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미도홍사물탕 약욕요법 이후 호전된 항암화학요법 유발 수족증후군 1례
A Case Report of Chemotherapy-Induced Hand-Foot Syndrome Treated with Modified Dohongsamul-tang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9 no.2, 2018년, pp.259 - 267  

한가진 (소람한방병원) ,  장명웅 (소람한방병원) ,  성신 (소람한방병원) ,  김성수 (소람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d-foot syndrome (HFS) frequently occurs after receiving chemotherapy, such as sorafenib,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nd this impairs quality of life (QOL). The prevalence of HFS due to sorafenib is 10-28%. The effective methods to treat HFS are not established aside from 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무작위대조군 임상시험의 결과에 따르면 가미도홍사물탕은 pyridoxine과 비교하여 수족증후군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높였다3.이에 본 증례에서는 선행연구에 착안하여 가미도홍사물탕 약욕요법(藥浴療法)을 적용한 결과, 간세포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발생한 수족증후군 증상이 항암화학치료가 지속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증례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어혈을 없애는 한약을 경구로 투여하지 않고 외치법의 한 형태인 약욕요법으로 시행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외치법은 내치법에 상대되는 영역으로, 병소에 화학적·물리적 작용을 가하여 효과를 얻는 치료법이다20.
  • 0~10점까지 숫자 통증 등급을 활용하여 통증 없음(0), 경도(1~4),중간 정도(5~6), 심함(7~10)으로 구분하여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본 증례에서는 주 증상인 수족증후군의 통증에 대해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족증후군의 특성은 무엇인가? 수족증후군은 손발바닥 홍반성 감각이상(palmarplantar erythrodysesthesia)라고도 불리는데, capecitabine,sorafenib, gefitinib과 같은 항암제 사용 후에 사지선단부에 동통을 동반한 홍반성 병변이 발생하는 국소 피부반응이다1. 발생률은 대략 7.
수족증후군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발생률은 대략 7.3%-63%인데2, 최근 capecitabine, fluorouracil, sorafenib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수족증후군의 발생률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3.
수족증후군이 손과 발에 발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족증후군의 기전은 약제의 혈중 농도와 피부 발진의 정도의 상관관계로 미루어 볼 때 표피 세포에 대한 항암제의 직접적인 독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히 입증된 바가 없다. 또한 손, 발바닥이 각질층이 두껍고, 피지선과 모낭이 없으며, 땀샘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이 부위에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처럼 발생기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원인으로 추정되는 항암제 사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조절하거나, 대증치료를 하는 것 외에는 수족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ushullaih S, Saad ED, Munsell M, Hoff PM. Incidence and severity of hand-foot syndrom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a single-institution experience. Cancer Invest 2002; 20(1):3-10. 

  2. Amy SC, Linda TV. Chemotherapy-induced palmar-plantar erythrodysesthesia syndrome: etiology and emerging therapies. Support Cancer Therapy 2004;1(4):213-8. 

  3. Zhao C, Chen J, Yu B, Wu X, Dai C, Zhou C, et al. Effect of modified taohongsiwu decoction on patients with chemotherapy-induced hand-foot syndrome. J Tradit Chin Med 2014;34(1):10-4. 

  4. Nagore E, Insa A, Sanmartin O. Antineoplastic therapy-induced palmar plantar erythrodysesthesia ('hand-foot') syndrome. Incidence, recognition and management. Am J Clin Dermatol 2000; 1(4):225-34. 

  5. Baack BR, Burgdorf WH. Chemotherapy-induced acral erythema. J Am Acad Dermatol 1991;24(3) :457-61. 

  6. Azuma Y, Hata K, Sai K, Udagawa R, Hirakawa A, Tohkin M, et al.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and-foot syndrome and efficacy of capecitabin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Biol Pharm Bull 2012;35(5):717-24. 

  7. Wehler TC, Cao Y, Galle PR, Theobald M, Moehler M, Schimanski CC. Combination therapies with oxaliplatin and oral capecitabine or intravenous 5-FU show similar toxicity profiles in gastrointestinal carcinoma patients if hand-food syndrome prophylaxis is performed continuously. Oncol Lett 2012;3(6) :1191-4. 

  8. von Gruenigen V, Frasure H, Fusco N, DeBernardo R, Eldermire E, Eaton S, et al.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of pyridoxine versus placebo for the prevention of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related hand-foot syndrome in gynecologic oncology patients. Cancer 2010;116(20):4735-43. 

  9. Wolf SL, Qin R, Menon SP, Rowland KM Jr, Thomas S, Delaune R, et al. Placebo-controlled trial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urea/lactic acid-based topical keratolytic agent for prevention of capecitabine-induced Hand-Foot Syndrome: North central cancer treatment group study N05C5. J Clin Oncol 2010;28(35):5182-7. 

  10.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CTCAE) v.4.0, 2010. Available at http://evs.nci.nih.gov/ftp1/CTCAE/About.html) 

  11. McGlynn KA, Petrick JL, London WT. Global epidemiolog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 emphasis on demographic and regional variability. Clin Liver Dis 2015;19(2):223-38. 

  12. Grandinetti CA, Goldspiel BR. Sorafenib and sunitinib: novel targeted therapies for renal cell cancer. Pharmacotherapy 2007;27(8):1125-44. 

  13. Gridelli C, Maione P, Del Gaizo F, Colantuoni G, Guerriero C, Ferrara C, et al. Sorafenib and sunitinib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Oncologist 2007;12(2):191-200. 

  14. Llovet JM, Ricci S, Mazzaferro V, Hilgard P, Gane E, Blanc JF, et al. Sorafenib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N Engl J Med 2008; 359(4):378-90. 

  15. Lipworth AD, Robert C, Zhu AX. Hand-foot syndrome (hand-foot skin reaction, palmar-plantar erythrodysesthesia): focus on sorafenib and sunitinib. Oncology 2009;77(4):257-71. 

  16. Oh G. Golden Mirror of Medicine. Seoul: Daesungmoonhwasa; 1983, p. 443. 

  17. Korean medicine pathological association.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Seoul: Iljoongsa; 1998, p. 153, 165. 

  18. Korean Herbological Association. Herbology. Seoul: Younglimsa; 1992, p. 124-5, 193-6, 302-4, 334-5, 401-2, 409-10, 412-4, 423-6, 578-83. 

  19. Cho DI, Kim HS. The literature review for prescription of static blood. Daeje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Research Institute 1997;5(2) :265-79. 

  20.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tmatology. 3rd ed. Seoul: RyoMoonGak; 1994, p. 548. 

  21. Jo SJ, ChoI YD, Jang JT, Kim KS, Lee SD.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Topical Herbal Gel Treatment for Chronic Shoulder Pain. The Acupuncture 2014;31(4):1-9. 

  22. Moon WS, Lee BW, Ahn SW, Kim EH.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External Treatment theories and diseases for which medicine is efficacious.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4;10(2):1-21. 

  23. Wang L, Jiao ZM, Li P.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ternal and external wash treatment for eight cases hand-foot syndrome caused by capecitabine. Zhong Yi Yan Jiu 2006;19(4):41-3. 

  24. Cho YL, Jung HW.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DST) on immune-system in L1210 cells-transplanted mice. JPPKM 1999;13(1):132-40. 

  25. Yoo BS, Jung JE, Park JY, Yoon JM, Lee I, Moon BS. Protective Effects of Dohongsamul-tang on Zinc-mediated Cytotoxicity in H9c2 Cardiomyoblast Cells. JPPKM 2004;18(5): 1374-81. 

  26. Yook HS, Ahn SY, Doo HG. The Effects Of Geumguesingitang And Dohongsamultang On Rats With Nephrosis Induced By Puromycin Aminonucleoside. Journal of Korean Medicine 1997;18(2):283-315. 

  27. Shin DC, Kim YG. The Study on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and Dansameum on Restrain of Thorombus Formation. Korean J Orient Int Med 1995;16(2):13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