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인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생활재활교사의 치위생 중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management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oral health care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513 - 523  

김선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윤혜정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보건 관련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거주 장애인의 개인위생과 구강위생 업무수행의 어려움의 정도 및 구강보건 수행환경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장애복지 시설 생활재활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1부를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장애인의 개인위생은 자발적인 칫솔질, 칫솔질 중요도 인식, 자신의 칫솔 찾기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거주 장애인의 구강위생 수행과 관련한 어려움의 정도는 자신의 칫솔 찾기, 치과 의료기관의 구강검사 여부에서 보통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발적 수행정도에서는 잇몸 맛사지, 설탕 함유 식품 자제순으로 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인 칫솔질을 잘 수행할수록 올바른 칫솔질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적절하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분 이상 칫솔질과 회전법 칫솔질을 스스로 잘 수행 할수록 구강관리용품을 적절하게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혀 닦기를 잘 수행할수록 담당 장애인의 수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 장애인이 개인위생을 실천하기 어려운 경우, 구강위생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생활재활교사 및 장애인에게 지속적인 치위생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of disability facilities in Kyungkido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personal and oral hygiene of the disabl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hygiene of residential disabled peop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oluntary toothbr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거주시설 지적장애 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에 대한 관찰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생활재활교사의 관점에서 지적장애인의 개인위생과 구강위생 수행에 관련한 어려움의 정도 및구강보건관련 수행 환경 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자료는 지적장애인과 생활재활교사의 구강보건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평균 몇개인가? 장애인의 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적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평균 13개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며[3], 지적장애인과 정상인의 구강건강실 태조사와 구강건강 행동 양상들을 비교 하였을 때, 장애인에서 치료받지 않은 우식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훨씬 많아 우식치료의 수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4].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치과질환 발생빈도가 어떠한가?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구강위생 관리 능력이 부족하여 치과질환의 발생빈도와 심도가 높았다. 특히 치과치료에 불안과 공포가 많고 행동조절에 어려움이 있으며 환자의 이동이 불편한경우 치과진료를 소홀히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나타 났다[1].
장애인의 몇%가 스스로 칫솔질을 하는가? 64회정도로 모든 연령층과 유사하다[18]. 또한 장애유형별 칫솔질 의존도는 전체 장애유형의 약 68~90%의 장애 인이 스스로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위의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대체로 장애인 스스로 2-3회의 칫솔질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장애인이 칫솔질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올바른 칫솔질 방법으로 구강위생 관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rean Pediatric Dentistry, Child and Adolescent Dentistry, Shinhung International, pp. 475-494, 1999 

  2. Y. N. Kim, Y. H. Choi, H. S. Jeon, J. J. Lim, W. G. Chung, S. O. Jang, K. H. Lee, "The status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dental services in the korean disabled",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vol. 1, no. 1, pp. 18-24, 2005. 

  3. I. S. Park, "A study on the oral health of some disabled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Denatal Hygiene Education, vol. 9, no. 1, pp. 27-43, 2009. 

  4. J. N. Maeng, G. H. Lee, D. U. Kim, S. M. Bea, "Comparison of caries experience between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norm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ol. 27, no. 2, pp. 202-207, 2000. 

  5. S. Y. Ha, K. H. Lee, D. E. Kim, J. S. Park "Oral health care status in institutions and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ol. 27, no. 2, pp. 192-201, 2000. 

  6. U. L. Kim, "The Effect of Dental Health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a Welfare Facility" InJ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Master Thesis, 2010. 

  7. Y. S. Park.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aster Thesis, 2017. 

  8. Y. H. Nam, J. No, "A Study on Work Experience of the Life Rehabilitation Teacher in Residence Institution of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21, no. 1, pp. 141-171, 2017. DOI: https://doi.org/10.16884/JRR.2017.21.1.141 

  9. H. S. Shin, "The Impacts on the Service Quality of a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of the Empowerment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aster Thesis, 2005. 

  10. S. G. Nam, "Effects of Job Stress on Quality of Service of the Rehabilitation Instructors in Residential Institutions",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octor Thesis, 2010. 

  11. Y. S. Choi, L. S. Yeon, "The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Disabled an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n Housing Facilities of the Severely Disabled up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20, no. 2, pp. 95-118, 2016. DOI: https://doi.org/10.16884/JRR.2016.20.2.95 

  12. S. W. Park, "Modifying samples", How to use Statistics G power, http://imaging.mrc-cbu.cam.ac.uk/statswiki/FAQ/effectSize, Aug, 2017. 

  13. S. H. Kim, Y. H. Lee, J. H. Hwang, M. A. Oh, M. K. Lee, N. H. Lee, D. W. Kang, S. J. Kwon, H. K. Oh, S. Y. Yun, S. W. Lee, "2014 Oral Health Care in Institution for the Disability", pp5-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4. B. M. Bae, "A Study on the Mouth health Related Factors of the Disabled", Social Welfare of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Master Thesis,2010. 

  15. Korea Disabled Employment Servic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6 Disability Statistics, Korea Disabled Employment Servic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pp. 4-8, 2016. 

  16. H. S. Choi, S. H. Hwang, "Impa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School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11, no. 1, pp. 7-15, 2010. 

  17. J. E. Chon, Y. H. Choi, "Original Article :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in the teacher of Local children center,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vol. 12, no. 4, pp. 827-837, 2012.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827 

  18. K. H. Shim, S. J. Lee, N. J. Kim, "The Questionnaire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vol. 12, no. 4, pp 237-242, 2017. DOI: https://doi.org/10.15236/ijcpd.2016.12.4.237 

  19. H. S. Jeon, "Dental Hygiene Practices and Dental Treatment Pursued by Disabled Adult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Thesis,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