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ogram with a focus on social issue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3, 2017년, pp.415 - 441  

최성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민주시민의식 함양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한 후 4개의 주제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Figured Worlds와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연구에 적용하여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수업의 개념을 설명하고 수업 설계 및 수업 분석의 이론적 기틀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회인식에 변화가 있었으며 비판적 수학적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기존의 Figured Worlds에 저항하여 변화를 꾀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제 자신들의 생활과 인접한 사회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유용성을 느끼게 되었고, 주어진 수행과제에 담긴 사회 비정의 문제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탐구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으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기여의식, 리더십 등과 같은 민주시민의식 함양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lementary school math class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ith a focus on social issu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pecialized subject classes. As suggested in the goals of the math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hich provi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남진영(2014)은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가“수학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수학의 가치를 이해하며,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기른다.”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태도, 자신감, 가치 인식 등은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다고 설명한다.
비판적 교육이란 무엇인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은 비판적 교육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비판적 교육(critical pedagogy)은 학생과 교사의 배경 지식, 문화와 삶의 경험에 가치를 두고 사회 정의를 실천을 하고자 하는 인간존중의 교수법이다. Freire(1970/2009)는 세상을 새롭게 다시 쓰기 위해 인간화 교육을 주장하고 세계에 대한 비판적이고 변증법적인 읽기를 발전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문제 제기 (problem posing) 교육학을 제안하였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기본 목표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Gutstein(2003, 2006a)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기본 목표를 수학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사회 변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에 두고 수학으로 세상 읽기와 수학으로 세상 그려내기를 제안하였다. 이 목표는 각각 수학을 활용하여 사회의식을 개선시키고 사회적 불평등을 이해하는 것과 사회문제와 쟁점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비판적 의식과 수학적 능력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권진경 (2006). 쟁점 중심 통합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남진영 (2014). 수학의 가치 교육: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63-81. 

  3. 김부미 (2011). 수학 문제해결 신념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4(1), 229-255. 

  4. 김부미 (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5. 김진숙 (2000).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대인 및 사회적 책임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경희 (2001). 문제중심학습이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상호 (2002). 자기 평가가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신성균, 황혜정, 김수진, 성금순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체제 연구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M 92-5-2.한국교육개발원. 

  9. 유정희 (2003). 논쟁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형우 (2008).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적 인재 키우기. 서울: 한국생산성 본부. 

  11. 이화정 (2013).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임동우 (1993). 논술형 평가가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경자; 최재호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가족체계와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관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523-539 

  14. 전미란, 유경재, 유효현 (2013).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3(1), 109-128. 

  15. 한국교육개발원(1990).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IV). 

  16. Beyer, B.K.(1985). Critical Thinking: What is it?, Social Education, 49, 270-276. 

  17. Conrad, D. & Hedin, D. (1985). Instruments and Scoring Guide of the Experiential Education Evaluation Project.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and Research. University of Minnesota. 

  18. Corbin, J., & Strauss, A.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1), 3-21. 

  19. Feldhusen, J. F. (1992).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36, 123-132. 

  20. Frankenstein, M. (1983).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application of Paulo Freire’s epistemology. Journal of Education, 165(4), 315-339. 

  21. Freire, P. (2009). 페다고지(30주년 기념판) (남경태 역.). 서울: 그린비. (원저는 1970에 출판) 

  22. Gardner, H. (2008). Five minds for the future.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3. Gutstein, E. (2003).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in an urban, Latino schoo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4(1), 37-3. 

  24. Gutstein, E. (2006a). Reading and writing the world with mathematics: Toward a pedagogy for social justice. New York: Routledge. 

  25. Gutstein, E. (2006b). Driving while black or brown: the mathematics of racial profiling. In J. O. Masingila (Ed.), Teachers Engaged in Research: Inquiry into Mathematics Practice in Grades 6-8 (pp. 111-13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6. Gutstein, E. (2006c). Building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 aspect of social justice pedagogy. To appear in (E. de Freitas & K. Nolan, (Eds.), Opening the research text: Critical insights and in(ter)ventions into mathematics education. 

  27. Holland, D., Lachicotte, W., Skinner, D., & Cain, C. (1998).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8. Kaltsounis, T. (1989). Democracy and Education. KWDI Conference. 

  29. Piechowski, M. M. (199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giftedness. In N. Cok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85-306).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0. Renzulli, J. S. (2012). Reexamining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and talent development for the 21st century: A Four-Part Theoretical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56(3), 150-159. 

  31. Skovsmose, O. (1994). Towards a philosophy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32. Sternberg, R. J. (2003). Wisdom, intelligence, and creativity synthesized. 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Turner, E. E. (2003). Critical mathematical agency urban middle school students engage in mathematics to investigate, critique, and act upon their world. TX: University of Texas, Austin. 

  34. Wager, A. A. & Stinson, D. W. (2015).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박만구, 김성여, 김예라, 조두경, 최성이 역). 서울: 경문사. (원전은 2012년에 출판) 

  35. White, C. S. (1997).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Internet: Prospects for civic deliberation in the information age. The Social Studies, 88(1), 23-28. 

  36. Westheimer, J., Kahne, J. (2004). What kind of citize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2), 237-2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