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oot Function Index와 Foot and Ankle Outcome Score의 기입방법 연구: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기입 방법과 전자기기를 이용한 두 가지 측정방법에 대한 일치도 비교
The Methods for Foot Function Index and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Measurement: A Comparison between Paper-and-Pencil Method and Electronic Method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1 no.1, 2017년, pp.33 - 38  

김지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권민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김정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이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이우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하정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  장석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서울족부센터,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 (PROM) is used to quantify the subjective state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electronic method was recently developed and used for the completion of PROM,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aper and pencil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 선정의 기준을1) 실제 족부족관절 영역에 특화되어 있으면서 임상 연구에서 많이 쓰이는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2) 문화적 요소를 감안하여 영문에서 한글로 번역된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이 조사한 결과, 2013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에 발표된 족부족관절 영역에 연관된 치료의 결과를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를 이용하여 발표한 논문은 32편이었다.
  • 정형외과 족부족관절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인 Foot Function Index (FFI)와 Foot and AnkleOutcome Score (FAOS) 안에서,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기입방법과 전자기기를 이용한 기입방법 간에 결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1) FFI와 FAOS를 수집할 때 종이와 연필 기입방법과 전자기기를 이용한 기입방법간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2) FFI와 FAOS를 수집할 때 종이와 연필 기입방법과 전자기기를 이용한 기입방법에서 걸리는 시간과 환자의 기입방법 선호도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로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기입방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이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는 전통적으로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기입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구의 결과를 계산하고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대단위 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3) 전통적인 종이와 연필을 이용한 기입방법 외에,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환자 성과 보고 수집도구를 기입하는 방법이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FFI와 FAOS는 무엇인가? FFI와 FAOS는 영문으로 제작되고 검증된 환자 성과 보고 수집 도구이다. 따라서 이를 한글화하여 사용할 때에는 문화적 요소를 감안하여 적절한 과정을 거쳐서 한글로 번역된 결과물로 시행해야 한다.
이학적 검진 결과와 방사선 검사 결과로 측정 하는 것은 어떠한 이유때문에 쉽게 이용되고 있는가? 치료의 효과는 크게 객관적인 효과와 주관적인 효과로 나뉘게 된다. 치료의 객관적인 효과는 이학적 검진 결과와 방사선 검사 결과로 측정 하는 것이 대표적인데, 이는 수치화하기 편하며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쉽게 이용되고 있다. 치료의 주관적인 효과는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와 환자의 기능 호전 여부로 대표되는데, 이는 치료의 객관적인 효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치료의 주관적인 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eshpande PR, Rajan S, Sudeepthi BL, Abdul Nazir CP. Patientreported outcomes: a new era in clinical research. Perspect Clin Res. 2011;2:137-44. 

  2. Button G, Pinney S. A meta-analysis of outcome rating scales in foot and ankle surgery: is there a valid, reliable, and responsive system? Foot Ankle Int. 2004;25:521-5. 

  3. Boyce MB, Browne JP, Greenhalgh J. The experiences of professionals with using information from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BMJ Qual Saf. 2014;23:508-18. 

  4. Lane SJ, Heddle NM, Arnold E, Walker I. A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hand held computers with paper methods for data collection. BMC Med Inform Decis Mak. 2006;6:23. 

  5. Hung M, Franklin JD, Hon SD, Cheng C, Conrad J, Saltzman CL. Time for a paradigm shift with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of general physical function outcomes measurements. Foot Ankle Int. 2014;35:1-7. 

  6. Gershon RC, Rothrock N, Hanrahan R, Bass M, Cella D. The use of PROMIS and assessment center to deliver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in clinical research. J Appl Meas. 2010;11:304-14. 

  7. Yaffe M, Goyal N, Kokmeyer D, Merrell GA. The use of an iPad to collect patient-reported functional outcome measures in hand surgery. Hand (N Y). 2015;10:522-8. 

  8. Lee KM, Chung CY, Kwon SS, Sung KH, Lee SY, Won SH, et al. Transcultural adaptation and testi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Clin Rheumatol. 2013;32:1443-50. 

  9. Rosner B. Fundamentals of biostatistics. 7th ed. Boston: Brooks/Cole; 2011. 

  10. Budiman-Mak E, Conrad KJ, Roach KE. The foot function index: a measure of foot pain and disability. J Clin Epidemiol. 1991;44:561-70. 

  11. SooHoo NF, Samimi DB, Vyas RM, Botzler T.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he Foot Function Index in measuring outcomes in patients with foot and ankle disorders. Foot Ankle Int. 2006;27:38-42. 

  12. Deyo RA, Andersson G, Bombardier C, Cherkin DC, Keller RB, Lee CK, et al. Outcome measures for studying patients with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94;19(18 Suppl):2032S-6S. 

  13. Dawson J, Fitzpatrick R, Carr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s of patients about shoulder surgery. J Bone Joint Surg Br. 1996;78:593-6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