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릭의 연대별 치수비교 연구
Study on Chronological Comparison of Cheollik Siz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9 no.5, 2017년, pp.589 - 594  

하지현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김희은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 and pattern development research in the modernization of Cheollik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heollik. The 237 pieces of excavated costume Cheollik in the museums were surveyed. The s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철릭의 패턴 구성은 다른 여러 전통 포(袍)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는 철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철릭의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과 패턴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물 철릭의 연대별 변화과정을 철릭의 구성요소인 총길이, 품, 섶, 진동, 배래, 수구 등의 치수를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를 통해 비교분석하여 철릭의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과 패턴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철릭의 연대별 형태 변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물 철릭을 조사하여 철릭의 구성요소간의 상호관계를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릭이란? 철릭은 여러 전통 포(袍)와는 다른 구성상의 특징을 가진 전통 의복으로 조선왕조실록(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834)에 우리 동방의 의복 중 가장 오래된 의복이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남성의 의복인 철릭은 상의(上衣)와 하상(下裳) 이 연결된 형태로 허리부분의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의는 소매가 있는 저고리의 형태이며, 하상은 주름이 잡혀있는 치마의 형 태이다.
철릭 배래의 너비가 급격히 넓어진 원인은? 철릭의 진동길이는 1400년대 이후부터 연대의 흐름에 따라 짧아지고, 배래너비는 1600년대까지는 점차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1700년대에는 배래의 너비가 진동 길이의 약 2배 정도까지 급격히 넓어졌다. 1700년대에 배래너비가 급격히 증가 한 원인을 조선왕조실록(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793)에서 찾아보면 ‘벼슬아치의 공복(公服) 소매와 깃 의 폭이 점점 넓어지고 관아에서 일하던 관노인 조례( 隷)의 철릭 소매도 따라 넓어져 거의 온 폭의 비단을 쓰게 되어 낭비가 상당하다’는 기록이 있어 철릭의 소매 형태의 변화는 공복 소매에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Chang(1997)은 진동길이가 짧아지면서 배래가 곡선인 형태로 변화한 것은 철릭 에서만 일어난 현상이 아니라 장의, 도포, 창의 등의 다른 의 복에서도 함께 일어나는 변화로, 구성요소의 시대적 변화가 적용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철릭의 형태는? 철릭은 여러 전통 포(袍)와는 다른 구성상의 특징을 가진 전통 의복으로 조선왕조실록(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834)에 우리 동방의 의복 중 가장 오래된 의복이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남성의 의복인 철릭은 상의(上衣)와 하상(下裳) 이 연결된 형태로 허리부분의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의는 소매가 있는 저고리의 형태이며, 하상은 주름이 잡혀있는 치마의 형 태이다. 철릭은 현대의 랩 원피스 스타일의 형태와 비슷하여 입 고 벗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대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변화된 철릭 원피스로 재탄생하여 젊은 여성을 위한 의복으로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e, K. S. (2012).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Korean traditional clothes & Korean style]. Gyeonggi-do: Jigu culture. 

  2. Chang, I. W. (1997). A study on name and style change on Chopni in chosu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1), 389-400. 

  3. Cho, M. S. (2011). A study on the one-piece's design apply to Cheollik in joseon-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4. Cho, Y. A. (1992). A study on the Korean costume pattern design using CAD system(I) -With concentration on the girl's color-strip blouse & ski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 105-125. 

  5. Choi, E. S. (2003). A research on waist lined coat with pleats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Byun-su(1447-1524) tomb.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4), 163-176. 

  6. Chung H. G. (2000).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Chulik and the Po for ma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2), 226-236. 

  7. Chung, O. I. (2010). Development of a prototype drafting method for Hanbok Durumagi.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4), 71-81. 

  8. Edward, S. (1992). Tradition (Kim, B. S., & Shin, H. S.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9. Gyeonggi provincial museum.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안동김씨 문공파- [Excavated costume from the Couple's Tomb of Kim Hwak: Andong Kim family Moonongongpa-]. Yongin: Author. 

  10. Hong, N. Y. (1996). The study of the exvacated clothes of the mid-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3), 527-537. 

  11. Kang, S. C., Hong, N. Y., Nam, Y. J., Cho, H. S., & Hwang, E. S. (1999). The pattern standardization for the ready made Korean traditional costumes for men in twen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 61-71. 

  12. Kim, J. H. (2007). Research on the modernization of 'Cheolik'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3. Koh, B. J.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益炡(1699-1782)유물연구 [Study on the relics of Jeonju Lee family Ikjeong(1699-1782) excavated from Sangam-dong]. 한국복식, 19, 83-148. 

  14. Lee, E. J. (1988). A study on the term 'Choli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2(3), 363-371. 

  15. Lee, E. J. (1989). An analysis on Cholik in social asp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3(4), 319-329. 

  16. Lee, K. E. (2014). A study on transition of construction of Durumagi.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7. Lee, W. S. (2015). Research & prodection on transformation of Jindong(armhole) of Korean traditional woman's Jeogori.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8. Lim, J. Y., & Lee, H. Y. (2012). A development of Hanbok Jeogori pattern from virtual garment simulation - With a focus on women in their 50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4), 607-613. doi:10.5805/KSCI.2012.14.4.607 

  19. Park, S. S. (1993). 廣州郡 突馬面 朽栗里 出土 全州李氏 義安大君 寧昭公派 遺物小考 [Review of relics of Jeonju Lee family Prince Uiahn Youngsogongpa excavated from Huyul-ri, Dolma-myeon, Gyeongju-gun]. 한국복식, 11, 57-142. 

  20. Park, S. S. (2012). 德溫公主家 유물 소장 배경과 유형별 특징 [Collecting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by type of relics of Princess Duckon family]. 한국복식, 30, 7-47. 

  21. Seo, J. H., & Ahn, M. S. (2001). A study of "Houk-Chul-Rik" on 15-16th century - Centering on the excavated clothing of kwangju & cholla south province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4), 23-34. 

  22. Soh, H. O., & Chu, Y. J. (2001). A study on the Sop(outer collar) expressed in Chogori of Cho-sun age.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14, 127-136. 

  23. Song, M. K. (2009). The presumption of the burial date through the excavated Chul-rik of Ryu, clan of Jin-ju-Collection of the Gyeonggi provincial museum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139-158. 

  24.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505). 燕山 11年 6月 戊寅 [Prince Yeonsan 11 years, 25 june]. 

  25.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793). 正祖 17年 10月辛未 [King Jeongjo 17 years, 8 october]. 

  26.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1834). 純祖 34年 4月 甲子 [King Sunjo 34 years, 29 apri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