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구강건강관리인력에 따른 구강환경관리능력 지수 비교
The comparison of Patient Hygiene Performance(PHP) Index according to the number of Oral Health Care worker with Disable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v.28 no.2, 2019년, pp.116 - 126  

김소연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김수지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김연선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김지홍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김효진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정승민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  홍지희 (신구대학교 전공심화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현재 장애인의 구강건강은 구강건강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가 아닌 사회복지사가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상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Methods: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전에 사회복지사 4명에게 잇솔질(회전법)을 교육하였으며, 잇솔질 방법과 검사 측정 도구를 통일하였다.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구강보건지식점수 및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점수의 평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Microsoft Office Excel ver.2016 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산출하였다(N%). Results: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의 구강보건지식 조사에서 모든 문항에서 치과위생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연령별, 성별 모든 분류에서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2차에 걸쳐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잇솔질(회전법) 실시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비교했을 때 1차, 2차 모두 치과위생사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낮게 나타났다. Conclusions: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애인들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 치과위생사가 사회복지사보다 구강건강관리능력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입소시설에 치과위생사가 구강건강관리전문 인력으로 배치되어 장애인 및 사회복지사의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하며,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도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전문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urrently, oral health of the disabled is taken care of by the social workers, not by dental hygienists, who are the oral health professional in this area. Therefore, we aim to enhance the equity of oral health for the disabled by providing the correct oral health care method to social w...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책임져야 할 사회복지사의 적절한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의 잇솔질 후 어느 집단이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를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활용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인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책임져야 할 사회복지사의 적절한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치과위생사와 사회복지사의 잇솔질 후 어느 집단이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를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활용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인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책임지는 사람은? Objectives: 현재 장애인의 구강건강은 구강건강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가 아닌 사회복지사가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상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곳은? Objectives: 현재 장애인의 구강건강은 구강건강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가 아닌 사회복지사가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 복지시설에 상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올바른 구강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Methods: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는데 사전에 통일한 것은? Methods: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4월 20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o' 장애인 복지시설에 거주하는 1급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식후 치과위생사 4명과 사회복지사 4명이 잇솔질 시행 후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전에 사회복지사 4명에게 잇솔질(회전법)을 교육하였으며, 잇솔질 방법과 검사 측정 도구를 통일하였다.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구강보건지식점수 및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점수의 평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Microsoft Office Excel ve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abled;2018.4. 

  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 a manual of classification rating to the consequences of disease. Geneva:WHO.1980. 

  3. Myeong Kim. Health edication and health promotion. Gye chuk Munwhasa. 2017.1. 

  4. Pyeong Kyu Cho, Mi Ok Lee. A Survey of mentally retarded people's dental caries experiences. Dental research;2005:58(6)51-5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ent condition statistic information report for the Disabled;2018.12. 

  6. Young sook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2001:1(1):19-37. 

  7. Du Kyo Shin, Seong Hwa Jeong, Ji Hye Park, Youn Hee Choi, Keun Bae Song. Public health dentistry : A Study of oral health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disabled people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2007:31(2):248-262. 

  8. Soon young Ha, Gwanghui Lee, Dae eop Kim, Jong seok Park. Oral health care status in Institutions and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2000:27(2):192-200. 

  9. Eun Hee Kim, 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Health Care of the Nursing Home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epartment of Clinical Or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Ewha Womans University, 2013.7. 

  10. Young Sook Kim , Sun Ha Ji , Guil La Choi , Ho Kwen Kwon. The Utilization Pattern of Dental Service of Disabled Children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Parents Preception of Oral Health Related Behaviour.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1997:21(4):649-674. 

  11. Gil ra Choi, Jong yeol Kim. A Study Of The Dental Caries Incid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factors that affect caries incid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1991:15:240-244. 

  12. Il soon Park. A study on the oral health of some disabled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2009:9(1):27-4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