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 예측요인
Predictors of Chewing Discomfor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3, 2017년, pp.302 - 312  

문설화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of chewing discomfor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desig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total of 7,550 pa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는 대규모 전수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복합표본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으며, 자료 분석 시종속변수뿐만 아니라 독립변수의 결측치 모두를 제외하였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고 설명력 있는 결과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구강건강 특성에서 대상자들의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로 수집한 주관적인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검진을 통해 도출한 객관적인 구강건강특성을 포함하였고, 개인적, 심리적, 신체적 특성 등 지역사회 노인의 포괄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저작불편감의 예측 요인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민 건강 영양조사 6기 2차 연도 자료를 이차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 정도를 파악하고, 저작 불편감의 예측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능력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구강건강 개선, 적절한 치아의 치료, 활동 제한이나 교육수준 등을 대상자의 포괄적인 측면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를 고려해야 한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6기 2차 년도(2014년) 자료를 이차분석 하였으며, 지역사회 노인의 저작 불편감 발생의 예측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영양섭취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저작불편감이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구강건강, 심리적, 신체적인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기존지식을 바탕으로 제6기(2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저작 불편감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 불편감 예측 요인을 확인하여 노인에서의 저작 불편감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 불편감 정도를 파악하고, 문헌고찰을 통하여 확인한 저작 불편감의 관련요인 중 저작문제 발생의 예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지역사회노인의 저작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영양섭취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저작불편감이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구강건강, 심리적, 신체적인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기존지식을 바탕으로 제6기(2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저작 불편감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 불편감 예측 요인을 확인하여 노인에서의 저작 불편감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겪는 구강 관련 건강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을 방문하는 다 빈도 상병 문제 중 10순위 안에 2개의 구강 관련 건강 문제(2위 치은염 및 치주 질환, 10위 치수 및 근단 주위 조직의 질환)가 포함되어 있어 노인들이 신체 전반에 대한 건강과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 문제의 발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실제로 노년층에서는 치아 손실, 치주 질환, 구강 통증, 구강 건조증 등 다양한 구강건강 문제를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으며[4], 이와 같은 구강건강 문제로 인해 저작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노인은 20~46.3%의 비율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2,5-8].
노인에서의 다양한 구강건강 문제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의 비율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2,5-8]. 노인에서의 다양한 구강건강 문제로 인한 저하된 저작능력으로 적절한 음식물의 섭취가 어려워져 영양 상태가 나빠지게 되며, 영양불균형은 체중 저하뿐만 아니라 근육량과 근강도의 감소로 이어져 신체적 수행능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9].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강건강요인으로 노화로 인한 잔존 치아수의 저하[12,14], 치아의 교합력(bite force)을 떨어뜨리는 의치의 사용[10], 충치나 잇몸질환 등의 치료가 필요한 치아 유무[12], 구강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강의 통증의 경험[12], 규칙적인 치과 검진여부[13], 주관적인 구강건강의 저하[11]가 저작불편감의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강건강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노인에서의 다양한 구강건강 문제로 인한 저하된 저작능력으로 적절한 음식물의 섭취가 어려워져 영양 상태가 나빠지게 되며, 영양불균형은 체중 저하뿐만 아니라 근육량과 근강도의 감소로 이어져 신체적 수행능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9].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강건강요인으로 노화로 인한 잔존 치아수의 저하[12,14], 치아의 교합력(bite force)을 떨어뜨리는 의치의 사용[10], 충치나 잇몸질환 등의 치료가 필요한 치아 유무[12], 구강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강의 통증의 경험[12], 규칙적인 치과 검진여부[13], 주관적인 구강건강의 저하[11]가 저작불편감의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영양 불균형과 이로 인한 신체적 기능 저하와도 관련이 있는 노인에서의 저작문제는[10] 구강에서 발생하는 구강건강문제뿐만 아니라[11-13] 다음과 같이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2016 statistics on the aged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5642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EA%B3%A0%EB%A0%B9%EC%9E%90%ED%86%B5%EA%B3%84 

  2. Jeong KH, Oh HY, Kang EN, Kim, JH, Sunwoo D, Oh MA, et al. 2014 elderly survey. Policy Report.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11-1352000-001426-1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guide: Oral health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May 19]. Available from: http://www.g-health.kr/portal/bbs/selectBoardList.do?bbsIdU00243&cNttId197&menuNo200571 

  4. Gil-Montoya JA, Ferreira de Mello AL, Barrios L, Gonzalez- Moles M, Bravo M. Oral health in the elderly patient and its impact on general well-being: A nonsystematic review.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5;10:461-467. https://doi.org/10.2147/CIA.S54630 

  5. Laudisio A, Milaneschi Y, Bandinelli S, Gemma A, Ferrucci L, Incalzi RA. Chewing problem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the elderly: Results from the InCHIANTI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4;29(3):236-244. https://doi.org/10.1002/gps.3995 

  6. Moriya S, Notani K, Murata A, Inoue N, Miura H.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for assessing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hewing ability, dentition status,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Gerodontology. 2012;31(4):281-287. https://doi.org/10.1111/ger.12036 

  7. Nazliel HE, Hersek N, Ozbek M, Karaagaoglu E. Oral health status in a group of the elderly population residing at home. Gerodontology. 2012;29(2):e761-e767. https://doi.org/10.1111/j.1741-2358.2011.00556.x 

  8. Ohara Y, Hirano H, Watanabe Y, Obuchi S, Yoshida H, Fujiwara 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rated oral health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Japanese: A cross sectional study.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5;15(6):755-761. https://doi.org/10.1111/ggi.12345 

  9. Murakami M, Hirano H, Watanabe Y, Sakai K, Kim H, Katakura A.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sarcopenia in Japanes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5;15(8):1007-1012. https://doi.org/10.1111/ggi.12399 

  10. Naka O, Anastassiadou V, Pissiotis A. Association between functional tooth units and chewing ability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Gerodontology. 2014;31(3):166-177. https://doi.org/10.1111/ger.12016 

  11. Khalifa NF, Allen PH, Abu-bakr NE, Abdel-Rahman M. Chewing ability and associated factors in a Sudanese population. Journal of Oral Science. 2013;55(4):349-357. https://doi.org/10.2334/josnusd.55.349 

  12. Singh KA, Brennan DS. Chewing disability in older adults attributable to tooth loss and other oral conditions. Gerodontology. 2012;29(2):106-110. https://doi.org/10.1111/j.1741-2358.2010.00412.x 

  13. Yom YH, Han JH.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Applying Andersen's model.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1):18-28. https://doi.org/10.7739/jkafn.2014.21.1.18 

  14. Gellacic AS, Teixeira DS, Antunes JLF, Narvai PC, Lebrao ML, Frazao P. Factors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of self rated chewing ability among adults aged 60 years and older over a 6 year period.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6;16 (1):46-54. https://doi.org/10.1111/ggi.12435 

  15. Shin BM, Jung S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tooth loss and chewing difficulty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012;36(3):195-202. 

  16. Leung DY, Leung AY, Chi I. Factors associated with chewing problems and oral dryness among older Chinese people in Hong Kong. Gerodontology. 2016;33(1):106-115. https://doi.org/10.1111/ger.12116 

  17. Kimura Y, Ogawa H, Yoshihara A, Yamaga T, Takiguchi T, Wada T, et al.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cognitive status and food intake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3;13(3):718-725. https://doi.org/10.1111/ggi.12006 

  18. Park K, Hong GRS. Predictors of chewing ability among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6;17(1):78-84. https://doi.org/10.1111/ggi.12677 

  19.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9.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1;16(9):606-613. https://doi.org/10.1046/j.1525-1497.2001.016009606.x 

  20.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et al.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ehensive Psychiatry. 2008;49(2):218-223.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7.08.006 

  21. Lamers F, Jonkers CC, Bosma H, Penninx BW, Knottnerus JA, van Eijk JTM. Summed scor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 was a reliable and valid method for depression screening in chronically ill elderly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8;61(7):679-687.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7.07.018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nalysis guideline for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7 May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3. Kim KE, Ha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actual condition on oral health care of diabetic patien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9;9(3):345-351. 

  24. Manski RJ, Moeller JF, Maas WR. Dental services. An analysis of utilization over 20 yea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1;132(5):655-664.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1.0243 

  25. Baker SR. Applying Andersen's behavioural model to oral health: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shaping perceived oral health outcome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9;37(6):485-494.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9.00495.x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6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guid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ited 2017 January 9]. Available form: http://www.khealth.or.kr/b/60?bi9460 

  27. Han YR, Park YR, Kim YH, Choi HC, Chung MJ. Task analysis of managers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23(2): 165-178.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2.165 

  28. Gilbert GH, Duncan RP, Heft MW, Dolan TA, Vogel WB. Multidimensionality of oral health in dentate adults. Medical Care. 1998;36(7):988-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