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order to find out the whitening effects of Leonuri Herb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and the action mechanism of LHE(Leonuri Herba extract) on Malignant melanoma cell lines. Methods : After treating LHE on the B16F10 cell-Malignant melanoma cell line-, the cel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결과로 익모초 추출물 250㎍/㎖을 처리함으로써 악성 흑색종 세포의 사멸에 유의하게 반응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로써 익모초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도 관여하여 자외선이나 호르몬 변화에 의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리하여 본 저자는 LHE 250㎍/㎖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活血調經, 利水消腫, 祛瘀生新 효능이 있고, 많은 연구에서 항산화효능이 보고된 익모초가 미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리하여 익모초가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 cell에 미치는 미백 효능과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 세포생존율, 멜라닌 생합성률, tyrosinase 활성률, tyrosinase mRNA 유전자 발현도,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도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저자는 익모초 추출물(Leonuri Herba Extracts, LHE)이 악성 흑색종 세포주에 미치는 미백 효능과 그 작용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악성 흑색종 세포주의 생존율과 멜라닌 생합성률,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활성과 미백에 관여하는 작용 기전 중 항산화성 물질인 SOD 유사활성, 그리고 tyrosinase mRNA 유전자 발현도를 관찰하였다.
  •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었으나 멜라닌 및 tyrosinase억제와 관련한 미백효과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活血調經, 利水消腫, 祛瘀生新 효능이 있고, 많은 연구에서 항산화효능이 보고된 익모초가 미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리하여 익모초가 악성 흑색종 세포주인 B16F10 cell에 미치는 미백 효능과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B16F10 세포생존율, 멜라닌 생합성률, tyrosinase 활성률, tyrosinase mRNA 유전자 발현도,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도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색 결정에 가장 큰 공헌을 하는 요소는? 피부색 결정에 가장 큰 공헌을 하는 요소는 멜라닌 색소량으로 1) 멜라닌은 단백질의 일종인 tyrosine이 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여러 물질로 대사되는 과정을 거쳐 합성된다 2) .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세포손상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성 3) 되기 때문에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 되면 멜라닌은 표피에 침착되어 기미 등의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4) .
익모초(Leonuri Herba)의 효능은? 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性은 微寒하고 味는 苦辛하다 5) .익모초는 血行을 좋게 하고, 瘀血 제거, 水毒을 해독 하는 효능이 있어 月經不調, 小便不利, 水腫 뿐만 아니라 瘡癰腫毒, 痒疹등의 피부병증 또한 치료한다 6) .
멜라닌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피부색 결정에 가장 큰 공헌을 하는 요소는 멜라닌 색소량으로 1) 멜라닌은 단백질의 일종인 tyrosine이 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여러 물질로 대사되는 과정을 거쳐 합성된다 2) .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세포손상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성 3) 되기 때문에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 되면 멜라닌은 표피에 침착되어 기미 등의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4)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ang WH. Atlas of skin disease. Seoul:Hanmi medical publishing. 2016:265. 

  2. Imayama S, Miyachi Y, Matsunaga K, Utsugi R. Scientific skin care. Seoul:Dae-Young publishing. 2009:32-5. 

  3. Wang KH, Lin RD, Hsu FL, Huang YH, Chang HC, Huang CY, et al.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6;106(3):353-9. 

  4.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80;75(1):122-6. 

  5.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ational University of Korean medicine. Herbalogy. Seoul:Yeong-Lim publishing. 2010:460-1. 

  6. Sh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Yeong-Lim Publishing. 1986:355-6. 

  7. Kim J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enonuri Herba Extracts. University of Jungang. 2005. 

  8. Kim TY, Jang SA, Chae YB, Park JP.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Leonurus sibiricus L Extract on Ultraviolet B(UVB)-induced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16;29(1):11-9. 

  9. Cho YK. The Development of Anti-wrinkle Cosmeceutical Ingredients from Leonuri Herba Extrat. University of Jungang. 2011. 

  10. Baek JH.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Leonuri Herba. University of Kyunghee. 2007. 

  11. Park SC, Na HM, Bae YH, Zhou J, Na CS, Kim JS. Effect of Leonurus sibiricus on Uterine Activity. Journal of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1996;19(4):245-50. 

  12. Seo HJ, Kook HS, Lee MY. Effecrs of Leonurus sibiricus extract on experimentally induced liver damage and alloxan diabetes in Rabb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987;16(1):22-8. 

  13. Lee SJ, Baek SH, Kim DC. The effect of Leonurus sibiricus on the proliferation inhibition of human uterine Leiomyoma cell and expression of gene related cell apoptosis.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6;19(3):1-12. 

  14.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earch. 1985;45(4):1474-8. 

  15. Yagi A, Kanbara T, Morinobu N. The effects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1986;53(6):517-9. 

  16. Martinez-Esparza M, Jimenez-Cervantes C, Solano F, Lozano JA, Garcia-Borron JC.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988;255(1):139-46. 

  17.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1974;47(3):468-74. 

  18. Kim SH, Jung H, Shin YC, Ko SG. Research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for Anti-aging, Inhibition Effect of Wrinkle and Whitening Effect in the Ski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8;22(3):691-8. 

  19. Sulaimon S, Kitchell B. The Biology of Melanocytes. Veterinary Dermatology. 2003;14(2):57-65. 

  20.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80;75(1):122-6. 

  21. Shin YS, Roh SS. A literatual study on the causes and treatments of the melasma.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1998;11(1):82-98. 

  22.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Dermatology & Surgery. Oriental Medical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 publishing. 2007: 458-60. 

  23. Lee SH. Depigmenting activity of mapoongko and ephedrae herba. University of Kyunghee. 2001. 

  24. Kim SK. Studies on the whitening effect test of Sabaeck-san. University of Kyunghee. 2000. 

  25. Park HS, Kim HJ, Kim YB.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Kamigyubi-tang.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4;17(2):48-58. 

  26. Lee SE, Kim HJ, Kim YB.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Kamibangpoongtongsung- 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2004;17(1):94-103. 

  27. Park YI. The Effects of Modified Yeonryeonggobondan Preparat on Skin Care. University of Sangji. 2007. 

  28. Kim JK, Yoo DY.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gagambang, YMG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9;22(3):66-82. 

  29. An TEB, Kim DC. In Vitro Cytotoxicity,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In Vivo Skin Moisturizing Effects of Oncheongeum.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16;29(1):14-34. 

  30. Kwak JH, Kim YH, Jang HR, Park CW, Han YH.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KSBB Journal. 2004;19(6):437-40. 

  31. Yoo YK, Jung MS, Choi JW, Kim JH.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phedra sinica Extract.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005;31(2):153-9. 

  32. Jung HS. Effects of Dictamni Radicis Cortex extracts on skin whitening. University of Wonkwang. 2016. 

  33. Jeon SH, Lim MH. The effect of Baeckji, Seasin, Baeckgangjam and Myunkanbang on skin-whitening.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011;28(2):161-9. 

  34. Choi JH, Park SY, Kim JH, Jeong MY. Effects of Lycii Fructus Extracts(LFE) on Skin whitening and Elasticity using Melanoma cells. J Korean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1):58-67. 

  35. Heo Jun. Sinjeungbo daeyeok Donguibogam. Seoul:Bup-in publishing. 2012:600. 

  36. Chen Q, Fischer A, Reagan JD, Yan LJ, Ames BN. Oxidative DNA damage and senescence of human diploid fibroblast cel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1995;92(10):4337-41. 

  37. Won YH, Hur SG, Lee SC, Chunn IK, Kim YP.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study of malignant melanoma(1980-1990).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1991;29(2):193-202. 

  38. Liu TH, Beckman JS, Freeman BA, Hogan EL, Hsu CY. Polyethylene glycol-conjugated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reduce ischemic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1990;256(2):H589-93. 

  39. Mavelli L, Ciriolo MR, Rotilio G, De Sole P, Castorino M, Stabile A.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in oxidative hemolysis. A study of Fanconi's anemia erythrocyt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982;106(2):286-90. 

  40. Kitani K, Minami C, Y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2;959(1):295-3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