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하수 이용 형태 고찰과 합리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ypes of Groundwater Use and Proposal for Reasonable Use in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2 no.5, 2017년, pp.112 - 127  

김형수 (중원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water accounts for more than 10% of the total water supply in Korea. However, the contribution of groundwater to public water supply systems has been poorly played role throughout the country except for Jeju Island. Compared with the groundwater uses in foreign countries, the pattern of gr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공공 수도 공급에 있어서 지하수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하다.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지하수가 우리나라 수자원 공급과 수도 공급에 이용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해외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과 토의 사항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하수 현재 이용 현황의 문제와 그 원인을 진단하고, 다른 국가들의 지하수 이용 현황 사례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지하수가 공공 급수에 보다 많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한 개인의 사적 이용을 지양하고, 공공 기관의 적극적 지하수 개발과 공급을 통해 지하수 이용과 연계된 다양한 문제의 해결책도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하수 현재 이용 현황의 문제와 그 원인을 진단하고, 다른 국가들의 지하수 이용 현황 사례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지하수가 공공 급수에 보다 많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한 개인의 사적 이용을 지양하고, 공공 기관의 적극적 지하수 개발과 공급을 통해 지하수 이용과 연계된 다양한 문제의 해결책도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지하수 이용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해결책은 무엇인가? 이러한 다른 나라들의 지하수에 대한 소유권 인식 전환과 관리 방법 접근 방식처럼 우리나라의 지하수 이용에 있어 개인 토지 소유자의 사적인 지하수 개발·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지하수 신고 및 허가 시 개발 가능량에 대한 객관적 평가 방안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소유한 토지를 통해 강우로부터 소유한 토지로 함양되는 지하수 양을 신고 및 허가시 지하수 개발가능량과 연계하여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다시 말해 소유한 토지의 크기와 더불어 지하수 함양을 방해하는 건물이나 포장 등이 소유 토지의 일부를 점유하는 크기 등이 전반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다.
2016년 지하수 조사연보에서는 지하수의 용도를 어떻게 구분했는가? 가장 최근에 발간된 2016년 지하수 조사연보는 지하수의 용도를 크게 생활용, 공업용, 농·어업용 및 기타로 구분하고 있으나 1995년부터 2006년까지 발간된 지하수 조사연보는 생활용, 공업용, 농업용 및 기타로 구분하였다.그러나 실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발간된 지하수 조사연보의 농업용으로 구분된 지하수에는 수산업용 및 양어장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현재의 용도별 구분 방식과특별한 차이는 없다.
국내 지하수 이용과 관련해 어떤 문제가 있는가? 한편 전체적인 지하수 이용량 증가 현상과 대비되는 용도별 현황은 대부분 지하수가 사적 개발과 이용에 집중되어있고 공공 기관이 개발하고 공급하는 방식인 일반 수도에 있어서 지하수의 기여도는 심각하게 낮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Table 2부터 5에서 이미 살펴보았듯이 지하수의 낮은 일반수도 기여도는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매우 특이한 현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a, E.J. and Hyun, Y., 2017, A comparison study various water sources for feasibility of expanding the use of groundwater in public water supply of South Korea, J. of Soil and Groundwater Env., 22(4), 60-70. 

  2. Embid, A., 2005, Legal issues of intensive use of groundwater, Groundwater Intensive Use (Eds: Sahuquillo, A., Capilla, J., Marinez-Cortina, L., and Snachez-Vila, X.). 

  3. Heo, U., 2015,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bronge age irrigation facilities, Field Archaeology, 23, 5-35. 

  4.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JWWA), 2016, Water Supply in Japan 2016, 12p. 

  5. Kenny, J.F., Barber, N.L., Huston, S.S., Linsey, K.S., Lavelace, J.K., and Maupin, M.A., 2009, Estimated use of water in the United States in 2005,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344. 

  6. Kim, S.W., Kim, C.K, Na, H.S., Nam, G.D., Min, B.S., and Hwang, K., 1972, Agricultural Hydraulics and Structures, Hyangmunsa. 

  7. Kwater, 2016, Survey report of promising area for large scale groundwater withdrawals. 

  8. Maupin, M.A., Kenny, J.F., Huston, S.S., Lavelace, J.K., Barber, N.L., and Linsey, K.S., 2014, Estimated use of water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9.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MOCT), 1995, Groundwater Survey Annual Report. 

  10.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5, National Wastewater Master Plan (2016-2025). 

  1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6, 2015 Waterworks Statistics. 

  12. Ministry of Land, Ins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Groundwater Management Basic Plan (2012-2021) 

  13. Ministry of Land, Ins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The 4th Water Resources Long-Term Master Plan (2001-2020), 3rd Modified Plan. 

  14. Ministry of Land, Ins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nd Kwater, 2016, Groundwater Survey Annual Report. 

  15. Shibasaki, T. and Research group for water balance, 1995, Environmental Management of Groundwater Basins, Tokai University Press. 

  16. UNESCO, 2004, Groundwater resources of the world and their use. 

  17. Water Resources in Japan (200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