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4, 2017년, pp.203 - 212
Objectives: To report the efficac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o an infertile patient who repeatedly failed in vitro fertilization. Method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denomyosis and failed in vitro fertilization 9 times. Her dysmenorrhea and physical symptoms were improved through traditi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한의학에서 자궁선근증은 어떠한 범주로 볼 수 있는가? | 한의학 고전에서 불임은 求嗣, 種子, 嗣育, 求子, 子嗣 등의 부분에서 불임증 을 다루고 있으며 ≪景岳全書⋅子嗣類≫, ≪東醫寶鑑⋅雜病篇≫, ≪丹溪心法≫, ≪醫 學入門≫ 등에서 불임에 대한 논리와 임신할 수 있는 방법, 여성 불임의 월경력과의 상관성, 해부학적인 문제, 남성 불임의 정액과의 상관성 등을 설명하고 있다3). 자궁선근증은 자궁의 증대를 야기 한다는 측면에서는 일차적으로 여성의 생식기에 발생하는 종괴인 癥瘕의 범주로 볼 수 있으나 광범위하고 큰 병변을 보이지 않는 한 증후학적 측면으로 접근 하여 月經過多, 崩漏, 痛經 등의 범주로 인식할 수 있다3). | |
불임증이란? | 불임증은 정상적인 부부생활에도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로 보통 건강한 남녀는 85~90%에서 1년 내에 임신이 되는데 10~15%의 남녀는 임신 이 되지 않아 불임증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1). 이러한 불임증 에 대안으로 보조생식술이 시행되고 있 으며 그중 시험관 아기라고 불리는 체외 수정과 배아이식(IVF & ET, 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의 방 법은 불임증 치료의 방법으로 가장 흔하 게 시술되고 있다2). | |
불임증에 대안으로 시행되는것은? | 불임증은 정상적인 부부생활에도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로 보통 건강한 남녀는 85~90%에서 1년 내에 임신이 되는데 10~15%의 남녀는 임신 이 되지 않아 불임증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1). 이러한 불임증 에 대안으로 보조생식술이 시행되고 있 으며 그중 시험관 아기라고 불리는 체외 수정과 배아이식(IVF & ET, 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의 방 법은 불임증 치료의 방법으로 가장 흔하 게 시술되고 있다2). 자궁선근증은 자궁 내막선과 간질조직이 자궁근층 속에 비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 으로 주된 증상으로는 월경과다, 월경곤 란증, 부정자궁출혈, 만성 골반통 등이 나타나며 불임과의 연관성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2). |
Choi YD. Clinical Gynecology. 2nd ed. Seoul:Korea Medical Publishing Company. 2001:157-86.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4th ed. Seoul: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07:119-21, 431-88.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ha). Seoul:Eui Seong Dang Publishing Co. 2016:113-6, 157-81.
Jeong KA, et al. Report on One Case of Adenomyosi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19(5): 1446-9.
Park JS, et al. A Case Report of 1 Outpatient Complaining of Adenomyosis. J Korean Obstet Gynecol. 2004;17(1) :194-201.
Lee DN, et al. A Case Report of One Patient with Adenomyosis. J Korean Obstet Gynecol. 2009;22(4):206-15.
Cho SH, Choi CH. A Case Report of Woman Infertility Caused by Myoma of Uterus and Adenomyosi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28(3):355-8.
Lee SI. The New Gobangchancha.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12:342.
Huh J. Dong-Eui-Bo-Kham. Seoul: Bupin Publishes Co. 1999:1598-600.
Kurt Barnhart. Effect of Endometriosis on in Vitro Fertilization. Fertility and Sterility. 2002;77(6):1448-9.
Yang KM, et al. Clinical Efficacy of Long-term Down Regulation(LTDR)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or In Vitro Fertilization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or Adenomyosis.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0;43(10): 1775-9.
Kim DI. Oriental Medical Treatment as Supplementary Treatment Method in ART : clinical review. J Korean Obstet Gynecol. 2010;23(4):67-79.
Moon HJ, Kang MJ. Clinical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 in In Vitro Fertilization(IVF). J Korean Obstet Gynecol. 2001;14(3):127-35.
Ko YM, Cho JH. A study on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for IVF. J Korean Obstet Gynecol. 2001;14(1):146-56.
Lee SI. A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way of Medical Study of ShangHanLun. Herbal Formula Science(HFS). 2014; 22(2):1-13.
Cheng F et al.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Sini-san on chronic restraint stress-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rat study.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7;17(1):203.
Kim YG, et al. A Clinical Analysis of 50 fetus that using Herbal Medication during Pregnancy. J Korean Obstet Gynecol. 2003;16(4):136-43.
Cho HJ, Lim EM. Recurrent miscarriage overcome 14 case series. J Korean Obstet Gynecol. 2005;18(2):159-68.
Chung HM, et al. Changes of Reproductive Functions in Pregnant Mice Administrated Kyoaekungkue-tang, Bojungykki-tang, Kungso-san, Antae-eum, Antaegumchul -tang. J Korean Oriental Med. 2000; 21(3):166-7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