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9 no.3, 2017년, pp.59 - 70  

황송자 (상지대학교 경영학과) ,  안관영 (상지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nd superior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49 em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목적은 감정노동 중 내면행동과 직무소진의 관계(가설 1), 표면행동과 직무소진의 관계(가설 2), 그리고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동료지원의 조절효과(가설 3)와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가설 4)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들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 목적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내면행동, 표면행동)이 직무소진(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성취감저하)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동료지원과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대한 가설 1,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고령화와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이들 기관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효과와 상사지원 및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강원 영서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을 대상으로 응답자들의 근로조건이나 규모에서의 동질성 유지를 위해 10인 이상 50인 이하 사회복지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처럼 열악한 근부조건 속에서도 복지시설 간의 경쟁으로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와 만족감 제고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은 직무소진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동료나 상사지원의 역할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사자들이 인지하는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분석하며,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동료나 상사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동료와 상사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지원은 종사자들에게 심리적 위안을 준다는 점에서 직무소진을 낮추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내면행동은 직무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표면행동은 직무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관계는 동료지원 수준이 강할수록 부(-)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4: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관계는 상사지원 수준이 강할수록 부(-)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에게 어떠한 기대가 있나?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은 자기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다른 사람들을 대면할 때 항상 수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로 이해심과 타인을 도우려는 희생정신이 충만한 사람이어야 한다는 기대가 있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감정노동 학자인 Hochshild(1983)은 사회복지 사를 “상대방이 안정적이며 우호적인 공간에서 보살핌을 받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관심을 보여야 하며 마음을 담은 시선을 건네야 한다.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사회복지사가 겪는 문제는? 그러기 위해서 는 자신의 표정과 감정을 조절, 관리하는 감정노동자“ 라고 정의 하였다.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사회복지사들은 업무적으로 심리적 어려움만 아니라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였으며, 지역 내 클라이언트들을 지속적으로 만나야 하는 사회복지사들은 동료나 가족들에게 토로하는 수준에서 넘기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하였다.이렇듯 사회복지사들은 자신들의 분노감정과 피해에 대하여 직접적인 대응보다는 참는 것으로 보이는 현실이다.
소진 실증연구에 활용되는 3가지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1980년대 이후 Maslach & Jankson(1981)이 직무 소진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보편화시켰으며 직무소진에 대한 구성요소를 정서적 탈진, 비인격화, 개인성취감 저하라는 3가지 구성요소로 범주화 시켰다. 이러한 3 가지 구성요소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인 개념으로 소진 실증연구에 활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K. Y.(2014),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food service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6(2): 193-201. 

  2. Ashforth, Blake E, & Ronald H. Humphrey(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3. Beehr, Terry A. (1985),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coping with organizational stress. Human Stress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s: An integrated perspective : 375-398. 

  4. Bakker, A.B., Demerouti, E., & Euwema, M. C. (2005), Job resources buffer the impact of job demands on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70-180. 

  5. Brewer, Ernest W., & Laura Faye Clippard.(2002),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 services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3(2): 169-186. 

  6. Brotheridge, C. M., Lee, R. T.(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7. Brotheridge, C. M, & Grandey, A. A.(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8. Cohen, Sheldon, and Thomas A. Wills.(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9. Choi H. Y. (2010), Concept Analysis of Burnout Concept Analysis of Burnout Korean Journal of Nursing, 22(2): 27-38. 

  10. Chae, S. I.(2016), Research & Methodology for Social Science, B&M Books. 

  11. Demerouti, E., A. Bakker, F. Nachreiner, W. Schaufeli(2001),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12. Grandey, Alicia A.(2000),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13. Grandey, A. A.(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14. Han, S. G. (2016), A Study on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bor in Korea, Korea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32(23): 5-27. 

  15. Halbesleben, R. B.(2006),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 meta-analytic test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5): 1134-1145. 

  16. Hochschild, A. R.(2012), The M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Hwang, S. J.(2016), The Relationships among JDR, Job Burnout and Service Quality in Social Welfare Agency, Doctoral dissertation of Sanji University. 

  18. Ko, J. U. (2013),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Focusing on senior welfare social workers, Korea Journal of Care Management Accademy, 9(30): 65-94. 

  19. Kim, K. H. (2006), Emotional Labor and Materiality of Service Work ; A Study on Interactive Service Work Economy and Society, 72(24): 206-229. 

  20. Kim, H. S.(2008),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Effects of Role Stress, Job Autonomy and Social Suppor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32(3): 5-25. 

  21. Kim, H. J.(2008), Hotel service providers' emotional labor: The antecedents and effects on burnout,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7(2): 151-161. 

  22. Kalliath, P., Kalliath, T., & Chan, C.(2015),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train: Does Social Support Matter?,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5(8): 2387-2405. 

  23. Lee, I. S. (2007), A Study on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5): 55-69. 

  24. Li, F., Jiang, L., Yao, X & Li, Y.(2013),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safety outcomes: The rol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safety complianc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51: 243-251. 

  25. Lim, S. S., and Ahn, K. Y.(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qua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service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7(4): 67-75. 

  26. Maslach, C. & Jackson, S.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2th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7. Maslach, Christina, and Susan E. Jackson.(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28. Park, R., and K. Y. Ahn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service qua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17(1): 231-240. 

  29. Posig, M. & Kickul, J.(2003), Extending our understanding of burnout: Test of an integrated model in nonservice occupa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1): 3-9. 

  30. Pugliesi, Karen.(1999),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3(2): 125-154. 

  31. Schaufeli, Wilmar, & Dirk Enzmann.(1998),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CRC press,: 879-903. 

  32.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2013), Survey of human rights situation in social welfare: research Report on human rights situation. 

  33. Yoon, H, M. & B, K Park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3): 279-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