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539 - 550  

박안숙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와 그들 부모 간에 가족결속력 및 가족적응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들이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대학생 자녀 197명과 그들의 부모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검정, ANOVA를 이용한 차이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가족기능지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7.42{\pm}2.28$이었으며, 정상 가족기능군은 65.48%였다.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가족적응력은 훈육(t=-3.100, p<.01)과 역할(t=.212,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 자녀의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 간의 가족활동의 공유,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45.9%의 설명력을 보였다. 부모의 가족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사분담,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이들은 51.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가족적응력은 가족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족활동의 공유가 중요하고,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가족 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사분담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using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고 대학생 자녀는 독립적인 사회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도전과 과제가 주어지는 가운데 부모와의 가족관계가 수직관계에서 평등관계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성장환경에서의 가족원에 대하여 느끼는 정서적 유대감을 측정하는 차원의 가족결속력과 가족구성원이 상황적, 발달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가족관계에서의 역할이나 규칙, 권력구조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적응력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가 본인들의 가족기능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 지, 그리고 가족결속력 및 가족적응력에 대해 그들의 부모가 인지하고 있는 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떤 요인들이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Duvall의 가족성장 8단계 중 진수기(launching stage of family) 단계에 있는 대학생 가족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고려한 가족중심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기능도 지수의 측정항목은 무엇인가? 가족기능도 지수(Family APGAR score)는 Smilkstein[16]에 의해 개발되어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가족기능을 평가하는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고 입증된 도구[10]를 사용하였다. 측정항목은 가족의 적응능력(Adaptation), 가족 간의 동료의식(Partnership), 가족의 성숙(Growth), 가족 간의 애정(Affection), 가족의 문제해결(Resolve) 등 5개 영역으로 ‘거의 아니다’ 0점, ‘가끔 그렇다’ 1점, ‘항상 그렇다’ 2점으로 평가하여 7∼10점은 가족기능이 좋은 것으로 보며, 4∼6점은 중등도의 가족기능장애, 0∼3점은 심한 가족기능장애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가족기능지수의 Cronbach’s α값은 .
오늘날 간호요구가 변화된 배경은 무엇인가? 오늘날의 질병양상과 건강증진에 관한 요구는 가족을 전체체계로 이해하고 접근함으로써 대상 가족의 상호작용 역량을 강화하고 외부도움을 찾고 받아들이는 등 가족체계의 재조직에 대한 간호요구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과거의 전통적 가족제도 하에서는 가족의 기능이 하나의 생산단위이자 사회조직의 기초단위이며 동시에 교육의장이기도 하였다.
그동안 가족기능을 살펴본 연구들은 어떠한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가? 그동안 가족기능을 살펴본 연구들은 대부분 정신지체 및 자폐아 가족[6], 알콜중독자 가족[7-9], 장애인 가족[10] 및 다문화 가족[11,12] 입원환자 가족[13] 등 가족기능이 취약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사회복지 및 정신건강, 가정의학 분야에서 주로 다뤄져왔다. 이러한 시각은 가족구성원 중의 누군가 장애를 갖거나 질병 등으로 장기적인 치료를 받는 등 문제를 갖게 되는 경우, 가족구성원들은 서로의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되고 가족의 생활주기와 변화되는 사회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하며, 개인과 가족전체가 성장하지 못하여 가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것에 초점이 주어져 있다. 그러나 고도로 분화된 오늘날의 가족은 정상가족 내에서도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의사소통의 단절과 가족 내 구성원 간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에서 오는 갈등적 구조로 인해 가족기능이 약화될 수 있으며[14] 이에 관한 정책적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 Stanhope, J. Lancaster, Public Health Nursing: Population Centered Health Care in the Community. 9th ed, p. 595-618, St. Louis, Missouri, Mosby Elsevier, 2016. 

  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olicy",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 

  3. Y. H. Ahn, Family Nursing. p. 101, Hyunmoonsa, Seoul, 2011. 

  4. J. Y. Lee, S. J. Kang, K. S. Kim,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rd ed, p. 132-146, Hyunmoonsa, Seoul, 2017. 

  5. J. S. Kim., M. K. Oh, J. S. Park, "Clinical Application of Family-Centered Health Car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30, pp. 405-414, 2009. DOI: https://doi.org/10.4082/kjfm.2009.30.6.405 

  6. K. Y. Hong, "A Study of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Children Suffering from A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Korea. 2003. 

  7. J. S. Kim, A. Park, Y. S. Lee, Y. C. Cho, "A Study on the Family Type of Alcoholism Patients, Using Family Adaptation and Cooperation Measures(FACES III)", Chungnam Medical Journal, vol. 21, no. 1 pp. 121-130, 1994. 

  8. H. H. Shin, S. H. Han, "A Study on FACES III and Family APGAR Score of Alcoholic Family Members", The Journal of Soonchun hyang University, vol. 16, no. 2 pp. 375-383, 1993. 

  9. G. Y. Kwon, "A Study on the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Alcoholic Families",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Conference Proceedings, vol. 14 pp. 78-92, 1999. 

  10. M. S. Suk, "A Comparative Study of Family Function between the Disabled Family and the Non-Disabled Family: An Application of the McMaster Model",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18, no. 2 pp. 105-131, 2013. 

  11. Y. P. Kim, H. K. Park, H. S. Hwang, "FACES III and Family APGAR Score of Multicultural Family Marriage Female Migrant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30 pp. 210-220, 2009. DOI: http://dx.doi.org/10.4082/kjfm.2009.30.3.210 

  12. S. T. Song, "A Study on The Effects of Ergo-Resilience, Family Function and Acculturation Stress on Mental Health of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Seoul, 2014. 

  13. H. Y. So, B. O. Kim, "An Analysi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Sick Role of the Patients Admitted in Rehabilitation Ward", Chungnam Medical Journal, vol. 18, no. 1 pp. 279-291, 1991. 

  14. Y. K. Yoo, "Family Change Pattern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are Issue and Focus, vol. 258, September, 2014. 

  15. Y. J. Lim,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2 pp. 198-206, 2017. 

  16. Smilkstein, G., Ashworth, C., & Montano, 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mily APGAR as a Test of Family Functio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 15, no. 2 pp. 303-311, 1982. 

  17. Olson, D. H., Portner J., Lavee Y. Family Adaptation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5. 

  18. Y. H. Kim,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University, Seoul, 1990. 

  19. S. J. Kwon,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Life Events Stress,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of the Wives who Reside in some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2, no. 3 pp. 696-704, 2001. 

  20. H. J. Kim, M. A. Jung,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6, no. 1 pp. 43-50, June, 2010.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43 

  21. M. J. Jin, "Correlation between Youth Christian Neuroticism Tendency and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ission, Chongshin University, Korea, 2008. 

  22. K. H. Yang, Y. H. Kim, "The Study on the Family Functionality and Spousal Relationship of Middle-aged Women to Develop Health Promot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2, no. 3 pp. 680-695, March, 2001. 

  23. Y. I. Kim, "Family Nursing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Workers at Medical Institu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8, no. 1 pp. 116-127, 2009. 

  24. AS. Muyibi, I-OO. Ajayi, AE. Irabor, MMA. Ladipo,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Functio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Risk Factors in a Primary Care Facility", Afric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 Family Medicine, vol. 2, no. 1, pp. 177-183, October, 2010. DOI: https://doi.org/10.4102/phcfm.v2i1.177 

  25. S. B. Back, "Family Function of Female Students in Adolescent-A Study of Family Cohesibility, Adaptability and Communication Pattern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Seoul, 2005. 

  26. J. H. Bae, S. J. Park "Study on Family Function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Rituals with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 185-19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85 

  27. E. J. Choi, "Family Functioning i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a Primary Care Coh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Korea, 2015. 

  28. S. J. Kim, C. S. Lee, G. H. Lee, J. W. Kang, C. W. Park, Y. R. Park, "Family function of Extended family and Nuclear family Using FACES 3",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15, no. 9 pp. 648-655, September, 1994. 

  29. H. J. Cho, E. S. Lim, J. H. Yo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ing, Empathy, and Aggression by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4, no. 4 pp. 480-487, December 2013.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4.480 

  30. J. M. Kim, J. W. Han,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in Childhood: Analysis of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2 pp. 437-445,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437 

  31. H. N. Yoo, H. Y. Han, H. M. Oh, M. J. Park,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on Elderly Women'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B) pp. 469-48, February, 2015. 

  32. G. S. Seo, S. Y. Bang,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ife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4 pp. 398-407,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98 

  33. S. A. Park, K. W.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4 pp. 325-33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25 

  34. B. S. Ko, W. S. Shim, U. J. Kang, J. Y. Shim, H. L. Lee, "FACES III in the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21, no. 5 pp. 615-624, 2000. 

  35. Olson, D. H., "Circumplex Model-Validation Studies and FACES III", Family Process, vol. 25, pp. 337-351, 1986. DOI: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6.0033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