOI: https://doi.org/10.1016/0021-9681(87)90019-1 

  41. C. S. Burckhardt, "Quality of life of adults chromic illness. a psychometric stud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pp. 347-354, 1989. DOI: https://doi.org/10.1002/nur.4770120604 

  42. H. J. Lee,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 differences across age and risk factors", Joura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1, pp. 291-318, 2013. 

  43. J. C. Lee, J. A. Park, N. K. Bae, Y. C. Cho,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 33, no. 2, pp. 204-220, 2008. DOI: https://doi.org/10.5393/JAMCH.2008.33.2.204 

  44. H. K. Kim, H. J. Lee, S. M.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279-292, 2010. 

  45. F. Clement, W. J. Sauer, "Life satisfaction in the united state", Social Forces, vol. 54, no. 3, pp. 623-631, 1976. DOI: https://doi.org/10.1093/sf/54.3.621 

  46. J. I. Kim, "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ti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99-109, 2013.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47. S. A. Y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function, quality of sleep and qualiy of life for the elderly in a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5, pp. 335-345,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