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의 세 가지 수술적 치료법의 임상 결과에 대한 비교: 관혈적 봉합술, 경피적 봉합술, 아킬론을 이용한 최소절개 봉합술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Outcome of Three Surgical Techniques in the Achilles Tendon Rupture: Open Repair, Percutaneous Repair, and Minimal Incision Repair by Achillon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2 no.2, 2018년, pp.68 - 73  

박원석 (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명진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강정모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승엽 (동아대학교병원 정형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open repair, percutaneous repair, and minimal incision repair by Achillon in ruptured Achilles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The outcomes of 12 patients with open repair (group 1), 8 patients with percutaneous repair (group 2), and 10 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아킬레스건 파열에 대해 기본적인 수술 기법인 관혈적 및 경피적 봉합술과 아킬론을 이용한 최소 절개 봉합술을 시행하여 얻은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아킬레스건 파열에서 최적의 수술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 하나인 관혈적 봉합술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6-8) 수술적 치료로는 관혈적 봉합술, 경피적 봉합술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 들어 이에 대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최소 절개 및 관절경을 이용한 변형된 술식이 보고되고 있다. 9-11) 관혈적 봉합술은 수술 후 재파열 빈도가 약 2%로 낮은 편이지만, 12)감염이나 유착, 수술 부위 혈종 형성, 건 주위의 혈행 감소 등 다른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5,7,12) 경피적 봉합술은 이러한 관혈적 봉합술의 높은 감염과 상처 부위 합병증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감염과 상처 부위 합병증을 줄이고 건 내부의 혈행 감소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은 무엇인가? 아킬레스건 파열은 30∼40대 남성에서 흔히 발생하며, 스포츠 및 레저 인구의 증가로 그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1,2)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3,4) 파열의 78%는 스포츠 활동중 갑작스러운 가속이나 감속 시 발생한다고 한다. 3,5) 치료는 아직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수술적 건 봉합술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관혈적 봉합술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6-8) 수술적 치료로는 관혈적 봉합술, 경피적 봉합술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 들어 이에 대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최소 절개 및 관절경을 이용한 변형된 술식이 보고되고 있다. 9-11) 관혈적 봉합술은 수술 후 재파열 빈도가 약 2%로 낮은 편이지만, 12)감염이나 유착, 수술 부위 혈종 형성, 건 주위의 혈행 감소 등 다른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5,7,12) 경피적 봉합술은 이러한 관혈적 봉합술의 높은 감염과 상처 부위 합병증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감염과 상처 부위 합병증을 줄이고 건 내부의 혈행 감소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aikin SM, Garras DN, Krapchev PV. Achilles tendon injuries in a United States population. Foot Ankle Int. 2013;34:475-80. 

  2. Jung HG, Paik HD. Surgical repair of Achilles tendon rupture by minimal incision technique. J Korean Foot Ankle Soc. 2005;9:173-8. 

  3. Deangelis JP, Wilson KM, Cox CL, Diamond AB, Thomson AB. Achilles tendon rupture in athletes. J Surg Orthop Adv. 2009;18:115-21. 

  4. Azar FM. Rupture of muscles and tendons. Achilles tendon injuries. In: Campbell WC, Canale ST, Beaty JH, editors. Campbell's operative orthopaedics, Vol 3. 11th ed. Philadelphia: Mosby/Elsevier; 2008. p.2748-53. 

  5. Cretnik A, Kosanovic M, Smrkolj V. Percutaneous suturing of the ruptured Achilles tendon under local anesthesia. J Foot Ankle Surg. 2004;43:72-81. 

  6. Jeon TS, Kim SB, Jung WY, Heo YM, Park CY. Percutaneous repair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s. J Korean Orthop Assoc. 2009;44:661-7. 

  7. Cetti R, Christensen SE, Ejsted R, Jensen NM, Jorgensen U. Operative versus nonoperative treatment of Achilles tendon ruptur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Sports Med. 1993;21:791-9. 

  8. Maffulli N. Rupture of the Achilles tendon. J Bone Joint Surg Am. 1999;81:1019-36. 

  9. Mukundan C, El Husseiny M, Rayan F, Salim J, Budgen A. "Miniopen" repair of acute tendo Achilles ruptures--the solution? Foot Ankle Surg. 2010;16:122-5. 

  10. Fortis AP, Dimas A, Lamprakis AA. Repair of Achilles tendon rupture under endoscopic control. Arthroscopy. 2008;24:683-8. 

  11. Tang KL, Thermann H, Dai G, Chen GX, Guo L, Yang L. Arthroscopically assisted percutaneous repair of fresh closed Achilles tendon rupture by Kessler's suture. Am J Sports Med. 2007;35:589-96. 

  12. Khan RJ, Fick D, Keogh A, Crawford J, Brammar T, Parker M. Treatment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Bone Joint Surg Am. 2005;87:2202-10. 

  13. Ahmed IM, Lagopoulos M, McConnell P, Soames RW, Sefton GK. Blood supply of the Achilles tendon. J Orthop Res. 1998;16:591-6. 

  14. Bradley JP, Tibone JE.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repairs of Achilles tendon ruptures. A comparative study. Am J Sports Med. 1990;18:188-95. 

  15. Lim J, Dalal R, Waseem M. Percutaneous vs. open repair of the ruptured Achilles tendon--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Foot Ankle Int. 2001;22:559-68. 

  16. Ma GW, Griffith TG. Percutaneous repair of acute closed ruptured Achilles tendon: a new technique. Clin Orthop Relat Res. 1977;(128):247-55. 

  17. Sutherland A, Maffulli N. A modified technique of percutaneous repair of ruptured Achilles tendon. Orthop Traumatol. 1999;7:288-95. 

  18. Assal M, Jung M, Stern R, Rippstein P, Delmi M, Hoffmeyer P. Limited open repair of Achilles tendon ruptures: a technique with a new instrument and finding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02;84:161-70. 

  19. Rebeccato A, Santini S, Salmaso G, Nogarin L. Repair of the Achilles tendon rupture: a functional comparison of three surgical techniques. J Foot Ankle Surg. 2001;40:188-94. 

  20. Rippstein PF, Jung M, Assal M. Surgical repair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 using a "mini-open" technique. Foot Ankle Clin. 2002;7:611-9. 

  21. Kitaoka HB, Alexander IJ, Adelaar RS, Nunley JA, Myerson MS, Sanders M. Clinical rating systems for the ankle-hindfoot, midfoot, hallux, and lesser toes. Foot Ankle Int. 1994;15:349-53. 

  22. Arner O, Lindholm A. Subcutaneous rupture of the Achilles tendon; a study of 92 cases. Acta Chir Scand Suppl. 1959;116(Suppl 239):1-51. 

  23. Soroceanu A, Sidhwa F, Aarabi S, Kaufman A, Glazebrook M. Surgical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J Bone Joint Surg Am. 2012;94:2136-43. 

  24. Willits K, Amendola A, Bryant D, Mohtadi NG, Giffin JR, Fowler P, et al. Operative versus nonoperative treatment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s: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using accelerated functional rehabilitation. J Bone Joint Surg Am. 2010;92:2767-75. 

  25. Chiodo CP, Glazebrook M, Bluman EM, Cohen BE, Femino JE, Giza E,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 J Am Acad Orthop Surg. 2010;18:503-10. 

  26. Saxena A, Maffulli N, Nguyen A, Li A. Wound complications from surgeries pertaining to the Achilles tendon: an analysis of 219 surgeries. J Am Podiatr Med Assoc. 2008;98:95-101. 

  27. Kosanovic M, Cretnik A, Batista M. Subcutaneous suturing of the ruptured Achilles tendon under local anaesthesia. Arch Orthop Trauma Surg. 1994;113:177-9. 

  28. Huffard B, O'Loughlin PF, Wright T, Deland J, Kennedy JG. Achilles tendon repair: Achillon system vs. Krackow suture: an anatomic in vitro biomechanical study.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8;23:1158-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