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화기암 수술 후 위장관 운동성 개선을 위한 대건중탕의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Research on Daegunjoong-tang for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after Surgery for Gastrointestinal Cancer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8 no.6, 2017년, pp.980 - 999  

한가진 (소람한의약연구소) ,  성신 (소람한방병원) ,  김성수 (소람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aegunjoong-tang for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after surgery due to gastrointestinal cancer by analyzing the existing clinical research. Methods: Clinical studies about Daegunjoong-tang for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실제 소화기암 수술 후 위장관 운동성 개선을 위해 대건중탕을 사용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대건중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설계를 분석하여, 추후 임상연구설계에도 활용하고자 하였다.
  • 실제 한의임상현장에서 암환자의 위장관 수술이후 저하된 위장관 운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대건중 탕을 다빈도로 사용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시행되었다. 이에 2000년 이후에 수행된, 위장관 수술이후에 대건중탕을 투여한 임상연구 논문들을 분석,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암 환자의 수술 후 위장관 운동성 개선을 위한 대건중탕의 효과를 탐색한 기존 임상 연구를 분석했다. 실제 임상현장에서 많은 암환자들이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한의의료기관에 내원한다.
  • 90년대초 이후 근거중심의학(evidence based medicine, EBM)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나 근거가 될 만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은 매우 아쉬운 점이다. 이에 저자는 실제 소화기암 수술 후 위장관 운동성 개선을 위해 대건중탕을 사용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대건중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설계를 분석하여, 추후 임상연구설계에도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화기암이란 무엇인가? 소화기암이란 위암, 대장암, 직장암, 간암, 담도암, 췌장암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인체내에서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장기에 발생하는 암이다1. 소화기암은 국내암발생률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국내 암발생률에 따르면 소화기암들은 어떠한 순위를 가지는가? 소화기암은 국내암발생률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2014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위암은 국내에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한 암이며, 대장암은 3위, 간암은 6위, 췌장암은 8위, 담낭 및 기타 담도암은 9위로, 대부분 유병률 10위권 이내에 분포하고 있다2.
대건중탕은 어떠한 약재들로 구성되었는가? 이러한 수술후 위장관 운동성저하로 인한 마비성 장폐쇄에 한의임상에서는 대건중탕을 많이 사용해왔다. 대건중탕은 후한시대 장중경이 저작한≪금궤요략≫에 처음 수록된 처방으로, 촉초, 건강, 인삼, 교이로 구성되어 있다9. 건강과 인삼을 합하여 理中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방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S Kim. Symptom Cluster and the Relationship of Performance Status,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Interference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Gastric, Colorectal, Liver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5):2571-87.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2014. 

  3. Choi KJ, Min BC. The operationfor gastrointestinal cancer.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976;8(2):11-6. 

  4. Katsuno H, Maeda K, Ohya M, Yoshioka K, Tsunoda A, Koda K, et al.Clinical pharmacology of daikenchuto assessed by transit analysis using radiopaque markers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undergoing open surgery: a multicenter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JFMC39-0902 additional study). J Gastroenterol 2016;51(3):222-9. 

  5. Akamaru Y, Takahashi T, Nishida T, Omori T, Nishikawa K, Mikata S, et al. Effects of daikenchuto, a Japanese herb, on intestinal motility after total gastr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J Gastrointest Surg 2015;19(3):467-72. 

  6. Kehlet H, Holte K. Review of postoperative ileus. Am J Surg 2001;182(5A Suppl):3S-10S. 

  7. Lubawski J, Saclarides T. Postoperative ileus: strategies for reduction. Ther Clin Risk Manag 2008;4(5):913-7. 

  8. Jung SY, Chae HD, Kang UR, Kwak MA, Kim IH. Effect of Acupuncture on Postoperative Ileus after Dis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Journal of gastric cancer 2017;17(1):11-20. 

  9. Lee KK.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9, p. 253-6. 

  10. Lee SI, KimDG, Noh SH, Park SD, Lee YJ, Joo YS, et al. Prescriptions. Seoul: Younglimsa; 1990, p. 149-50. 

  11. Hayakawa T, Kase Y, Saito K, Hashimoto K, Ishige A, Komatsu Y, et al. Effects of Dai-kenchu-to on intestinal obstruction following laparotomy. J Smooth Muscle Res 1999;35:47-54. 

  12. Kono T, Omiya Y, Hira Y, Kaneko A, Chiba S, Suzuki T, et al. Daikenchuto (TU-100) ameliorates colon microvascular dysfunction via endogenous adrenomedullin in Crohn's disease rat model. J Gastroenterol 2011;46(10):1187-96. 

  13. Kono T, Koseki T, Chiba S, Ebisawa Y, Chisato N, Iwamoto J, et al. Colonic vascular conductance increased by Daikenchuto via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and receptor-activity modifying protein 1. J Surg Res 2008;150(1):78-84. 

  14. Yamada T, Matsumoto S, Matsuda MKA, Shinji S, Yokoyama Y, Takahashi G. The effect of Daikenchuto on postoperative intestinal motility in patients with right-side colon cancer. Surg Today 2017;47(7):865-71. 

  15. Manabe N, Camilleri M, Rao A, Wong BS, Burton D, Busciglio I, et al. Effect of daikenchuto (TU-100) on gastrointestinal and colonic transit in human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0; 298(6):G970-5. 

  16.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 5.1.0 [updated Mar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17. Hoshino N, Kawada K, Hida K, Wada T, Takahashi R, Yoshitomi M, et al. Effect of Daikenchuto (TJ-100) on gastrointestinal symptoms following laparoscopic colectomy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2017 Nov 21;18(1):553. 

  18. Katsuno H, Maeda K, Kaiho T, Kunieda K, Funahashi K, Sakamoto J, et al. Clinical efficacy of Daikenchuto for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following colon surgery: a randomized, double-blind, multicenter, placebo-controlled study (JFMC39-0902). Jpn J Clin Oncol 2015;45(7):650-6. 

  19. Yoshikawa K, Shimada M, Wakabayashi G, Ishida K, Kaiho T, Kitagawa Y, et al. Effect of Daikenchuto a Traditional Japanese Herbal Medicine, after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II Trial. J Am Coll Surg 2015;221(2):571-8. 

  20. Endo S, Nishida T, Nishikawa K, Nakajima K, Hasegawa J, Kitagawa T, et al. Dai-kenchu-to, a Chinese herbal medicine, improves stasis of patients with total gastrectomy and jejunal pouch interposition. Am J Surg 2006;192(1):9-13. 

  21. Okada K, Kawai M, Hirono S, Fujii T, Kodera Y, Sho M,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daikenchuto (TJ-100) for the prevention of paralytic ileus after pancreaticoduodenectomy: A multicenter,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Surgery 2016;159(5):1333-41. 

  22. Shimada M, Morine Y, Nagano H, Hatano E, Kaiho T, Miyazaki M, et al. Effect of TU-100, a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administered after hepatic resection in patients with liver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I trial (JFMC40-1001). Int J Clin Oncol 2015;20(1):95-104. 

  23. Sato Y, Katagiri F, Inoue S, Itoh H, Takeyama M. Dai-kenchu-to raises levels of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and substance P in human plasma. Biol Pharm Bull 2004;27(11):1875-7. 

  24. Kono T, Kaneko A, Omiya Y, Ohbuchi K, Ohno N, Yamamoto M. Epitheli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ankyrin 1 (TRPA1)-dependent adrenomedullin upregulates blood flow in rat small intestine.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3; 304(4):G428-36. 

  25. Mochiki E, Yanai M, Ohno T, Kuwano H. The effect of traditional Japanese medicine (Kampo) on gastrointestinal function. Surg Today 2010; 40(12):1105-11. 

  26. Shibata C, Sasaki I, Naito H, Ueno T, Matsuno S. The herbal medicine Dai-Kenchu-Tou stimulates upper gut motility through cholinergic and 5-hydroxytryptamine 3 receptors in conscious dogs. Surgery 1999;126(5):918-24. 

  27. Lee NH, Cho JH, Son CG, Yoo HS, Lee YW, Yoon DH, et al. Analysis of Studies o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ancer Types and Symptoms.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3):555-60. 

  28. Lee EH, Park HB, Kim MW, Kang SH, Lee HJ, Lee WH, et al.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Published in Korea. Radiat Oncol J 2002;29(4):359-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