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에 대한 한양방 병용 치료 증례 보고 1례
A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Breast Cancer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Chemotherap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5, 2017년, pp.820 - 827  

한가진 (소람한방병원) ,  이아람 (소람한방병원) ,  정준석 (소람한방병원) ,  성신 (소람한방병원) ,  김성수 (소람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breast cancer is very high in Korea. Although the patients receive standard treatments, such as surger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they frequently experience recurrence or metastasis of their tumors. In addition, many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lso suffer from side effect 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칠 외에도 해100을 통해 암세포를 공격하며, 환자의 전반적 신체기능을 끌어올리고자 하였다. 해100에 포함된 황기와 생강이 종양의 부분반응을 이끌어내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인 1달여 만에 RESIST에 따른 종양의 부분반응(PR)이 나타난 것은 당시 사용했던 Gemcitabine과 Cisplatin의 효과와 더불어 건칠의 효과가 작용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증례에서 건칠단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건칠은 항암 효능이 있어, 다양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말기암 환자의 경우 한의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5.
  • 0~10점까지 숫자 통증 등급을 활용하여 통증 없음(0), 경도(1~4), 중간 정도(5~6), 심함(7~10)으로 구분하여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본 증례에서는 주증상인 우측 가슴통증 및 오심구토, 식욕저하, 식후 소화불량 등의 위장장애에 대해 평가가 이루어졌다.
  • 본 증례의 의의는 한의약 치료와 항암제 투여를 병행함으로써, 기존의 수술 및 항암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재발된 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종양의 반응 및 증상 개선을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특히 본 증례의 경우는 임상적으로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가 흔하고 불량한 예후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이다.
  • 더불어 한약재를 사용하여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거나10,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종양성장을 억제하는 연구들이 다수 시행되고 있다11,12. 이러한 근거를 기초로 하여 본원에서 한양방 병용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항종양 효과 평가 중 부분반응(Partial response, PR)을 보이고 환자 자각 증상 호전이 나타난 유방암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이란 무엇인가? 유방암은 유관과 소엽의 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을 말하는데,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조직에서 생기는 암과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유방암은 침윤정도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나뉜다1.
한의학에서 유방암의 원인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는 乳癰, 石癰 등의 병증과 유사하며, 乳房腫塊가 주증상이며 不痛, 不痒, 不赤하며 혹 內熱, 夜熱, 五心煩熱, 肢體倦瘦, 月經不調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병의 원인으로 七情所傷과 外熱, 痰飮, 氣血虧損 등이 있다2.
유방암은 어떻게 구분 할 수 있는가? 유방암은 유관과 소엽의 세포에서 기원하는 암을 말하는데, 유관과 소엽 등의 실질조직에서 생기는 암과 간질조직에서 생기는 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관과 소엽에서 발생하는 유방암은 침윤정도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과 비침윤성 유방암으로 나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NH, Lee KW, Yoo HS, Lee J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Korean Medicine in Breast Cancer.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2):47-65. 

  2. Chen Z. Furenliangfangdaiquan. Seoul: Jungdam; 1993, p. 71. 

  3. Siegel R, Ma J, Zou Z, Jemal A. Cancer statistics, 2014. CA Cancer J clin 2014;64(1):9-29. 

  4. Desantis C, Ma J, Bryan L, Jemal A. Breast cancer statistics 2013. CA Cancer J clin 2014;64(1):52-62. 

  5. Park B, Choi KS, Lee YY, Jun JK, Seo HG. Cancer screening status in Korea, 2011: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Asian Pac J Cancer Prev 2012;13(4):1187-91. 

  6. den Hollander P, Savage MI, Brown PH. Targeted Therapy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Front Oncol 2013;3(250):1-15. 

  7. Woo HD, Kim HS, Lee JH, Kim HM, Han SW, Kim SY, et al. Toxicity and Tolerability Study of Adjuvant TAC Regimen Chemotherapy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Breast Cancer 2011;14(S):S44-9. 

  8. Seo JY, Yi 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 Nurs 2015;15(1):18-27. 

  9. Kim JH, Bae KR, Park SJ, Cho CK, Yoo HS. A Case of Patient with Recurring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Treated with Samchilchoongcho-Jung in Conjunction with Afatinib. J Int Korean Med 2017;38(1):72-80. 

  10. Jang AY, Song EJ, Shin SH, Hwang PH, Kim SY, Jin YW, et al. Potentiation of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y by methanol extract of cultured cambial meristematic cells of wild ginseng and its mechanism. Life Sci 2015;135:138-46. 

  11. Wang W, Zhang X, Qin JJ, Voruganti S, Nag SA, Wang MH, et al. Natural product ginsenoside 25-OCH3-PPD inhibits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through down-regulating MDM2. PLoS One 2012;7(7):e41586. 

  12. Choi WC. Study on the Safety and Antitumor Activity of Rhus Verniciflua Extract(Nexia).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2006. 

  13. Eisenhauer EA, Therasse P, Bogaerts J, Schwartz LH, Sargent D, Ford R. New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urs: Revised RECIST guideline(version 1.1). Eur J Cancer 2009;45(2):228-47. 

  14.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CTCAE) v.4.0, 2010. Available at http://evs.nci.nih.gov/ftp1/CTCAE/About.html) 

  15. Jang HJ.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Resina Toxicodendrii induces apoptosis and suppresses chemoresistance in MCF-7/DOX cells.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2017. 

  16. Song MS, Kim YS, Leem EM. The literature review for Resina Toxicodendrii. J Korean Obstet Gynecol 2002;15(1):60-76. 

  17. Lee SH, Cho JK. The literature review for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and growth using ‘activate blood and resolve stasis' method.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Research Institute, Daejeon University 1998;7(1):700. 

  18. Kaufman SH. Apoptosis: Pharmacological Implication and Therapeutic Opportunities. San Diego,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7. 

  19. Bernard MM, McConnery JR, Hoskin DW. [10]-Gingerol, a major phenolic constituent of ginger root,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Exp Mol Pathol 2017;102(2):370-6. 

  20. Jiang K, Lu Q, Li Q, Ji Y, Chen W, Xue X. Astragaloside IV inhibits breast cancer cell invasion by suppressing Vav3 mediated Rac1/MAPK signaling. Int Immunopharmacol 2017;42:195-202. 

  21. Bang SH, Kwon KR, Yoo HS. Two cases of Non-Small Lung Cancer Treated with Intravenous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ramacopuncture 2008;11(2):13-9. 

  22. Cho BJ, Kwon KR. Proposal of Self Targeting Therapy of Mountain Ginseng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ramacopuncture 2011;14(2):75-80. 

  23. Lee KK, Kim JY, Jung JH, Park JY, Park HY. Clinicopathological Feature and Recurrence Pattern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J Korean Surg Soc 2010;79(1):14-9. 

  24. Han SA, Jang BH, Hwang DS, Suh HS. Experiences of Treatment-Related Side Effects and Supportive Care with Korean Medicin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 A Focus Group Study. J Korean Obstet Gynecol 2017;30(1):85-94. 

  25. Greenlee H, Balneaves LG, Carlson LE, Cohen M, Deng G, Hershman 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use of integrative therapies a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treated for breast cancer. J Natl Cancer Inst Monogr 2014;50:34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