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Symptoms of the Postpartum Wome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Six Weeks after Childbirth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4, 2017년, pp.114 - 134  

김평화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  김안나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장현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은희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including their weights, edema index and quality of life (QOL)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1 postpartum women treated in the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는 2016년 5월 20일부터 2016년 8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 치료를 받은 3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전향적 증상 관찰연구를 시행하여, 증상을 수집하고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산후 여성의 삶의 질 변화를 조사 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한의치료를 받은 산모의 산후 6주에 걸친 제반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를 함으로써, 산욕기 전 기간의 산후 증상 수집, 경과관찰, 변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산후 6주의 산욕기에 걸쳐 1주일 단위로 산모의 증상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였고, 본 연구가 한의약적 산후관리 대상의 산후 증상 자연경과와 변화 요인 파악, 산후 문진 기술 및 증상 체크리스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란? 산욕기는 산모의 신체 회복과 모성으로의 역할 변화 등 신체와 심리의 재통합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로, 분만 후 첫 6주를 말한다1,2). ≪金匱要略≫3)에서는 산후 7일에서 1개월 이내를 新産後라 하여 이 시기의 관리를 강조하였으며, 한국 사회에서는 초기 산욕 기간을 산모가 타인의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관리를 받는 중요한 기간으로 여긴다4).
金匱要略에는 산욕기에 대해 어떻게 쓰여있는가? 산욕기는 산모의 신체 회복과 모성으로의 역할 변화 등 신체와 심리의 재통합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로, 분만 후 첫 6주를 말한다1,2). ≪金匱要略≫3)에서는 산후 7일에서 1개월 이내를 新産後라 하여 이 시기의 관리를 강조하였으며, 한국 사회에서는 초기 산욕 기간을 산모가 타인의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관리를 받는 중요한 기간으로 여긴다4).
한의치료를 받은 31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산후 6주 간의 증상 관찰연구 결과 어떠한 결론을 얻었는가? 1. 산후 6주 간 고빈도(평균 발생빈도 1.0회 이상)로 산모가 호소하였던 증상 11가지는 상지관절통, 부종, 요통(골반통 포함), 경항부통, 유방증상, 하지관절통, 발한, 대변관련증상(변비, 설사, 치질 포함), 절개부위통, 피부질환, 수면장애 순 이었다. 2. 출산 후 첫 1주간, 11가지 고빈도 증상 중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했던 증상은 부종으로 발생빈도의 비율이 30.41%이었다. 2주차에 상지관절통이 18.83%로 가장 호소가 많았고, 그 다음이 요통(골반통 포함) 17.53%, 부종 17.21%, 경항부통 16.56% 순이었다. 3. 출산 후 3주차⋅4주차⋅5주차⋅6주차(±2일)에 산모가 가장 호소를 많이 했던 증상은 3주차에는 상지관절통으로 총 발생빈도의 비율 22.54%였고, 4주차에는 발한과다 17.46%, 5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2.58%, 6주차에는 상지관절통 20.55%였다. 4. 산후 2주 동안의 체중 변화는 평균 체중 66.33±9.30 kg에서 62.60±8.92 k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부종지수 ECW/TBW도 평균 0.399±0.010에서 0.385±0.0 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01). 5. EQ-VAS는 산후 2주 동안 평균 61.77±17.72에서 평균 73.51±14.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증가하였다. 산후 6주차의 EQ-VAS는 평균 73.63±13.35로 산후 2주후에 측정한 EQ-VAS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49). 6. 한의치료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는 60%(18명)의 산모가 ‘매우 긍정적’이라 하였고, 40%(12명)가 ‘약간 긍정적’이었으며, ‘보통’, ‘약간 부정적’,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한 경우는 없었다. 산후 6주에 걸쳐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고빈도로 나타나며, 산후 첫 2주 동안에는 부종이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이지만, 산후 3주 이후에는 부종 지수가 정상범위로 회복된다. 또한, 산욕 초기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한의치료는 산모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SY, Gu HJ, Ryu EJ.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KJWHN. 2011;17(2):118-25.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Seoul:Euiseongdang. 2012: 691-2, 765-70, 798. 

  3. Zhang ZJ. Geumgweyoryak. Seoul: Euiseongdang. 2009:377. 

  4. Song JE.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299-309. 

  5. Jang SW, Heo SJ, Cho HJ. An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of Doctors' Linkage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at All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J Korean Obstet Gynecol. 2011;24(4) :174-85. 

  6. Yu EK. Development of WISE HHSanhujori Guideline. Seoul: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3:297. 

  7. Uom ES, Lee DN, Lim EM. Clinical Investigation for Various Postpartum Symptoms. J Korean Obstet Gynecol. 2001;14(1):365-79. 

  8. Park JK. Study on the Various Symptoms of Women in Early Postpartum Period - For Postpartum Women who Admitted in to Gynecology ward of Oriental Medicine Hospital.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2010. 

  9. Lee AY, Park KY, Lee EH. Changes of Depression and Fatigue Level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in Early Postpartum Women.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2):33-55. 

  10. Kim TH, Park KY, Bak JY.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Herbal Aupuncture Therapy on the Postpartum Women's Heat Feeling, Sweat and Thirst.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3):139-55. 

  11. Ha JI, Kim DI. The effect of Kami- Saenghwatang and Kami-Bohertang to postpartum weight retention. J Korean Obstet Gynecol. 2007;20(2):164-75. 

  12. Choi EM, et al. Examination of postpartum symptoms change on Postpartum admission room. J Korean Obstet Gynecol. 2002;15(3):139-50. 

  13. Kim Y. Changes in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focused on improvements on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2013;13(2):71-110. 

  14. Choi MS, Kim DI. Basic Research to Provide Severity Evaluation Criteria of Postpartum Edema.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4):207-17. 

  15. Ock MS, Jo MW, Lee SI. Measur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South Korea. J Health Tech Assess. 2013;1(1):103-11. 

  16. Bak JY, et al. A Study about the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al Postpartum Care. J Korean Obstet Gynecol. 2009;22(4):174-87. 

  17. Bae GM, Cho HS, Lee IS. The Review of Postpartum Care Beliefs and Practices According to the Cultures. J Korean Obstet Gynecol. 2009;22(1):231-42. 

  18. Jang SR, Park YS, Kim DC. The Clinical Analysis of 104 Sanhupung Patients that visited at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3):192-204. 

  19. Bak JY, EH Lee. De Quervain's Disease after Delivery Treated with SBV Herbal-acupuncture : Clinical Study on 3 Cases.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4):196-208. 

  20. Im JY, et al. A Case Report on Pregnancy-Related Carpal Tunnel Syndrome Worsened after Birth by Korean Medicine. J Korean Obstet Gynecol. 2015;28(4):65-76. 

  21. Cho HL, et al. The clinical study of Postpartum Edema. J Korean Obstet Gynecol. 2002;15(3):151-61. 

  22. Thanakitcharu P, Jirajan B. Early detection of subclinical edema in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J Med Assoc Thai. 2014;97(Suppl 11):S1-10. 

  23. Heo J. Donguibogam. Seoul:Bubin Publishers Co. 1999:1637. 

  24. Park KY. A Research on Progress and Evaluation Criteria of Postpartum Edema after Oriental Medical Care.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2010. 

  25. Lee YJ, et al. A Review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of Breastfeeding.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3) :1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