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Korean Job Crafting Sca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611 - 623  

이현응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한국 조직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잡 크래프팅의 개념 및 측정도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잡 크래프팅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문항을 작성했다. 10명의 HRM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수정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국내 8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305명의 종업원에게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정된 검사도구를 국내 7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종업원에게 추가로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를 비교적 양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각 하위척도가 수렴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과업조형을 측정하는 6개 문항, 인지조형을 측정하는 4개 문항, 관계조형을 측정하는 5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가 개발되었다. 만일 본 측정도구가 추후의 연구에서도 타당도가 검증되면 국내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Job Crafting Scale. First,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job crafting were reviewed, and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review.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con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인이 직무를 수행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바에 대해 생각하는 것, 혹은 더 큰 목적과 자신의 업무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은 일의 의미(meaningfulness)를 되찾게 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잡 크래프팅 척도에서 행동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무에 대한 관점 및 인식에 대해서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문항을 개발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의 조직에서 보편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잡 크래프팅 검사도구와 문항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잡 크래프팅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 이 개념을 현재의 형태로 제안한 Wrzesniewski & Dutton[3]의 모형에 따라 과업조형·인지조형·관계조형의 세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 본 장에서는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잡  래프팅 측정도구의 이론적 근거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 도구가 가진 한계점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활용하기에 보다 더 적합한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조직환경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의 조작적 정의는 무엇인가? 둘째, 국내의 조직환경에서 잡 크래프팅의 하위 요인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문항은 무엇인가?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절한 수준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 크래프팅이란? 이러한 직무설계의 새 패러다임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개념이 바로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다. 이 개념을 창안한 Wrzesniewski & Dutton[3]에 의하면 잡 크래프팅은 ‘조직에서 구성원이 자신의 동기부여를 위해 직무 과업이나 관계의 범위에 대해 만드는 물리적·인지적 변화’로 정의된다. 여기서 물리적 변화란 과업의 양과 내용, 그리고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양과 질을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인지적 변화는 직무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환경 전반적 변화로 직무설계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고 있는데 기존의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해 설명하면? 기업환경의 전반적 변화로 인하여 최근에 직무설계 분야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고 있다. 기존의 직무설계 패러다임에서는 관리자가 직무 과업을 결정하고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 수준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직무 재설계의 과정을 주도했다[1]. 즉, 직무설계의 책임은 주로 관리자에게 있었으며, 조직 구성원은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이러한 수동적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동기부여 수준을 향상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직무를 재설계할 수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
직무설계에 문화적 배경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직무설계는 인적자원관리(HRM) 분야의 핵심 주제로, 조직 내에서 업무를 수행할 시 사용하는 절차, 규정, 정책, 제도 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문화적 배경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외 연구를 통해 형성된 이론이나 개념을 국내 연구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문화에 맞게 토착화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 R. Oldham, J. R. Hackham, "Not what it is and what it will be: The future of job design researc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1, no. 2/3, pp. 463-479, 2010. DOI: http://doi.org/10.1002/job.678 

  2. M. Tims, A. B. Bakker,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 36, no. 2, pp. 1-9, 2010. DOI: http://doi.org/10.4102/sajip.v36i2.841 

  3. A. Wrzesniewski,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6, pp. 179-121, 2001. DOI: http://doi.org/10.5465/AMR.2001.4378011 

  4. J. H. Kim, H. Lee, "Effects of salesperson's job crafting and adaptive selling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and sales performance",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 31, no. 2, pp. 135-158, 2017. 

  5. E. Bang, Y. W. Suh,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job crafting: Focused on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0, no. 1, pp. 77-100, 2017. 

  6. X. Jin, I. S. Kwon, "On job crafting: The antecedents of job craft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role breadth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vol. 20, no. 1, pp. 95-123, 2017. 

  7. S. H. Lee, S. H. Ko, T. W. Moon,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virtu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job performance: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35, no. 5, pp. 81-108, 2016. 

  8. H. J. Choi, S. C. Sim, "A study on work value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rafting of cuisine employees", Korean Hotel Administration Review, vol. 25, no. 5, pp. 119-137, 2016. 

  9. R. H. Park, "A study of psychological capital(PsyCap)'s antecedent and its effect: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PsyCap and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crafting",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vol. 19, no. 1, pp. 95-123, 2017. 

  10. H. K. Park,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job crafting, individual and team level variables of employees in large corporation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11. C. H. Kim, W. S. Sim, "A study on the impact of leader's authenticity on the job crafting of employees and its proces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36, no. 1, pp. 131-162, 2012. 

  12. J. C. Park, H. J. Choi, "The effects of the employees' collective efficacy based on authentic leadership of hotel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job crafting",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vol. 26, no. 4, pp. 127-146, 2017. 

  13. B. E. Ghitulescu,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Pittsburgh, 2006. 

  14. C. Leana, E. Applebaum, I. Shevchuk, "Work process and quality of ca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ole of job craft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52, no. 6, pp. 1169-1192, 2009. DOI: http://doi.org/10.5465/AMJ.2009.47084651 

  15. M. Tims, A. B. Bakker, D. Derk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80, pp. 173-186, 2012. DOI: http://doi.org/10.1016/j.jvb.2011.05.009 

  16. G. R. Slemp, D. A. Vella-Brodick,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vol. 3, no. 2, pp. 126-146, 2013. DOI: http://doi.org/10.5502/ijw.v3i2.1 

  17. E. Demerouti, A. B. Bakker, F. Nachreiner, W. B. Schaufel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6, pp. 499-512, 2001. DOI: http://doi.org/10.1037/0021-9010.86.3.499 

  18. M. K. Lim, Y. J. Ha, D. J. Oh, Y. W. Sohn,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K)",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181-206, 2014. 

  19. J. M. Berg, A. M. Grant, V. Johnson, "When callings are calling: Work and leisure in pursuit of unanswered occupational callings", Organizational Science, vol. 21, no. 5, pp. 973-994, 2010. DOI: http://doi.org/10.1287/orsc.1090.0497 

  20. J. M. Berg, A. Wrzesniewski, J. E. Dutton,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challenges in job crafting at different ranks: When proactivity requires adaptivit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1, no. 2/3, pp. 158-186. 2010. DOI: http://doi.org/10.1002/job.645 

  21. K. G. Smith, C. Collins, C. D. Clark, "Existing knowledge, knowledge creation capability, and the rate of new product introduction in high technology fir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no. 48, pp. 346-357, 2005. DOI: http://doi.org/10.5465/AMJ.2005.16928421 

  22. J. R. Hackman, G. R. Oldham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0, no. 2, pp. 159-170, 1975. DOI: http://doi.org/10.1037/h0076546 

  23. K. S. Cameron, J. E. Duton, R. E. Quinn,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p. 296-308, Berrett-Koehler, 2003. 

  24. E. W. Morrison, C. Phelps, "Taking charge: Extra-role efforts to initiate workplace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2, pp. 403-419, 1999. DOI: http://doi.org/10.2307/257011 

  25. P. Lyons, "The crafting of jobs and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Business Psychology, vol. 23, pp. 25-36, 2008. DOI: http://doi.org/10.1007/s10869-008-9080-2 

  26. A. M. Grant, Y. Fried, S. K. Parker, M. Frese, "Putting job design in context: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1, no. 2/3, pp. 145-157, 2010. DOI: http://doi.org/10.1002/job.679 

  27. A. B. Bakker, E. Demerout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22, no. 3, pp. 309-328, 2007. DOI: http://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28.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pp. 60-101, Sage, 2003. 

  29.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pp. 563-575, 1975. DOI: http://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0.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p. 629-686, Pearson, 2010. 

  31. C. Fornell,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39-50, 1981. DOI: http://doi.org/10.2307/315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